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계일학에서나 이 사이트에서 스위벨채비를 한 상태에서의 찌맞춤시
바늘을 달지않고 한다고 되어있습니다.
눈이 어두운 저로서는 찌맞춤시에는 바늘을 빼고 맞추고
그 다음에 바늘을 다는 것이 여간 고역이 아닙니다.
그래서 저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합니다. 물론 바늘은 밝은 곳에서 스위벨에 미리 장착해 둡니다.
(1) 찌+약간 무거운 봉돌+스위벨채비+바늘을 단다
(2) 이 모두를 물에 던져본다.
(3) 케미전체가 물속에 있으면서 케미꼭지만 물표면에 닿여있는 상태에 다달을때까지 봉돌을 조금씩 깎는다
(4) 낚시할때는 물밖으로 케미가 모두 노출되고 그 밑으로 1센티 정도 내놓는다.
이렇게 해보니까 바늘 달지않고 찌맞춤한 후에 바늘을 달때(군계일학에서 가르쳐준 방법)와
결과적으로 같다는 느낌을 받고 있습니다. 집에 있는 수조에서 실험을 해도 결과는 비슷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그래도 바늘을 달지않는쪽이 보다 정밀한 맞춤인가요?
바늘을 달지않고 찌맞춤한후(군계일학에서 가르쳐준 방법)에는 무게가 다른 호수의 바늘로 교체해도
관계가 없는점이 장점이기는 합니다마는...
제 방법에 의한 경우에서 낚시도중에 바늘을 교체해야할때,
크기와 호수가 똑같은 바늘일 경우 교체해도 달라지지않을 것이며
크기와 호수가 다른 바늘일 경우에는 봉돌을 더 깎거나 O링를 더해주는 방식으로
조절이 가능하지않을까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그 때 바늘을 포함해서 캐미 중간까지 찌맞춤을 했었습니다
스위벨 채비나 방랑자 채비나 분납을하는 의미인데
분납의경우 찌맞춤이 중요하다는 생각입니다..
바늘을 달고 수평맞춤을 해서 실제 낚시때는 한목정도 내놓고 한다면
스위벨이 바닥에 닿다고 할수 있습니다
단,
가장 중요한점이 스위벨이 바닥에 살짝 안착하는 정도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봤을때
군계일학 동영상과 같이 바늘없이 맞추는게 쫌더 정확하지 않나 쉽네요
지극히 개인적인 제 생각입니다
저도 바늘달고 가끔 찌맞춤 합니다. 스위벨이 바늘보다 많이 무거우면 스위벨이 바닥에 먼저 닿기에
바늘의 무게는 무시가 되더군요.
전 수조 찌마춤이 제일 좋다고 생각하는사람입니다.....(개인적인취향입니다 절대적인거 아닙니다)
어제 밤에 스위벨 찌맞춤4개하였는데요...물론 낚시 현장에서 바늘포함해서 케미 살짝 노출후까지 찌맞춤후 낚시해도별상관은 없을뜻합니다....
전 수조통에서 바늘 뺀후 케미한마디 밑까지 맞춘후 사용하는데요...
케미 수평에서 케미을 한마디 노출시킬때까지 봉돌깍으려면 정말 놀랄정도로 많은 봉돌을깍아네야합니다...
군계일학 스위벨체비는 오링가감으로 입질 조정하는방법이잔아요..
처음찌맞춤할때 오링은 3-4개 넣어서 맞춤한후 현장찜맞춤후 오링 3-4개 다빼보세요....
똑같은 상황일겁니다.....한번해보세요....글로 쓰기가 너무 힘드네요...
안출하세요 .....건강 조심하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