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선입수에 대해 잘몰르시는분이 계시듯하여 저의 얄팍한..수박 겉핱기식의 지식을 몇자 적습니다.
사선입수하는이유?
1지형이 비탈일경우 사선입수가 됩니다.
2떡밥낚시일경우 떡밥이 무거우면 사선입수 됩니다.
3투척시멀리던지고 끌어다 안치하면 사선입수됩니다.
4원줄이 두꺼우면 찌고무가 빡빡하여 사선입수 됩니다.
요 4가지가 사선입수하는 대표적인 예이고요
예방법은 이렇습니다.
1유동채비를한다,유동채비할지라도 떡밥이 무거우면 사선입수됩니다
2투척후 찌가 안착될때가지 낚시대 끝을 물속에 넣고 안착후 거치한다.
3투척후 20cm가량 앞으로 땡겻다가 찌 안착후 거치한다.
4반스윙으로 투척후 초릿대를 물속에 담궛다가 찌 안착후 거치한다.:요건 2번이랑 같은데 별로 안좋음.수직입수가 아니라 옆으로 삐딱선 탈경우가 많음.(어떤물건이 물속으로 들어갈때는 마찰이 발생합니다.그 마찰로 인해 옆으로 갈 확률이 놓아요)
사선입수를 확인하는 방법.
의외로 쉬워요.
넘쉬워서 ㅎㅎㅎㅎㅎ
낚시대를 앞으로 밀어보세요..찌가 올라오면 사선입수 된거고요..찌가 안올라오변 수직입수 됩겁니다.
이상은 얄팍한...수박겉할기식의 제가 알고 있는 지식입니다.
도움이 되시길...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그게 다 이유가 있는거군요 ^^
잘배우고 갑니다 ~
좋은글 주셨네요^^
한가지 덧붙이자면 저의경우는 유동채비가 오히려 사선이 심했습니다. 밤에 채비회수시 줄잡기편하고 투척이 쉬워 유동을하고있습니다만 고정채비가 사선엔 유리하다고 느꼈습니다
풀투척후 1미터정도 땡겼다가 찌 정립후에 받침틀에 얹습니다
본문에 대한 태클은 아니오니 오해없으시길 바랍니다 ㅎㅎ
떡밥낚시시 저부력찌 사용할시에 나타나는 일입니다.
떡밥무게를 부력이 이기지 못하여찌가 상승하는 속도보다 침력(봉돌+떡밥무게)이(가)클시에 그렇게 나타나는걸루 알고 있읍니다.
제가 알고 있는 얄팍한 상식이 무조건 정답은 안닙니다.
틀릴수도 있어요,
태클도 좋고 반박도 좋고..다만 반대를 위한 반대는 말고요..<<요건 싸우자는거잔아요 ㅎㅎㅎㅎ <br/>
그러면서 하나 둘식 더 배워가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