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슬채비는 스위벨이나 좁쌀에 비해서 분할의 과정이 쉽고(사슬 하나하나의 무게부담역할)
찌맞춤을 까다롭게 하지 않아도 추천호수만 맞추면 채비정렬에 문제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런 사슬채비의 광고문구에서조차 노지대물낚시나 생미끼낚시에선 뒤집어서 달라고 합니다.
바닥안착 및 채비안정성을 위해 채비를 뒤집어 달게되면 단일봉돌 채비와 같은 채비가 됩니다.
어제 흐르는 수로에서 사슬채비 테스트 결과 많이 흐르더군요. 흐르지 않는 곳에선 효과가 좋은 것 같던데,,
위 사진처럼 사슬 밑에 봉돌을 추가로 달면 덜 흐를텐데, 이리해도 사슬채비 본래효과를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을가요?
아니면 위 dlwkdnjs 말씀대로 단일봉돌과 같아지나요?
전 사슬밑에 봉돌달고 연주찌 가지채비 ㅋㅋ
좋은 사례로 보입니다.
찌맞춤을 까다롭게 하지 않아도 추천호수만 맞추면 채비정렬에 문제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런 사슬채비의 광고문구에서조차 노지대물낚시나 생미끼낚시에선 뒤집어서 달라고 합니다.
바닥안착 및 채비안정성을 위해 채비를 뒤집어 달게되면 단일봉돌 채비와 같은 채비가 됩니다.
찌맞춤은 그냥 봉돌빼고 사슬채비찌맞춤해서 하시다 바닥에 수초가많음 봉돌달고 안내병채비로 전환
그래도 심심하면 연주찌달고 이것저것 알아서 낚시하시면 됩니다
찌맞춤없이 사슬에서 방랑자채비로 교체해도 거의비슷하게 맞습니다
위 사진처럼 사슬 밑에 봉돌을 추가로 달면 덜 흐를텐데, 이리해도 사슬채비 본래효과를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을가요?
아니면 위 dlwkdnjs 말씀대로 단일봉돌과 같아지나요?
사슬이 1~2개 접혀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