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벨채비 기둥줄(본봉돌과 스위벨사이)을 가늘고 부드러운 PE라인을 사용할 경우 지장이 없을까요? 기둥줄이 너무 가늘고 부드러우면 어떤 차이가 생길까요?
목록 이전글다음글 [질문/답변] 스위벨채비의 기둥줄의 차이 댓글 15 인쇄 신고 주희파파 IP : 9c91a750159c8fd 날짜 : 2013-03-31 14:02 조회 : 13099 본문+댓글추천 : 0 스위벨채비 기둥줄(본봉돌과 스위벨사이)을 가늘고 부드러운 PE라인을 사용할 경우 지장이 없을까요? 기둥줄이 너무 가늘고 부드러우면 어떤 차이가 생길까요? 추천 0 1등! dlwkdnjs13-03-31 16:26 IP : 67f326172374d7e 찌가 뜨려는걸 봉돌이 붙잡고 있습니다. 찌올림과 채비에서 붕어가 채비 전체를 들어올린다는 오해가 자주 생깁니다. 그런식의 움직임이 찌에 표현되려면 중간줄은 아예 휘지도 않는 철사나 딱딱한 것이어야 할것입니다. 그렇지만 찌는 떠오르려 하고 그걸 간신히 붙잡고 있는 스위벨이 뜨면서 일정침력이 사라지면 기둥줄의 재질과는 전혀 관계없이 찌올림은 나타납니다. 붕어가 채비를 들어올리는것이 아니고, 간신히 누르는 작은 균형만 깨뜨려주는것이기 때문에 기둥줄은 항상 내려가려는 봉돌과 항상 떠오르려는 찌 사이에서 펴져 있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찌가 뜨려는걸 봉돌이 붙잡고 있습니다. 찌올림과 채비에서 붕어가 채비 전체를 들어올린다는 오해가 자주 생깁니다. 그런식의 움직임이 찌에 표현되려면 중간줄은 아예 휘지도 않는 철사나 딱딱한 것이어야 할것입니다. 그렇지만 찌는 떠오르려 하고 그걸 간신히 붙잡고 있는 스위벨이 뜨면서 일정침력이 사라지면 기둥줄의 재질과는 전혀 관계없이 찌올림은 나타납니다. 붕어가 채비를 들어올리는것이 아니고, 간신히 누르는 작은 균형만 깨뜨려주는것이기 때문에 기둥줄은 항상 내려가려는 봉돌과 항상 떠오르려는 찌 사이에서 펴져 있습니다. 2등! 오르라13-03-31 18:05 IP : 81fc5757c88a75d 찌올림에는 차이가 없다 할수있지만, 첫째 사선입수될 확률이높고, 둘째 기둥줄이 탄성이좋은(원줄로도 사용가능) 재질로 사용하면 찌에 전달력이 좋아져 예민한 반응이 나타납니다. 셋째 부드러운 합사종류는 꼬임현상이 많이 발생합니다. 여러면에서 기둥줄을 원줄로 사용하시면 유리한점이 많습니다. 해결사채비 참고하세요. 신고하기 추천 0 찌올림에는 차이가 없다 할수있지만, 첫째 사선입수될 확률이높고, 둘째 기둥줄이 탄성이좋은(원줄로도 사용가능) 재질로 사용하면 찌에 전달력이 좋아져 예민한 반응이 나타납니다. 셋째 부드러운 합사종류는 꼬임현상이 많이 발생합니다. 여러면에서 기둥줄을 원줄로 사용하시면 유리한점이 많습니다. 해결사채비 참고하세요. 3등! 출조대물왕13-03-31 19:44 IP : ca7cef5fe9437d6 기둥줄을 원줄보다 1배적은 라인으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사선입수도 거의 안대고 아니면 당줄이나 스파이더합사도 괜찮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1 기둥줄을 원줄보다 1배적은 라인으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사선입수도 거의 안대고 아니면 당줄이나 스파이더합사도 괜찮습니다. 주희파파13-03-31 20:00 IP : 9c91a750159c8fd 오르라님, 출조대물왕님 감사합니다. 기둥줄의 재질에 따라 사선입수가 되는 원리와 이유는 뭔지 궁금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오르라님, 출조대물왕님 감사합니다. 기둥줄의 재질에 따라 사선입수가 되는 원리와 이유는 뭔지 궁금합니다. 오르라13-03-31 21:17 IP : 81fc5757c88a75d 채비를 투척하면 본봉돌과 스위벨의 거리간격의 사선을 말합니다. 기둥줄이 부드러우면 본봉돌과 스위벨의 거리에서 사선이로 안착되기쉽습니다. 투척시 반스윙이나 기술적으로 투척하면 해결할수는 있습니다. 