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을 찍고 올라오면 그 상황으로는 조금 무거운 맞춤이라고 할수도있지만
수조통에 찌를 얼마큼 위에서 떨어뜨리느냐에 따라서도 바닥을 찍고 올라올수
있고 같은 찌를 가지고 조심스럽게 떨어뜨릴때등 틀려질수 있을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바닥을 찍고 올라온다면 약간 무거운 맞춤일듯하구요. 찌가 수조통
에서 중간쯤 입수후 올라온다면 바닥을 찍고 올라오는것보단 가볍다고 판단이
되네요~^^
사실 조황이 좋은 경우에는 어떠한 채비도 상관없지만. 같은 조건인거 같은데 옆에는 나오는데 나만 안나오는 상황이 있습니다.
이런경우에는 포인트에 심각한 문제 있는게 아니라면. 좀더 예민한 채비로 낚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주최강님의 수조에서 그정도로 맞추시면, 카본줄의 경우에는 현장에서는 아주 무거운 맞춤이 됩니다. 특별한 고부력지가 아니라면 찌톱이 거의 다나와도 현장에서 던져보면 카본줄의 무게로 인하여 케미만 나오는 정도로 맞춰지게 될겁니다. 찌맞춤에 대한 특별한 정답이 있는건 아닙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관리터에서 좀 무겁게도 해보고 가볍게도 해보고 어떤게 좀 나은지 비교해 보기도 하는데요 그것도 그날그날 틀리더군요.ㅎㅎㅎㅎㅎ 하여간 즐낚하세요
고부력찌는 봉돌이 무거워서 무겁게 맞추면 찌를 수조에 넣으면 바닥을 찍고 올라 오지만 5~6호 이하의 봉돌을 사용하는 찌들은 봉돌이 바닥을 안 찍고 중간에서 올라올 확률이 많습니다.
무겁게 찌맞춤을 하셔도 저부력 찌들은 바닥을 잘 찍지 못합니다.
저부력이 바닥을 찍고 올라 온다면 엄청 무겁게 찌맞춤을 하신 것이고 찌부력뿐만 아니고 케미의 부력까지 더해져서 올라온 것 입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여기서 케미 빼면 케미무게가 빠져서 찌가 수면위로 찌톱이 올라올 것 같지만 되려 바닥으로 가라 앉거나 케미고무 상단 끝이 케미끝이 수면과 일치한 것 처럼 일치하게 됩니다.
*케미 달고 무겁게 찌맞춤을 하신 경우 케미 뺀다고 가벼운 찌맞춤이 되지는 않습니다.
- 물속에서 작용하는 케미의 부력과 물밖에서의 케미의 침력을 이해하시면 쉽게 알 수 있을 겁니다.
우주최강님^^*
수조에 넣었을때 바닥을 찍고 올라오거나 중간지점에 머무르다가 올라온다고 하셨죠?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일단 찌가 어떤 형태를 띄는가? 다루마형이냐 헤라형이냐
바닥을 찌고 올라왔다면 부력을 덜받는 헤라형 일 것입니다.
그리고 중간지점까지 머무르다가 올라왔다면 다루마형이고요.
다루마형은 1990년도경에 이스라엘잉어(일명 향어라고도함)가
국내에 식용으로 들어온 즈음입니다.
약한 입질에는 반응이 느리고 하여 향어를 잡는데 유용한 채비인 다루마찌가 유행이었었죠.
그전까지는 전부 헤라형(막대형)지를 사용했고요...
약한입질도 바로 전달해주는 헤라형이 찌맞춤 후 수조에 넣었을때
대부분이 바닥을찍고 올라오지요(이유는 물의 표면장력을 덜받는 길쭉한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이죠)
옆으로 부피가있는 다루마형은 찌맞춤후 넣었을때 물의저향(표면장력)을 많이받아 중간지점에서 뉴턴을하여
올라오게 된 것입니다.~~~참고하시기를~~~~
원하는답변 못드려죄송ㅋ
거즘 왠만해서 마춤하실때는 중간정도내려갓다가 다시 올라오는경우구요
거기서 더무겁게 마추거나 찌마다 틀립니다 ㅎ
수평찌마춤하실거면 바닥을찍던 공중에서2초머물던 그런거보지마시고 최종 마지막을보세요 ㅎ
맨마지막에 수평되면 됩니다 ㅎ 수조마춤시 캐미 3/2나 중간정도가 제일적당합니다 ㅎ
저부력은 덜 하구요..
