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본줄 2.5호줄을 사용하다 이번에 은린2.5호줄을 사용해 봤는데
찌올림 과 조과까지 좋아서 질문좀 드립니다.
(비교를 위해서 같은호수 카본과 세미를 같이 펴놓고 사용해본결과 찌올림 폭 차이가 장난아니더군요)
시기가 맹탕지 같은시기라 세미2.5호줄로도 가능했는데 수초가 발달하는 시기가 왔을때 믿음이 안갈것 같아서 문의좀 드립니다
1)세미플로팅4호 원줄을 사용하면 2.5호 보다 줄무게가 많이 늘어날까요??
카본줄은 2.5와 4호 차이가 상당한데 세미줄도 카본줄과 마찬가지로 상당하다는 기분을 받을까요??
2)세미플로팅4호 사용할빠엔 카본2.5호 줄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원줄길이 1미터를 100센티미터로 환산했어야 했는데 1000센티로 대입해놨네요
원줄 1미터당 수중무게 산술값을 1/10로 보셔야 맞는 결과 입니다
내일 사무실가면 수정해서 다시 올려드릴게요
라인강도는 제작사가 자체시험해서 공개하지 않는한 알수가 없습니다
라인 특성마다 라인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너무나 많은데다기 자동차연비처럼 부풀려서 발표했다가는 법적문제에 걸려 문제가 생길일이 많죠
미국쪽 회사인 버클리나 스파이더 같은곳은 최대인장강도를 발표하고 있지만 일산을 비롯한 대부분의 라인들은 붕어 찌낚시에서 중요한 비중조차 공개하지 않으니 문제죠
호수별 기본인장강도는 1호부터 2kg 4 6 8 10 이렇게 해서 5호줄이 10kg급 정도 된다고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하지만 라인 성능으로 최대인장강도 만큼 중요한 매듭강도, 충격강도, 복원력, 표면마찰강도, 내후성, 내식성, 내열성 등등 고급 라인들이 갖춰야될 덕목들이 엄청 많죠
이런것들 조구사에서 양심적으로 시험해서 발표해주지 않는한 유저들은 비싼돈 꼴아박아가며 이줄저줄 다사서 써보는수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전천후로 사용중 입니다.
원줄의 종류별/ 호수별로 1m길이당 수중에서 얼마의 무게로 작용하는지
몇가지 가정치를 정해서 엑셀로 계산해 봤습니다.
계산식에 몇가지 가정치(비중)이 가미된 것이므로,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일반 나일론줄(비중0.93)은 수중에서는 오히려 부력(-)으로 작용하고,
같은 호수대비 카본줄(비중 1.8)과 세미플로팅(비중1.07) 라인의 수중무게비는 거의 10배 차이가 납니다.
공기중에는 별반 차이 없어보이는 라인들이지만 수중에서는 꽤나 큰 차이가 납니다.
원줄이 굵어질수록, 또 원줄길이가 길어지는 장대로 갈수록 그 격차가 벌이집니다.
그러므로, 예민한 채비시 현장맞춤이 더더욱 필요한 것입니다.
5호줄까지 호수별로 정리해놨으니 찼아보시면 될듯합니다.
참고로 유저들이 가장 많이 쓰는 아가미젤 3mm 방울캐미 공기중 무게는 0.22~0.23g입니다.
위의 표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카본 5호줄은 원줄길이 3미터만 되어도 수중무게가 캐미 하나보다 더 무겁습니다.
비중이 무거운 카본줄이 찌맞춤에 얼마나 영향을 많이 주는지 알수 있는 대목입니다.