해결사 채비처럼 직결로 연결이되면 채비도 단순하고 예민성도 좋아집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채비를 투척하면 본봉돌과 스위벨의 거리간격의 사선을 말합니다. 기둥줄이 부드러우면 본봉돌과 스위벨의 거리에서 사선이로 안착되기쉽습니다. 투척시 반스윙이나 기술적으로 투척하면 해결할수는 있습니다. 해결사 채비처럼 직결로 연결이되면 채비도 단순하고 예민성도 좋아집니다. 『큰거한방』13-03-31 21:20 IP : 58238e04e32d42c 또한가지가 PE합사는 너무 부드러워 가끔 기둥목줄과 바늘목줄이 엉킬경우 풀기가 너무 어려워요^^;; 신고하기 추천 0 또한가지가 PE합사는 너무 부드러워 가끔 기둥목줄과 바늘목줄이 엉킬경우 풀기가 너무 어려워요^^;; 이명13-03-31 23:25 IP : d12948d62ed3895 채비운용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PE줄이 너무 가늘어서 엉키면 풀기 힘듭니다.. 이것 빼고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1 채비운용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PE줄이 너무 가늘어서 엉키면 풀기 힘듭니다.. 이것 빼고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무월척조사13-04-04 11:05 IP : f8c713f10f65849 스위벨채비 4대정도 채비해서 낚시를 합니다 기둥줄 pe1.2호로 세팅되어있구요 제가 낚시해본봐로는 별 문제 없었습니다 찌도 잘올려주고요 신고하기 추천 0 스위벨채비 4대정도 채비해서 낚시를 합니다 기둥줄 pe1.2호로 세팅되어있구요 제가 낚시해본봐로는 별 문제 없었습니다 찌도 잘올려주고요 모구13-04-05 11:43 IP : b95a5b7b7131ec6 기둥줄은 부드러운것이 좋습니다 모노는 이물감으로 작용할수도있습니다 당줄사용하는데 엉킨적은 한번도 없었구여 바늘은 엉킨적은 몇번있었네요 신고하기 추천 1 기둥줄은 부드러운것이 좋습니다 모노는 이물감으로 작용할수도있습니다 당줄사용하는데 엉킨적은 한번도 없었구여 바늘은 엉킨적은 몇번있었네요 최문석13-04-06 17:46 IP : 9bc7a22a1c9299f 케브라 합사 쓰는데 아무이상 없던데여?! 꼬인적도 없어여ㅋ 제생각은 빳빳한 줄보단 부드러운 줄을사용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요ㅋ 신고하기 추천 0 케브라 합사 쓰는데 아무이상 없던데여?! 꼬인적도 없어여ㅋ 제생각은 빳빳한 줄보단 부드러운 줄을사용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요ㅋ wacello13-04-07 16:45 IP : 5dfb48884f56da9 줄꼬임 말고는 상관 없습니다. 사선입수하고는 문제가 없죠.. 기둥줄이 아주 길다면 사선입수와 관련있겠지만. 기둥줄의 재질에는 상관이 없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줄꼬임 말고는 상관 없습니다. 사선입수하고는 문제가 없죠.. 기둥줄이 아주 길다면 사선입수와 관련있겠지만. 기둥줄의 재질에는 상관이 없습니다. 허송세월1013-04-08 12:27 IP : 4e1a6f002d3f3af 가는 줄로 사용할 경우 탄성으로 입질전달력이 떨어진다고 알고있습니다. PE합사 3호 이상 사용하면 좋다네요. 편대채비 중 강선으로 되어있는 채비도 그러한 이유라고 생각되네요. 신고하기 추천 0 가는 줄로 사용할 경우 탄성으로 입질전달력이 떨어진다고 알고있습니다. PE합사 3호 이상 사용하면 좋다네요. 편대채비 중 강선으로 되어있는 채비도 그러한 이유라고 생각되네요. 