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스위벨 채비 사선입수?

IP : bc3cfb970ae4387 날짜 : 조회 : 8735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오늘 스위벨 채비로 손맛터 다녀왔는데 궁굼한게 있습니다,,, 낚시대는 체어맨32쌍포에 찌는 군계일학 특작물방게 장찌(70cm)부력은 긴도래 4호에서 가감 스위벨3호에 윗목줄 20cm 아랫목줄4~5cm, 수심 2m권! 수심측정하고 s싸이즈 o링2개 물리구 케미 3/2노출 바늘은 붕어바늘 4호 이렇게 셋틍후 낚시를하는데 사선 입수라 그런지 찌가 점점 앞으로 옵니다? 쌍포로 운영하다보니 찌위치가 케스팅후 멀리서 안착후 떡밥이 풀리면 수직으로 스는지 도무지 스위벨 감잡기가 힘듭니다 ㅠㅠ 이봉채비시에는 잘 못 느끼는 문제점 같은데 찌맞춤이 문제인가요??

1등! IP : 1a11c76e500bebd
저도그런경우가 있어서스위벨4호쓰니 조금나아진것같아요
트히노지에서는 더합니다,,,
추천 0

2등! IP : 32a83e0b742a3d8
님의 글을 몇번이나 읽어보고, 머리속에서 상상해 보아도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사선입수라고 하셨는데, 스웨벨 채비는 사선입수를 최소화 하기위한 분납봉돌 채비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케스팅후 찌는 누워서 끌려옵니다.
봉돌이 제 자리를 잡을때쯤, 찌가 직립하고, 서서히 내려가다가, 약 4마디 정도(상단목줄 길이에 따라 다르겠죠)에서
잠깐 멈칫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다시 한번 더 입수를 하지요. 그것은 스웨벨이 바닥에 닿았다는 신호입니다.
이때 찌의 노출은 약 2마디정도가 적당하다고 하시던데...

앞으로 끌려온다고 하시니, 제 생각에는 찌맞춤이 가볍고, 물 흐름에 떠밀려 오는것 같습니다.
찌 길이에 따라 차이는 있습니다만, 보통 찌톱이 카본소재이고, 길이가 20센티 내외정도일때
스웨벨을 빼고 본 봉돌만으로 해보면, 거의 찌톱이 다 노출됩니다.
즉 찌톱의 내림은 스웨벨이 하게 되는것이죠.

저의 경우 사선입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투척후 낚시대를 약 30센티 정도 뒤로 뺍니다.
그리고 찌가 직립을 하여 내려가기 시작하면, 다시 앞으로 밀어줍니다.
추천 0

3등! IP : 319e50526d1eeda
스위벨과 같은 좁쌀봉돌을 사용을 합니다.
얼마전에 쌍포를 운영하다가 찌를 하나 빼앗겨서..ㅠㅠ 다른찌로 바꿨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다른건 다 똑같은데 찌만 바꿨을 뿐인데...수조 테스트 결과 차이가 있더군요.
그전 사용 찌는 저부력찌인데 케미 중간 하니까 좁쌀이 살짝 떠서 가벼운 맞춤이 되더군요.
그래서 케미 탑까지 맞춰보니 좁쌀이 안착을 하더군요.(군계일학 동영상과 좀 차이가 나서 황당했네요.)

이번에 바뀐 고부력 찌는 케미 중간맞춤(군계일학과 동일) 해야만 좁쌀이 안착을 하더군요...;;
제 생각인데 찌와 줄과 바늘의 영향이 좁쌀의 안착 여부를 좌지우지 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출조 전 꼭 찌 맞춤을 수조로 해보고 갑니다.
또한 가급적이면 줄과 찌와 바늘은 동일 상표와 호수를 사용 하려고 합니다.
이상 허접한 답변 이었습니다~ ^---^
추천 0

IP : 13acf7e76055e3f
찌유동채비, 바트대 뒤로 당겼다가 밀어주기 등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찌 안착지점의 수심보다 님께서 앉은 자리쪽이
더 깊은 경우에 생길 수 있는 현상으로 보여집니다.

손맛터라면...
채비 안착지점으로부터 님쪽 방향에
지속적인 투척으로 인해 집어된 붕어의 움직임에 의해 감탕이 패인자리가 있거나
님의 채비가 남들보다 조금 더 길어서.....^^*
노지라면...
앞쪽에 물골자리가 있어서 오히려 점점 깊어지거나
부교나 수상좌대에서 연안쪽 수심이 낮은 곳으로 투척 하는 경우에도
그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초 찌맞춤시 무바늘 상태에서
주변 수심을 정확히 체크하시는 습관을 들이시면
자연스럽게 해결되실 듯 합니다.
즐낚하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