또, 물에 뜨는 원줄(일반 나일론사)를 쓰는 경우 공략수심이 깊어질수록, 찌아래서 서는 원줄이 길어지면서 그만큼 부력을 타서 찌맞춤이 가볍게 됩니다. 옥내림과 같은 예민한 찌맞춤으로 낚시하는 경우 수심이 4~5m급으로 깊어지면 평소 찌 1~2미터 내리고 찌맞춤시 3목 나오던 찌가 고수심대로 내려가면 찌맞춤 중립위치가 원줄굵기와 찌톱의 굵기에 따라 4~8목 나오게 되는 것이죠. 이런상태에서 깊은 수심에서 아무 생각없이 4목 내놓고 낚시하면 미끼가 바닥에 닿은 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전체 채비가 수중에 떠있는 중층낚시를 하고 있는 것이 되고, 채비는 바람따라 물흐름 따라 자유자재로 흐르게 됩니다.
이 현상은 낚시 수십년씩한 사람들도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고, 단지 물이 대류해서 채비가 떠다닌다고 오해하기 쉽습니다.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정확한 수치로 나타내는데 까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들어간
귀중한 자료입니다
스모그님 ,고생하셨습니다
유심히 보다보니 나일론과 세미가 -,+ 만 다르고 수치가 같네요.
ㅎㅎ 잘 지내시죠? 얼굴뵌지 꽤 되었네요. 시즌도 열렸는데 여건되면 물가에서 또 뵙지요 ^^
카본 1호줄이 세미프로트 5호줄보다 수중에서는 두배나 더 무거울 정도죠.
정교한 찌낚시를 위해서는 내가 쓰는 원줄의 비중이 얼마인지는 반드시 챙겨볼 항목중에 하나입니다.
3호줄 이하라면 카본이든 세미플로트든 얼마나 차이나겠냐하고 무시했는데
이정도일줄은 몰랐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자료 올린 보람이 있습니다.
덧붙여드리자면,
모든 물체는 수중에 잠기면 물의 단위중량인 1g/cm^3(1톤/m^3)쉽게 말해 물부피 1000리터당 1톤 = 1리터당 1kg
의 부력을 받게 됩니다.
엄청난게 큰 빙산도 물의 고체인 얼음으로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물 부력의 영향으로 물에 뜹니다.
수억톤에 달하는 빙산도 물에 들어가면 아주 조그만 편납보다도 못한 무게가 되는 것이죠 ^^
물에 뜨는 줄이나 잘 잠기는 줄이나 겨우 잠기는 줄이나 물밖에서는 별차이 없어보일지는 몰라도 수중에 입수하는 순간
성질이 서로 매우 다르게 되는겁니다.
이 때문에 예민한 찌낚시를 구사하는 낚시의 경우 원줄의 비중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제대로 된 조구사라면 낚시줄 비중이 얼마인지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세미플로팅이어떤줄이지? 저는원줄2.5호를쓰는데 세미는몇호줄을써야하는지?어디서구입을해야하는지?
완전초보입니다. 고수님들한수가르쳐주세요!!
라인 비중이 1.07짜리중에 사시면 됩니다
나일론줄 비중이 0.93이면 물에 잠기지 않는다는 뜻인데
실제 낚시에 사용되는 나일론줄은 표면장력만 해결되면 가라앉습니다.
순 나일론은 비중이 그러하지만, 저도 전에 나일론이 물보다 무거운 걸로 알고 있었는데 물에 뜨니 이상한 적이 있었습니다.
낚시줄은 표면처리 때문인지 전에 낚시줄에 비중 씌어진거 겨우 찾아보면 보통 0.92~0.96 사이 정도 였습니다. 낚시줄 겉표면이 친수(?)성격을 띄면 표면장력 때문에 물이 물컵의 벽면처럼 살짝 올라타므로 수면 아래로 잠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모든 나일론 낚시줄 비중이 0.93이로 단언한 것이 아니고, 비중이 0.93인 경우로 계산해 놓은 것이니 참고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PE라인 합사도 비중이 비슷함)
찌 위쪽으로 위치한 원줄이 지푸라기 물에 떠 있듯 수면에 살짝 잠기느냐 그렇지 않느냐보다는 물보다 가벼운 원줄이 찌 아래로 내려가는 양이 변화하면, 변화되는 만큼 부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찌톱에 0점을 맞춘 예민한 맞춤의 경우 0점의 위치가 다소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