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 찌맞춤 그대로 노지에서 적용하기는 다소 어렵다는 생각이 듭니다.
수심, 수온 등 현지 여건과 차이가 나기 때문이죠.
수조에서의 찌맞춤은 현지에 나가서 많은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조금만 가감하여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정도의 수고는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김목수님 이유는 간단합니다1m수심층과 3m수심층은 흔히말하는 잔존부력
즉 1m수심층에서의 봉돌과 찌꼽인거리(원줄길이)가 3m수심층에서의 거리가 틀리기에
원줄무게 반응과 수압차이기 때문이죠 참고로 수심이 3m이상일 경우에는 고부력 찌를 권장드리며
당연히 부력은 다시잡아야 겠지요
제 개인적인 방식이므로 정답은 결코 아니고 그냥 제가 하는 방법일 뿐입니다.
보통 찌맞춤의 이론을 설명하시는 얘기를 보면 케미끝이냐 어디냐를 산수 답안처럼 얘기 하시는 분이 많은데 전 그걸 절대적으로 보지 않습니다. 일단 제 방식은 현장의 붕어에게 물어봐라 입니다.
우선 수조에서 맞춘걸로 바로 던집니다.
입질을 보면 둔한지 예민한지 느낄 수 있습니다.
옆사람 경우와 비교할 수 있으면 더 좋지요...
무거우면 봉돌 조금 깎고 다음 입질 봅니다.
너무 가벼우면 실납더해 맞춥니다.
(노지에서 이거 열번만 해 보시면 왜 정답이 없는지를 몸소 체감하시게 될겁니다.)
가장 좋은 상태에 이르르면 낚시 마치고 집에와서 수조에 넣습니다.
제경우 대부분 원래 수조에서 맞췄던것 보다 더 올라오는게 많습니다.
이걸 기억하고 봉돌을 잃어 버리면 이와 유사하게 맞춥니다.
최적이라는것은 본인의 느낌일 뿐이지
붕어 열마리를 잡으면 같은 찌올림을 보여 주지 않고, 시간대에 따라서도 다른입질일 경우가 많습니다.
제 경험으로는 자연노지에서 이런 편차가 더 심하고
손맛터에서는 상대적으로 덜한것 같습니다.
과학적인 방법은 못되는지 몰라도 저는 이게 가장 효율적인것 같더라구요...
단, 변별력 (예민한 입질에도 반응하는)이 필요한 경우와
찌올림 감상용의 경우는 대부분의 찌맞춤에서 달라지는 경우가 많은데
아직 두개가 다 최선인 맞춤을 찾지 못했습니다.
제가 주로쓰는 방법은
수조통에서 찌맞춤을 하셨으면
(바늘까지 다 달고 찌탑을 얼마만큼 내놓고 맞췄는지 기억 하시고)
물가에 가서 바늘이 바닥에 안닿도록 찌를 최대한 봉돌쪽으로 내려서
던져 봅니다 (수심이 조금 나오는곳에서 해야겠죠^^*)
그럼 찌탑이 얼마나 나오는지 그걸 보시고
찌탑이 수면속으로 가라 앉으면 봉돌을 깎고
찌탑이 수면에 너무 많이 나오면 쇠링같은걸로 봉돌에 무게를 더해주면서
원하는 찌탑부위가 나오도록 맞추시면 됩니다
그래야 중후한 찌올림이~~~~~~~
좀 무겁긴 하죠~~~~
그래도 붕어님이 드시면 올립니다.....
본인 채비에 믿음이 없으면 낚시는 힘들어 집니다...... ^^
현장에서 바닥에서 30cm 띄운 상태에서 확인 후 가라앉지 않으면 미끼 달고 낚시합니다.
이 때 케미 한목이 나오면 찌톱을 두목이상 내고 낚시합니다.
수심, 수온 등 현지 여건과 차이가 나기 때문이죠.
수조에서의 찌맞춤은 현지에 나가서 많은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조금만 가감하여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정도의 수고는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봉돌이 무겁던 가볍던 간에 붕어가 와서 미끼를 물어야 하지요, 요걸 안 해서 그렇지 어지간히 맞추어도 찌를 다 올립니다.
실전 노지 바닥 떡밥낚시일경우 위상태로 부력잡아도 무겁습니다
이유는 수압 원줄무게 떡밥무게 때문입니다
그래서 수조찌맞춤은 현장부력체크가 필수요소입니다(바닥떡밥낚시)
수조에서 잡은부력을 실전에서 부력체크는 찌 입수과정을 보고잡습니다
채비 투척후 수면에 찌 몸통까지 드러누운체 일어남과 동시에 서서히 입수하면 부력이
맞는것이지요 너무빨리 하강을 한다면 부력이 무거우니 니퍼로 봉돌을 깍아야지요
혹자는 너무가볍다고 할진몰라도 떡밥달면 이상적으로 통용사용하는 찌 부력체크입니다
고정보다 유동이 찌 입수과정이 보기졶아요
그리고는 바로 낚시가서 바늘에 미끼 달고 명상에 빠져 듭니다..^^
찌 맞춤!! 딜레마에 빠지면 환장 합니다.. 본인 만의 스타일을 고집하시는것도 괞찮다고 생각 합니다..
