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선입수시 미끼 안착 지점의 차이보다 떡밥이 조금 클 경우 떡밥이 풀리면서 봉돌과 바늘이 찌 방향으로 당겨와 버리므로 찌도 조금 올라오면서 떡밥에서 바늘이 이탈되어 입질을 기다리는 시간이 줄어들겠죠.. 수직입수했을땐 바늘이 풀려진 떡밥위에 그냥 있으므로 입질받을 시간이 늘어나므로 수직입수가 이론상 제일 좋겠죠... 헉 동문서답했네요..^^
아무리 예민한 채비라도 떡밥을 달면 찌의 부력보다는 가라앉으려는 힘이 강하기 때문에 풀스윙하면 어느정도 사선입수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최초 수심 체크시에 낚시대를 뒤로 당기지 않고 케미꽂이 부분에 맞추었다면 낚시대를 뒤로 당겨 최대한 수직상태를 만들면
찌가 어느정도 올라옵니다.
올라와있는 찌의 길이, 사선각도를 안다고 가정했을때 사선입수와 수직입수시 봉돌이 안착되는 지점의 차이값을 계산 할수는 있겠지요. 그리고 바닥의 경사도까지 계산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대략 짐작을 할수는 있겠지만, 낚시를 하는곳마다 거리계산을 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합니다.
저의 경우는
1. 풀스윙 해서 수심 측정후
2. 낚시대를 뒤로 당겨서 수심 재측정
3. 2번이후 투척후에 2번의 찌 높이와 최대한 같은 지점이 될수 있도록 투척후 낚시대를 뒤로 당겨준후 낚시함
사선입수가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하고 낚시를 한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채비를 최대한 수직상태를 만들면, 입질패턴이 보다 깔끔하게 나타난다는 장점과 집어에 조금더 유리한것 같습니다. ^^
둘다 조과는 올라옵니다.
입질이랑은 상간없구요..그만큼 집어군이 흐트러질뿐..
수직 입수때 맞춘 수심에서 더올라온 찌탑 길이의 10배 정도 되지 않을까요
경사진면이면 차이는 더많아지고
경사도가 심할수록 차이는많고
찌부력에 따라서 아예 없을수도 있습니다
원봉돌 채비기준
수심이 깊은곳에서는 적게 납니다.
조과가 다릅니다.
3.2대 기준 풀스윙이 문제가 아니라 낚시하신곳 입질이 없는곳의 수심과 사용하신 채비 그리고 배수여부등을
말씀 해주시면 대답을 드릴수 있는데요... 꼭 사선입수로 인해 입질이 없다고 보긴 어렵다고 봅니다.
아무리 예민한 채비라도 떡밥을 달면 찌의 부력보다는 가라앉으려는 힘이 강하기 때문에 풀스윙하면 어느정도 사선입수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최초 수심 체크시에 낚시대를 뒤로 당기지 않고 케미꽂이 부분에 맞추었다면 낚시대를 뒤로 당겨 최대한 수직상태를 만들면
찌가 어느정도 올라옵니다.
올라와있는 찌의 길이, 사선각도를 안다고 가정했을때 사선입수와 수직입수시 봉돌이 안착되는 지점의 차이값을 계산 할수는 있겠지요. 그리고 바닥의 경사도까지 계산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대략 짐작을 할수는 있겠지만, 낚시를 하는곳마다 거리계산을 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합니다.
저의 경우는
1. 풀스윙 해서 수심 측정후
2. 낚시대를 뒤로 당겨서 수심 재측정
3. 2번이후 투척후에 2번의 찌 높이와 최대한 같은 지점이 될수 있도록 투척후 낚시대를 뒤로 당겨준후 낚시함
사선입수가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하고 낚시를 한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채비를 최대한 수직상태를 만들면, 입질패턴이 보다 깔끔하게 나타난다는 장점과 집어에 조금더 유리한것 같습니다. ^^
이상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