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스위벨 궁금증입니다

IP : e99b18375aed3b7 날짜 : 조회 : 4338 본문+댓글추천 : 0

안녕 하십니까~~관리형저수지에서만 주로 낚시하는 초보입니다 갑자기 스위벨에 굼금증이 들어 도움을 받고자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처음 스위벨채비를 할땐 찌의 부력치는 생각안하고 스위벨3호~5호정도 그날그날 잡히는거로 썼다가 작년부터는찌에 몸통과 찌탑이 만나는곳까지 본봉도로 따고 찌탑을 한마디 이내로 내릴수 있을 정도에 스위벨을 사용하여 오링 소짜로 딸칵맞춤하여 사용하였습니다 보통 찌마다 틀리지만 스위벨3호에서 6호까지 쓰게 되더군요 그런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얼마전 수제찌를 선물받았습니다 찌부력은 봉돌기준7호를 깍는정도에 부력치입니다 80짜리구요 찌탑은 0.4입니다 평소와 똑같이 몸통따고 스위벨을 다는데 헉~~ 1호 스위벨을 달아야 캐미고무 바로 아래쪽이 잡히더군요 1호면 0.2그램입니다~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아래가 너무 가벼워 중간 목줄이 꺽이는게 아닐까하구요~ 그렇게 하루 낚시하며 반마디 입질한번 보구 돌아왔습니다 원줄 모노1.2호 중간목줄 당줄2호쓰고 있습니다 수조는 없는관계로 현장찌맞춤만 합니다 저상태로 찌올림이 나타날까요? 무지 궁금합니다 스위벨 고수님들에 시원한 답변 부탁 드리겠습니다

1등! IP : f7f7459961d1982
스위벨에서 본봉돌로 몸통 스위벨로 캐미꽂이 까지 따는것은 최소한의 스위벨로 이물감을 줄여보자는 것에서 나오는
이론일 뿐입니다..일단 현장에서의 바람이나 바닥의 상태 수온등의 많은 변화요소가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스위벨이 바닥에 안착이 잘되었나가 핵심이겠지요..
모든낚시에 정해진 공식은 없다고 봅니다..현장상황에 맞추어 사용할뿐이지요..
입질이 까불거린다면 좀더 높은 호수의 스위벨을 사용하시면됩니다..
간혹 고부력찌에 너무작은 스위벨을 쓰시면 밑쪽 스위벨이 안착되지 않고 떠있는상태에
흡사 빠는 입질이 계속되니 좀더 무거운 스위벨을 달아서 채비를 안착시켜주세요
추천 1

2등! IP : 1d17082cb88555f
저도 똑같은 경험해봐서 그때 혼란스러웠는데.. 지금은 그방식은 참조만 하고 그냥 스위벨4, 5호에 수조 찌맞춤 톱한마디.. 현장에서 다시 찌맞춤 링가감해서 낚시하는데 잘올라오고 잘사라지기도하고^^ 윗분 말씀처럼 스위벨 바닥안착이 우선이라 생각합니다~
추천 0

3등! IP : 72399b876101bdf
본봉돌과 스위벨 비율을 8:2정도가 적당하다고 얘기 하시더군요...몇몇분이...
추천 0

IP : d5ebb7558956c4b
아 저방법 군계일학 놀러 갔다가 성제현 사징님한테 여쭈어 본적 있는데
아. 아. 음. 암튼. 다르게 이야기 하시더라구요. 몸통따고 스위벨 장착하는거에 대해서.
추천 0

IP : b5e71ad90abefd7
스위벨로 찌탑을 따는게 아니고 본봉돌을 가감하여 케미꽂이아래 잡히게 하십시요 님 채비 모노 1-2호면 스위벨 2-3호면 충분합니다 윗목줄 20-30 주시고 어느 찌건 어느 낚시대건 본봉돌로 가감하여 찌를 한두마디 올리면 그 무게로 스위벨이 안착됩참고로 노지에서나 5호 정도사용합니다 손맛터나 관리형저수지에서 쓰시기엔 부력이 너무나가는듯 합니다 물론 사용 가능하지만 지금 수온에선 예민한 어신파악이 힘들듯합니다 참고로 저는 카본 2호에 스위벨 5호 노지낚시만 합니다 도움돼셨길 바라며 좀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군계일학 가시면 확인 하실수 있읍니다
추천 0

IP : 12878308490231c
저는 카본2호줄에
5호스위벨 사용하고 본봉돌(편납) 스위벨 단차
합사10센치 정도 준후
편납잘라가면서 바늘빼고 케미고무만 딱보이게하고
바늘달아서 한목 보이고 사용합니다
초보라 제방법에 확신은 없지만 찌올림이90%라
스위벨이 확실히 안착됐다라는 마음으로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