4치 붕어가 8 ~ 9호 봉돌 무거운 찌 맞춤을 대물 붕어의 찌 올림을 보인다면.. 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처음한곳수심은 대략 1미터 다음은 3미터정도입니다~ 일일이 찌맞춤을 해야하는건지 모르것습니다~~
즉 1m수심층에서의 봉돌과 찌꼽인거리(원줄길이)가 3m수심층에서의 거리가 틀리기에
원줄무게 반응과 수압차이기 때문이죠 참고로 수심이 3m이상일 경우에는 고부력 찌를 권장드리며
당연히 부력은 다시잡아야 겠지요
처음 몇대가 시간이 걸리지
쪼매 익숙해 지면 금방 입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상황에 따라 조금씩 틀리니
정답은 없는거 같습니다...
제가 낚시하는 곳의 수심이 대부분 1~2M 사이에서 낚시를 즐깁니다.
때문에 거의 찌맞춤 따로 하지않고 합니다.
웬만한 붕어는 그래도 잘 올립니다.
낚시는 기다림과 믿음아닐까요?
채비에 대한 믿음...한번 의심하기 시작하면 너무너무 피곤합니다.
그래서 그냥 믿고 낚시하는 편입니다.
그냥 혼자만의 정의를 내리세요.
수조사이즈가 어떻게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제 경험으론, 전 200kg 드럼통에 물을받고 2일정도 기포가 빠지길 놔뒀다가
낚시대에 채비를 모두한뒤 찌탑 한마디에서 반마디정도로 정밀하게 조절합니다.
이때 중요한건 바늘은 달지마시고요. 봉돌까지만 달고 맞춥니다. 캐미도 달고 맞춥니다.
그다음 낚시터에 가서 그채비 그대로 투척합니다. 그러면, 수심이나, 대류 같은 온갖 잡다한 상황들이 캐미꽂이가
보이게끔 나오던지 캐미반정도 나오게 될겁니다. 그다음 바늘달고 낚시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는 모노줄이였을때만 해당됩니다. 카본줄을 사용하신다면, 약간무겁게 하시는것이 좋은데,
수조에서 카본줄로 맞추기에는 좀 그러하니, 같은 모노줄로 맞춰놓고 카본줄로 현장에서 투척했을때 살짝 무거워보이다 했을때
그대로하시면됩니다. 중요한건 바늘은 달지말고 찌맞춤하시는것이 정답입니다.
올림낚시에서 바늘을 들어야 찌올림이 표현되는것이 아니고 봉돌을 들어야 찌올림이 표현되는것이므로, 봉돌의 영점을
제대로 맞춰야 찌올림도 시원한겁니다. 그리고 찌맞춤이 아무리 잘되었더라도 미끼구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도
찌올림의 영향을 받을수 있습니다.
이동영상도 잘 참고해보세요.
유익한 정보 잘보고 갑니다
그리고 전 전자케미 사용하고 원형보기사용합니다.
몰랐던 정보들 ,,
ㅎㅎ
첨엔조금번거럽다하시겠지만숙달되면찌맞춤에서해방됩니다.
그러나, 붕어의 활성도, 현장의 수심, 물의 비중, 대류, 기온, 찌의 방수 상태, 시간대....에 따라 부력은 바뀝니다.
그러므로 현장 맞춤도 정확치는 않습니다.
기본 맞춤하신 것을 사용하되 상황에 따라 가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집에서 수평 맞춤 안하시고, 현장에서 찌맞춤하게 되면 기준 봉돌이 없음으로 현장 찌맞춤시 노력이 더 필요하죠.
그것을 조금 더 편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수조에서 케미를 다시고 찌톱 1마디 돌출하게 찌 맞춤하십시요 (바늘은 달지 않고 찌맞춤합니다)
* 여기서 주의할 사항은 핀도래에 몽돌과 소품으로 판매되는 O링 대자 2개 정도 거시고 하세요 (고수온기때를 대비해서)
현장에서 가서 스윙을 해보고 수조 찌맞춤과 동일하다면 O링 대자 1개 정도 더 거시고 바늘달고
찌톱 2마디 돌출하여 낚시하시면 됩니다.
고수온기로 접어들때에는 O링을 제거하면서 부력을 맞추시고 낚시하시면 되고여
생미끼 낚시를 하시다면 롤링도래를 장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