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붕어개체수가 줄어드는 이유

IP : 99a91d81165eb6f 날짜 : 조회 : 7503 본문+댓글추천 : 0

붕어 개체수가 줄어드는 이유를 알았습니다... (망고 내생각..ㅋㅋ) 어제 물빠진 저수지에서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붕어들이 상류 수초대에 산란을 하지요..근데 올해같은 경우는 산란이 조금 늦은관계로 농번기와 맞물림.... 저수지 배수 시작되고 물이 쪽 빠져버리니까 알까놓 수초대는 전멸.. 그럴듯 하지요...ㅎㅎ

1등! IP : cb6701da31e9246
수입어종 땜시 개체수가 줄어 듭니다.
블루길,베스터에 가면 잔붕어들이 거의 없고
살아남은 큰붕어들만 몇 않되는 개체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면 붕어낚시라는 취미를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
루어꾼으로다~~~ㅜㅜ
추천 0

2등! IP : 379c8a25f487865
붕어 개체수가 줄어드는 경우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은.
첫째가 외래 어종으로 불루길 베스를 안 꼽을수가 없네요.
알 은 불루길이 좀 크면 베스가 잡아먹지요.
앞으로는 떡밥 3대.
지렁이 3대 이렇게 전을 펴놓고 기다리기로 했습니다.
붕어 보기가 힘들어 어느 종이던 손맛 보기로 했습니다.^^*
추천 0

3등! IP : fb5d5e0b6e49550
외래어종도 붕어개체수 줄어드는대 한몫을분명이 할겁니다 하지만 우리낚시인들도 약내린다 찜해먹는다해서 작은거 큰거 가리지안고 무자비하게 취하시는 분들도 많더라구요.. 두세마리만 적당이 취하시거나 방생의 미덕을보여야 우리후손한태 좋은 낚시환경과 씨알좋은 토종붕어를 물려줄겁니다^^ 어디까지나 제생각이니 머라하지마세요^^
추천 1

IP : fb13523568e78a8
방류사업은 하지않고 잡아내기만하니
개체수가 급감했다 생각합니다.

지자체에서 매년 방류사업을 하기는하나
그 치어들이 대부분 토종붕어가 아닌
떡붕어입니다.

그래서 방류사업을 한 저수지엔 떡붕어가
주종입니다.

떡붕어가 유입되면 토종붕어 개체수가 급감합니다.
추천 0

IP : e28c27336aa0da6
붕어는 산란이 실패하면 2차 산란 3차 산란한다합니다..
그러니 물빠져도 다음 산란에서 성공하겠죠

외래어종 + 사람들의 남획 = 1등 공신입니다
추천 0

IP : d1c7d9ddf536ac9
붕어알은 죽지않습니다.
풀에 말라있다가도 그풀이 다시 물에잠기면 다시 깨어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풀을 불에 태우지만 않는다면.....
그러나 붕어의 개체수가 줄어드는건 천적들 땜시....
추천 0

IP : 818293f445244ae
사오십전에는 물고기 버걸버걸 했어요 환경오염 외래종 낚시꾼 토종물고기 개체수 자꾸 줄어드는군요 낚시꾼도 한몪하지요
옛날말로 그물로는 씨를 못말라도 낚시로는 씨를 말룬답니다 한 저수지에 5명이 낚시하면 한사람이 한마리라도 5마리이니
10일이면 50마리 100일이면500마리 아닝교 인간은 지나고나면 후회 합니더 좀더 내일을 생각하면서 살았으면^^^^^^^^^^
추천 0

IP : 118e26c17aa2b48
저수지가 죽어가는 패턴은 비슷합니다..

1 외래종이 유입된 저수지..

3~5년 대물급이 엄청나옵니다.. 사람들이 열라잡아냅니다.. -> 5~ 15년 잡아낼만큼 잡아내서 시간 많고 그냥 시간 때우고 한방하려고 오는분들이 가끔 있습니다 -> 15 ~ 30년 저수지 자체에 먹을 것이 없어서 어느순간 불루길 베스도 찾아보기 힘듭니다..(끝난거죠.. 방류하지 않는한 이저수지는 절대~ 안돌아옵니다..)

2. 외래종이 없는 저수지..

사람이 잡아가는 것도 감소 요인이지만.. 실제로.. 규모가 너무 작은 저수지가 아니면.. 본능 및 경험에 의하여 모든 어종이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연안으로 회유하는 것을 극도로 꺼립니다.. 이에 낚시꾼들은 고기 안나온다고 하지만.. 최근 보트꾼들이 늘면서 그런 저수지들도 보트꾼들이 들어가면 대박을 많이 내죠..

