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를 모양별로 분류해보면 전통적인 막대형찌에서부터 부력중심을 찌의 중앙에 모아 둔 다루마형 그리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가 많습니다.
전통적인 막대형찌에서 점차 다루마형으로 변화를 하게 된 이유는 붕어들이 약아빠져서(특히 양어장의 수입붕어)작은 입질에도 찌오름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 변화하게 된 것 입니다.
특히 관리형 저수지에서 수입붕어를 대상으로하는 낚시의 경우 채비를 되도록 가볍고(찌) 가늘고(원줄 및 목줄) 작게(바늘) 쓰려고 무진 애를 씁니다.
그래서 무슨 얼레벌레 채비니 분할 봉돌채비니 하는 기법들이 생겨난 것 입니다.
좁쌀봉돌 채비의 경우 봉돌과 좁쌀을 이어주는 제1목줄은 12cm정도로하고 좁쌀에서 바늘까지의 제2목줄은 4cm정도면 아주 좋습니다 원줄과 바늘 찌맞춤등은 시행착오를 거듭해야 나만의 채비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꼭 잡아야만 하는 낚시보다 환경을 먼저 생각하고 주변 사람들을 배려하는 즐거운 낚시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바늘만 빼고 일반채비와 같이 찌 마춤하면 됩니다
찌맞춤도 똑같이 하시면 됩니다
전통적인 막대형찌에서 점차 다루마형으로 변화를 하게 된 이유는 붕어들이 약아빠져서(특히 양어장의 수입붕어)작은 입질에도 찌오름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 변화하게 된 것 입니다.
특히 관리형 저수지에서 수입붕어를 대상으로하는 낚시의 경우 채비를 되도록 가볍고(찌) 가늘고(원줄 및 목줄) 작게(바늘) 쓰려고 무진 애를 씁니다.
그래서 무슨 얼레벌레 채비니 분할 봉돌채비니 하는 기법들이 생겨난 것 입니다.
좁쌀봉돌 채비의 경우 봉돌과 좁쌀을 이어주는 제1목줄은 12cm정도로하고 좁쌀에서 바늘까지의 제2목줄은 4cm정도면 아주 좋습니다 원줄과 바늘 찌맞춤등은 시행착오를 거듭해야 나만의 채비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꼭 잡아야만 하는 낚시보다 환경을 먼저 생각하고 주변 사람들을 배려하는 즐거운 낚시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