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 수심층이 없지 않나 생각이 됩니다..
몇일전 계곡지를 다녀왔는데 3~4m권수심을 노렸지만 입질은 없엇고 아침에 바로 발앞 40정도 되는수심에서 70정도 되는 잉어와 4짜는 족히 되보이는 붕어가 유유히 지나가는걸 보았으니 다음번에는 뒤로 죽빼서 발앞 1m이내권을 다시한번 노려볼려고 합니다..
포인트 선정하시고 자신이 가장좋아하는 수심대의 대를 펼치시는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어떤수심대에 있는지는 붕어마음이라...
낚시에서 가장 어려운점이 그때그때 다른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확률적으로는 맞더라도 그날 그게 적중한다는 보장이 없으니
아무리 오래해도 정답은 찾을수 없는것 같습니다.
계절과 지형에 따라 차이가 클 수 있기에 이 질문에 대한 정답은 얻기도 어려우시겠지만
설사 얻었다 하더라도 실전에서는 아무소용이 없을듯 합니다.
직접 여러번 시도해보고 나서 갖게되는 감이 그나마 제일 정확할듯 하네요...
몇일전 계곡지를 다녀왔는데 3~4m권수심을 노렸지만 입질은 없엇고 아침에 바로 발앞 40정도 되는수심에서 70정도 되는 잉어와 4짜는 족히 되보이는 붕어가 유유히 지나가는걸 보았으니 다음번에는 뒤로 죽빼서 발앞 1m이내권을 다시한번 노려볼려고 합니다..
포인트 선정하시고 자신이 가장좋아하는 수심대의 대를 펼치시는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어떤수심대에 있는지는 붕어마음이라...
1.밤낚시는...
2.수심이 1m - 1.5m
3.이정도의 수심이 이상적 입니다.
4.그런데...
5.준계곡.계곡지
6.이곳은...
7.밤낚시의 수심이 3m - 5m
8.깊은 수심에서...
9.밤낚시가 잘 되기도 합니다.
10.오전에는 수심이...
11.깊은곳. 낮은곳 가리지않고 유리합나다.
12.낮낚시에는 수심이 (깊은곳)이 유리합니다.
평시형 수초지대라면 같은 포인트에서 낮낚시 밤낚시를 겸할 수 있지만
맹탕 계곡지에서 낮낚시 밤낚시를 겸한다면 회유하는 길목을 노리십시요
붕어가 먹이 활동을 한다면 밤이거 낮이건 일정시간에 회유를 합니다.
계곡지의 회유목은 급경사면과 저수지 본바닥 또는 완경사면과 만나는 경계지점입니다.
찾는 방법은 비교적 긴대에 무거운 채비를 달고 투척하여
찌를 살살 끌고오면서 급격히 찌톱이 상승하는 지점을 찾으면 됩니다.
확률적으로는 맞더라도 그날 그게 적중한다는 보장이 없으니
아무리 오래해도 정답은 찾을수 없는것 같습니다.
계절과 지형에 따라 차이가 클 수 있기에 이 질문에 대한 정답은 얻기도 어려우시겠지만
설사 얻었다 하더라도 실전에서는 아무소용이 없을듯 합니다.
직접 여러번 시도해보고 나서 갖게되는 감이 그나마 제일 정확할듯 하네요...
거의 앞포인트만 보고 자리를 잡는데 생각을 좀 달리 해야 될꺼 같습니다.
.
수로는 앞포인트만 보고 정하는게 대부분이지만 저수지는 좀 다르다 봅니다 중류든 상류든 상관없이
조금 일찍 도착해서 저수지 한바퀴 둘러 보는것도 큰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앞쪽과 옆쪽을 같이 염두에 두신다면 별로 고민할꺼 없습니다 앞은2~3미터권이면 옆은1미터 내외일겁니다..
상황에 따라서 앞으로 편성하다가 옆으로 돌리면 될꺼 같은데요..
저같은 경우는 저수지가면 가끔 이렇게 합니다 뜻하지 않게 재미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계곡지에서 밤낚시...
일반저수지와는다르게
수심이깊을수록 징거미의극성이 심합니다
배수가없다면
아직까지는 상류쪽이 유리하다고 감히말씀드리고싶네요
유리하다...
불리하다...라는조건은 붕어들이 회유를하느냐안하느냐에따른 것입니다
저수온기가되기전까지는 계곡지나준계곡지라해도붕어들의회유는계속된다고봐야
할것입니다
이러한연유에서볼때
먹이활동은 아주깊은곳보다는 낮은곳에서의활동이더활발하지않을까하는갠적인생각입니다
물론
수초가형성된곳이라면 더말할나위없이 좋은조건이라할수있을것이고요
저수온기가되면
우리꾼들은 포인트이동을 두세번정도 하게되는데
이때 낮낚시와밤낚시의수심층을 다르게해야되기때문입니다
낮에뎁혀진 수온이 새벽녁에는 표면온도가 낮아지고 뎁혀진수온은깊은쪽으로 내려가기때문에
붕어들또한 따듯한수온을따라 이동을하기때문이죠
질문의대한댓글이좀 엉뚱한곳으로흘렀네요
안출하시고어복충만하시길바랍니다
그러니까 정답이 없는거같아요
항상 즐거운 맘으로 낚시하세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