결론적으로 외례종의 유입과 사람이 잡아가는 것 이게 가장큽니다.. 간혼 불상사로 인해 오염원의 유입으로 폐사하는 경우도 있구요..
추천 0

IP : 5e951874b8f4a7f
요인으로는

1. 외래어종 유입.
2. 주민들이 소류지 물을빼서 고기를 잡아낸다(낚시꾼들이 논뚝을 뭉게고, 쓰래기 아무렇게나 버리기때문에 대비책으로 물을뺌)
3. 낚시인구증가로 고기를 잡아냄.
추천 1

IP : 39479b6e116189b
그물질하는 어부들땜에~~~~줄어드는게아닐까요...?그 담엔 저수지마다 배스풀어놓는 사람들땜에~ (의심은가나 확증이없는사람들~ 배꾼이나 용품 파는사람들~)
추천 0

IP : c89a25282533c39
어쩌겠습니까..
그렇다고 낚시를 그만둘사람 있으신가요?
있는놈 없는놈 다 잡아 내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의 욕심이지요.
추천 0

IP : 9cca7f0aea8cc0a
붕어들 산란 시기는 잘 맞춥니다, 우리가 모내기를 언제 할지 시기가 정해진 것처럼 붕어도 기가 막히게 산란 시길 맞춥니다..문제는 그물이지요,,

옛날에도 낚시로 고기를 취했기때문에 급격한 개체감소는 아닙니다.

그물 ,주낚이 문제지요
추천 0

IP : 25cf8fa2871937b
저도 고기많이 쟁거놓곤했습니다...
낚시꾼들의 무분별한 포획이 문제입니다..
물론외래어종이 젤 문제이고요..
추천 0

IP : 615e02ff93fd143
외래어종도 문제지만 인간의 무분별한 포획이 젤 큰거같네요. 단적인 예로 배스 블루길이 없는 어느정도 아담하고 조용한 소류지에 "던지면 입질이다~~" 이런식으로 한번 소문나면 우루루 몰려가서 잡아댑니다. 손바닥보다 작은싸이즈들도 수십마리 기냥 챙겨가지요? 그게 1년365일 계속 된다고 생각해봅시다... 그런사람들이 나중에 고기없다고 투덜대는거지요ㅎ 물론 안그러신 분들이 더 많으시지만 저런분들이 개체수 줄이는덴 배스못지않지요ㅎㅎ
추천 0

IP : 615e02ff93fd143
그리고 배스 풀어놓는사람들 의외로 붕어 대물꾼들도 꽤 돼는걸로 압니다. 잔씨알 없애려고 그런답니다.. 참 잔인하지요?.. 우리 낚시인 모두의 책임입니다.
추천 0

IP : 6c0f9232ed4f17c
베서들은 캐치앤릴리즈가 기본인데 붕어꾼들은 그렇지 못한게 아쉽습니다.
대대적인 캠페인이라도 벌이던지 국회에 입법을 시키던지 해야지...
먹을분량 소량 이외에는 놓아주는 낚시 풍토가 정착 되기를 바랍니다.
추천 0

IP : d680e3f7dec1040
나날이 발전하는 기법과 장비덕에 365일 하루도 쉬지않고 낚시가 이루어지며
알밴붕어는 탕용으로 대형붕어는 찜용으로 작은붕어는 약으로
배스는 한끼 배부르면 더이상 거들떠보지도 않건만
낚시꾼은
오늘먹고 내일도 먹고 모레도 먹고 냉동시켜뒀다가 한달뒤에도 먹어야 하고
동네사람들한테도 나눠줘야한다죠
지가 잡아먹는건 괜찮고 배스가 잡아먹는건 죽어도 못봐준다 이거죠
추천 3

IP : 993d7d4dfa738f5
오늘 붕어 치어 무리들 근처 배식이가 기회를 노리네요 전 붕어 손맛보로 갔다가 배식이 놈이 약한 치어들을 잡아 먹기에 오늘 낚시는 배식이 사냥으로 결심 20분만에 내림대로 40cm 생보(3번 놓쳤네요) 무엇보다 외래어종이 개체수감소에 최대의 적인것 같습니다.
추천 0

IP : 0064bd422aa7b02
먹기위해서 잡는다? 어족 자원을 보호하는 나라는 왜? 하루동안 잡는 제한을 둘까요?

배가고파서 잡아간다면 이해가 갑니다..

몸보신할려고 잡아가는건 기호식품쪽 아닙니까?

제한을 하루에 2마리 이렇게 두는건 다음날에 또 2마리를 잡아도 되는거죠.....

그날 그날 먹을려고 잡는건 허용한다는겁니다..

잡아서 쟁여놓는다는건 불법이라는것이죠.

외래어종도 영향은 있겠지만 주범은 사람이라고 생각됩니다.

먹이사슬 속에서도 살아남을 놈들은 살아남겠지만 ..

어떻게든 잡아내서 모아가는 인간들에겐 당해낼 자원은 없다고 봅니다
추천 0

IP : 063a6e5becb1829
윗글들 처럼 너무나도 잘알고있는데,, 왜 그런행위들을 저질르는지 모르겠네요.
추천 0

IP : ba8c0c38375b21c
네 그렇습니다. 맞는 말씀들이구요

하지만 저는 이정도로 생각합니다. 내탓이요.... 라구요

왠만하면 다 놔주구요

외래어종 걸리면 패사조치하구요

환경생각하는 맘으로 쓰래기 아예 발생을 줄이구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