이명13-04-08 23:47 IP : d5cee927f2a1fdb pe줄은 늘어나는 성질(탄성)이 없습니다 탄성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pe줄은 늘어나는 성질(탄성)이 없습니다 탄성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빛의예술13-04-09 05:11 IP : 0b7728a61a8bc5d 스위벨1호 pe합사0,2호 극단으로 세팅해보는데요,감도면에서 어떨지 아직사용전입니다, pe합사0.3호 까지는사용해봤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스위벨1호 pe합사0,2호 극단으로 세팅해보는데요,감도면에서 어떨지 아직사용전입니다, pe합사0.3호 까지는사용해봤습니다, 허송세월1013-04-09 07:48 IP : f1a46ee0be13436 늘어나는 탄성이 아니라(저도 탄성이라고 하기에는 무리라고ㅎ)잘 휜다고 해야겠죠ㅎ 저도 별차이 없을 것이다 생각하지만 배우기를 그리배워서ㅎ 그런갑다~ 하고 어느정도 직립성이 유지되는 제품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음에 실험해봐야겠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늘어나는 탄성이 아니라(저도 탄성이라고 하기에는 무리라고ㅎ)잘 휜다고 해야겠죠ㅎ 저도 별차이 없을 것이다 생각하지만 배우기를 그리배워서ㅎ 그런갑다~ 하고 어느정도 직립성이 유지되는 제품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음에 실험해봐야겠습니다. 목록 이전글다음글 하단에 목록보기
1등! dlwkdnjs13-03-31 16:26 IP : 67f326172374d7e 찌가 뜨려는걸 봉돌이 붙잡고 있습니다. 찌올림과 채비에서 붕어가 채비 전체를 들어올린다는 오해가 자주 생깁니다. 그런식의 움직임이 찌에 표현되려면 중간줄은 아예 휘지도 않는 철사나 딱딱한 것이어야 할것입니다. 그렇지만 찌는 떠오르려 하고 그걸 간신히 붙잡고 있는 스위벨이 뜨면서 일정침력이 사라지면 기둥줄의 재질과는 전혀 관계없이 찌올림은 나타납니다. 붕어가 채비를 들어올리는것이 아니고, 간신히 누르는 작은 균형만 깨뜨려주는것이기 때문에 기둥줄은 항상 내려가려는 봉돌과 항상 떠오르려는 찌 사이에서 펴져 있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0
2등! 오르라13-03-31 18:05 IP : 81fc5757c88a75d 찌올림에는 차이가 없다 할수있지만, 첫째 사선입수될 확률이높고, 둘째 기둥줄이 탄성이좋은(원줄로도 사용가능) 재질로 사용하면 찌에 전달력이 좋아져 예민한 반응이 나타납니다. 셋째 부드러운 합사종류는 꼬임현상이 많이 발생합니다. 여러면에서 기둥줄을 원줄로 사용하시면 유리한점이 많습니다. 해결사채비 참고하세요. 신고하기 추천 0
3등! 출조대물왕13-03-31 19:44 IP : ca7cef5fe9437d6 기둥줄을 원줄보다 1배적은 라인으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사선입수도 거의 안대고 아니면 당줄이나 스파이더합사도 괜찮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1
주희파파13-03-31 20:00 IP : 9c91a750159c8fd 오르라님, 출조대물왕님 감사합니다. 기둥줄의 재질에 따라 사선입수가 되는 원리와 이유는 뭔지 궁금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오르라13-03-31 21:17 IP : 81fc5757c88a75d 채비를 투척하면 본봉돌과 스위벨의 거리간격의 사선을 말합니다. 기둥줄이 부드러우면 본봉돌과 스위벨의 거리에서 사선이로 안착되기쉽습니다. 투척시 반스윙이나 기술적으로 투척하면 해결할수는 있습니다. 해결사 채비처럼 직결로 연결이되면 채비도 단순하고 예민성도 좋아집니다. 신고하기 추천 0
『큰거한방』13-03-31 21:20 IP : 58238e04e32d42c 또한가지가 PE합사는 너무 부드러워 가끔 기둥목줄과 바늘목줄이 엉킬경우 풀기가 너무 어려워요^^;; 신고하기 추천 0
이명13-03-31 23:25 IP : d12948d62ed3895 채비운용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PE줄이 너무 가늘어서 엉키면 풀기 힘듭니다.. 이것 빼고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1