찍고 올라오는건 무시하시고,표준 이던 마이너스던 최종 맞추고 싶은곳에 맞추시면 됍니다.
수조통에 찌를 얼마큼 위에서 떨어뜨리느냐에 따라서도 바닥을 찍고 올라올수
있고 같은 찌를 가지고 조심스럽게 떨어뜨릴때등 틀려질수 있을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바닥을 찍고 올라온다면 약간 무거운 맞춤일듯하구요. 찌가 수조통
에서 중간쯤 입수후 올라온다면 바닥을 찍고 올라오는것보단 가볍다고 판단이
되네요~^^
찌몸통의 재질및 그에 따른 부력을 볼때..바닥을 찍던 중간을 찍던..중요 사항이 아니니 무시하세요..
원하는 찌맞춤 상태만 보시면 됩니다..
이런경우에는 포인트에 심각한 문제 있는게 아니라면. 좀더 예민한 채비로 낚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주최강님의 수조에서 그정도로 맞추시면, 카본줄의 경우에는 현장에서는 아주 무거운 맞춤이 됩니다. 특별한 고부력지가 아니라면 찌톱이 거의 다나와도 현장에서 던져보면 카본줄의 무게로 인하여 케미만 나오는 정도로 맞춰지게 될겁니다. 찌맞춤에 대한 특별한 정답이 있는건 아닙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관리터에서 좀 무겁게도 해보고 가볍게도 해보고 어떤게 좀 나은지 비교해 보기도 하는데요 그것도 그날그날 틀리더군요.ㅎㅎㅎㅎㅎ 하여간 즐낚하세요
무겁게 찌맞춤을 하셔도 저부력 찌들은 바닥을 잘 찍지 못합니다.
저부력이 바닥을 찍고 올라 온다면 엄청 무겁게 찌맞춤을 하신 것이고 찌부력뿐만 아니고 케미의 부력까지 더해져서 올라온 것 입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여기서 케미 빼면 케미무게가 빠져서 찌가 수면위로 찌톱이 올라올 것 같지만 되려 바닥으로 가라 앉거나 케미고무 상단 끝이 케미끝이 수면과 일치한 것 처럼 일치하게 됩니다.
*케미 달고 무겁게 찌맞춤을 하신 경우 케미 뺀다고 가벼운 찌맞춤이 되지는 않습니다.
- 물속에서 작용하는 케미의 부력과 물밖에서의 케미의 침력을 이해하시면 쉽게 알 수 있을 겁니다.
수조에 넣었을때 바닥을 찍고 올라오거나 중간지점에 머무르다가 올라온다고 하셨죠?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일단 찌가 어떤 형태를 띄는가? 다루마형이냐 헤라형이냐
바닥을 찌고 올라왔다면 부력을 덜받는 헤라형 일 것입니다.
그리고 중간지점까지 머무르다가 올라왔다면 다루마형이고요.
다루마형은 1990년도경에 이스라엘잉어(일명 향어라고도함)가
국내에 식용으로 들어온 즈음입니다.
약한 입질에는 반응이 느리고 하여 향어를 잡는데 유용한 채비인 다루마찌가 유행이었었죠.
그전까지는 전부 헤라형(막대형)지를 사용했고요...
약한입질도 바로 전달해주는 헤라형이 찌맞춤 후 수조에 넣었을때
대부분이 바닥을찍고 올라오지요(이유는 물의 표면장력을 덜받는 길쭉한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이죠)
옆으로 부피가있는 다루마형은 찌맞춤후 넣었을때 물의저향(표면장력)을 많이받아 중간지점에서 뉴턴을하여
올라오게 된 것입니다.~~~참고하시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