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게 생각 하시면 됩니다.
찌와 봉돌의 부력과 침력 밸런스를 물속에서 측정하는 것이 찌맞춤 입니다.
찌를 맞출땐 수중에 봉돌을 띄워야 부력을 측정할수 있으니 바늘을 달고 찌 맞춤하면
미세하나마 바늘무게 만큼 침력으로 작용해서 원하는 찌의 부력값에 오차를 주게 된다는 원리 입니다.
다들 아시는 얘기지만... 낚시를 처음 하시는 분들이 혼동하기 쉬운것이 바늘없이 찌맞춤하고
바늘을 달면 바늘 무게만큼 무거워 지지 않는가?.....라는 생각이죠..
바늘은 가라앉은 봉돌옆에 누워 바닥에 닿아 있으므로 찌와 봉돌에 전혀 무게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물론...고기 입장에서 먹고 들어올릴때 이물감이나 무게감은 있겠지만...그것까지 우리는 모릅니다....ㅎ
풍덩채비 같은 무거운 맞춤이나 바늘을 달고 맞춰서 유행하는 변형채비를 구사하는 낚시에선 예외지만
정통바닥낚시에선 바늘은 없는요소로 생각하고 찌 맞춤 하는것이 기본입니다.
합니다...저부력은 바늘 크기에 양바늘 외바늘에
따라 바늘달고 부력맞추어보면 좀 차이가나기에
저같은경우는 케미꽂고 바늘없이 조금 예민하게
맞추고있습니다... 바늘은 상황에따라 바꿔주기
때문에 바늘빼고 맞춤하는게 더 나을듯하더라구요
취향에 맞게끔하시면 되실듯해요...답은없으니까요
찌와 봉돌의 부력과 침력 밸런스를 물속에서 측정하는 것이 찌맞춤 입니다.
찌를 맞출땐 수중에 봉돌을 띄워야 부력을 측정할수 있으니 바늘을 달고 찌 맞춤하면
미세하나마 바늘무게 만큼 침력으로 작용해서 원하는 찌의 부력값에 오차를 주게 된다는 원리 입니다.
다들 아시는 얘기지만... 낚시를 처음 하시는 분들이 혼동하기 쉬운것이 바늘없이 찌맞춤하고
바늘을 달면 바늘 무게만큼 무거워 지지 않는가?.....라는 생각이죠..
바늘은 가라앉은 봉돌옆에 누워 바닥에 닿아 있으므로 찌와 봉돌에 전혀 무게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물론...고기 입장에서 먹고 들어올릴때 이물감이나 무게감은 있겠지만...그것까지 우리는 모릅니다....ㅎ
풍덩채비 같은 무거운 맞춤이나 바늘을 달고 맞춰서 유행하는 변형채비를 구사하는 낚시에선 예외지만
정통바닥낚시에선 바늘은 없는요소로 생각하고 찌 맞춤 하는것이 기본입니다.
즐기자고 하는 낚시 넘 예민 해짐 피곤 합니다
바늘 하나에 얼마나 좌우 한다교 그라싶니까
대충마추서 뽕돌만 안떠다니면 됨니다
바늘만 땅에 다고 봉돌은 뜨고?! 이렇게 되면 100번 빨면 한번올릴까 몰르겠네요 ^^
정 바늘 달고 찌맟춤을 하실려면 방법은 있습니다.
수심을 찍을때 땅에 쿵하고 떨어지게 찍고 이단입수 나올때 까지 조금씩조금씩 찌를 내립니다.
이렇게해서 이단입수되고 봉돌이 부드럽게 안착이 된 상태에서 낚시를 하시면 될껍니다.
바늘 빼고 하시는게 더쉽고 빠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