무월척조사13-04-04 11:05 IP : f8c713f10f65849 스위벨채비 4대정도 채비해서 낚시를 합니다 기둥줄 pe1.2호로 세팅되어있구요 제가 낚시해본봐로는 별 문제 없었습니다 찌도 잘올려주고요 신고하기 추천 0
모구13-04-05 11:43 IP : b95a5b7b7131ec6 기둥줄은 부드러운것이 좋습니다 모노는 이물감으로 작용할수도있습니다 당줄사용하는데 엉킨적은 한번도 없었구여 바늘은 엉킨적은 몇번있었네요 신고하기 추천 1
최문석13-04-06 17:46 IP : 9bc7a22a1c9299f 케브라 합사 쓰는데 아무이상 없던데여?! 꼬인적도 없어여ㅋ 제생각은 빳빳한 줄보단 부드러운 줄을사용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요ㅋ 신고하기 추천 0
wacello13-04-07 16:45 IP : 5dfb48884f56da9 줄꼬임 말고는 상관 없습니다. 사선입수하고는 문제가 없죠.. 기둥줄이 아주 길다면 사선입수와 관련있겠지만. 기둥줄의 재질에는 상관이 없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0
허송세월1013-04-08 12:27 IP : 4e1a6f002d3f3af 가는 줄로 사용할 경우 탄성으로 입질전달력이 떨어진다고 알고있습니다. PE합사 3호 이상 사용하면 좋다네요. 편대채비 중 강선으로 되어있는 채비도 그러한 이유라고 생각되네요. 신고하기 추천 0
빛의예술13-04-09 05:11 IP : 0b7728a61a8bc5d 스위벨1호 pe합사0,2호 극단으로 세팅해보는데요,감도면에서 어떨지 아직사용전입니다, pe합사0.3호 까지는사용해봤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0
허송세월1013-04-09 07:48 IP : f1a46ee0be13436 늘어나는 탄성이 아니라(저도 탄성이라고 하기에는 무리라고ㅎ)잘 휜다고 해야겠죠ㅎ 저도 별차이 없을 것이다 생각하지만 배우기를 그리배워서ㅎ 그런갑다~ 하고 어느정도 직립성이 유지되는 제품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음에 실험해봐야겠습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찌올림과 채비에서 붕어가 채비 전체를 들어올린다는 오해가 자주 생깁니다.
그런식의 움직임이 찌에 표현되려면 중간줄은 아예 휘지도 않는 철사나 딱딱한 것이어야 할것입니다.
그렇지만 찌는 떠오르려 하고 그걸 간신히 붙잡고 있는 스위벨이 뜨면서 일정침력이 사라지면
기둥줄의 재질과는 전혀 관계없이 찌올림은 나타납니다.
붕어가 채비를 들어올리는것이 아니고, 간신히 누르는 작은 균형만 깨뜨려주는것이기 때문에
기둥줄은 항상 내려가려는 봉돌과 항상 떠오르려는 찌 사이에서 펴져 있습니다.
첫째 사선입수될 확률이높고,
둘째 기둥줄이 탄성이좋은(원줄로도 사용가능) 재질로 사용하면 찌에 전달력이 좋아져 예민한 반응이 나타납니다.
셋째 부드러운 합사종류는 꼬임현상이 많이 발생합니다.
여러면에서 기둥줄을 원줄로 사용하시면 유리한점이 많습니다.
해결사채비 참고하세요.
아니면 당줄이나 스파이더합사도 괜찮습니다.
기둥줄의 재질에 따라 사선입수가 되는 원리와 이유는 뭔지 궁금합니다.
기둥줄이 부드러우면 본봉돌과 스위벨의 거리에서 사선이로 안착되기쉽습니다.
투척시 반스윙이나 기술적으로 투척하면 해결할수는 있습니다.
해결사 채비처럼 직결로 연결이되면 채비도 단순하고 예민성도 좋아집니다.
풀기가 너무 어려워요^^;;
하지만 PE줄이 너무 가늘어서 엉키면 풀기 힘듭니다..
이것 빼고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기둥줄 pe1.2호로 세팅되어있구요
제가 낚시해본봐로는 별 문제 없었습니다
찌도 잘올려주고요
모노는 이물감으로 작용할수도있습니다
당줄사용하는데 엉킨적은 한번도 없었구여
바늘은 엉킨적은 몇번있었네요
사선입수하고는 문제가 없죠..
기둥줄이 아주 길다면 사선입수와 관련있겠지만.
기둥줄의 재질에는 상관이 없습니다.
PE합사 3호 이상 사용하면 좋다네요. 편대채비 중 강선으로 되어있는 채비도 그러한 이유라고 생각되네요.
탄성과는 전혀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