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방랑자채비, 스위벨채비(좁쌀봉돌), 안내병 채비 등등등..... 여러가지 채비가 있습니다.
주로 어떤 채비를 많이 사용하세요?
그리고 정말 효과가 있나요?
물론 하우스나 양식장형태의 낚시터에서는 채비에 따라서 조과가 차이가 나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봤습니다.
저도 경험해 본적이 있구요, 입질이 예민한 곳은 채비가 나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노지에서 정말 차이가 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위 3개의 채비를 각각 준비해서 동시에 낚시를 해보면 어느 한개의 채비에만 입질이 들어 오는 경우를 경험한 적이 없습니다.
낚시가 되는 날은 비슷한 입질이 들어오고(형태는 다르지만) 꽝인날은 3개 채비가 동시에 말뚝이었습니다.
요즘은 노지에 출조할때는 채비보다는 찌맞춤 잘하고, 좋은 자리에 신경쓰는 편입니다.
고수님들 계시면 채비에 대한 노하우 좀 부탁드립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특히 저 수온기때는 입질파악 힘든데 스위벨하면 좀 더 올리더라고요.
안출하세요~~
다만 예민성에 중점을 둔 낚시기법이라고 할수 있죠
경험상 같이 출조했던 일행들은 바닥을 고수했는데
저는 옥내림과 방랑자채비를 겸해서 낚시를 하여 월등히 좋은 조과차이를 보았습니다
믿음을 가지고 재도전해보세요~^^
활성도가 좋을때는 채비보다는 포인트를 잘 정했느냐가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
제가 스위벨체비를 했었구요 건너편은 무거운 대물채비로 낚시를 하셨는데요 저는 두마리 잡았구요
그분은 6마리 잡으시더라구요 ^^
제가가는곳 연령이 많으신분들 많이오시는데 다들 약간 무식할정도의 무거운 채비를 쓰시는데요
무조건 그분들 말씀과 낚시모습보니 포인트가 문제지 채비는 별문제가 안되더군요 ^^
전통바닥(봉돌이 바닥)낚시 채비 보다는....
그러나 찌 올림,찌 보기...등에서 중후한 멋진 찌올림을 생각한다면
바닥낚시가 훨씬 좋습니다.
요즘 그 멋진 찌맛이 그립습니다.
바닥채비,좁쌀채비,옥내림 세가지 다 합니다.
저는 내림 또는 얼레벌레 상황에 따라 하고 있는데
친구는 편안히 낚시를 하고
저는 피곤한 낚시를 한답니다.
결과적으로는 친구의 조과보다는 좀더 나은것 같아요.
각자의 스타일로 하시는것이 건강에 도움됩니다.
참고만 하세유.
포인트선정과 떡밥운용술이 가장 중요해요 ㅋ
나만 그런가 하면서 살고 잇습니다.
좁쌀, 스위벨 써도 옆에서 일반 봉돌 바닦으로 낚으시는 거 보면
똑같다 생각하고 집어하고 낚시하고 합니다.. 더 좋은게 없는거 같습니다..
이론적으로도 맞는 부분도 많지만
중요한 것은 본인의 채비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놈!
붕어! 잉어!들아 아무거나 좀 먹어라!!!
답변 감사드립니다. 꾸벅
걍 그러러니 생각하믄서 낚시 합니다,.,,
그러나...날이 따뜻해지고 괴기의 활성도가 좋을때는 채비의 예민함보다는 자리의 문제가 더 조과를 좌우하는 것 같습니다.
떡밥낚시를 하는 저는 겨울에는 1.5호 원줄에 다나고 6호이하를 좁쌀봉돌, 분납채비, 방랑자채비 등으로 쓰고
여름에는 2호 원줄에 다나고 7호정도의 바늘을 사용하고 전통방식의 채비를 씁니다.
.
.
.
괴기 맘은 용왕님도 모른다 합니다 ㅎㅎㅎ
유리한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수초가 올라오거나 바닥이 지져분한 곳에서는
전통 고리봉돌 채비보다 방랑자채비같른것들이
입질 빈도수가 높은거 같습니다
바닥도 깨끗하고 활성도만 좋다면 어떠한 채비를
써도 입질 받는데 지장이 없을듯합니다
제 생각은 채비에 우수성이란 상황에 맞춰서 사용할때
극대화 되는것이지 절대적인 우위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무슨 무슨 채비 다해 보았지만 결국은 원점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물론 열정이 식어서 그럴수도 있다는 생각도 하기는 합니다만^^*
양어장이나 손맛터 빼놓고는 각채비의 장단점이 극명하게 차이가 나질 않는것 같습니다
전 양어장이나 손맛터에서는 분할,스위벨 등등 해보지만
노지에 나가면 봉돌하나 바늘하나 이것으로 쭈~~~~~우욱 가렵니다
저도 한때 그랬지만, 맘에 여유가 없어지고 조급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금은 그냥 본봉돌 채비를 씁니다.
저도 스위벨채비 배울려고 동영상몇번을 보고 신전도 여러번갓으나
실패만하다 그제 동영상틀어놓고 다시채비하고 사당동에서 김포고막지 11시에 고고씽씽
현지토착하니 윈걸이넓은저수지에 나혼자 내가 봐도 열한시반에 와서이게 무슨짓인지 한심'''''''''''''
그러나 채비한것 떡밥집에서 개와 바로던지고 밑밥주고 낙시대 3대편성(30두대291대)
20여분에 첫입질후 계속나오는데 줄이가늘어 엉키고 한대 접고 한대 는좀크게 하여 밑밥용으로
한대만가지고 녹두알 낙시하여 심심치않게 중후한 찌맛많이보고 왔읍니다
밑음을 가지고 해보세요
원줄:모노1.2호 찌부력:4호정도에 스윕벨3호 바늘:다이지6호 미늘 눌러서 목줄:당줄1호 스위벨과 봉돌길이 7센치정도
시험출조 6회만에 성공했읍니다 경비1회에 4~5만원정도 성공을 빕니다
낚일 놈 들은 낚입니다..
조과요..
늘 좋습니다..
꽝 도 있구요..
붕어도 자연의 일부 이니깐요..??
묵직하게 찌 밑둥까지 올리는 바닥낚시가 좋습니다.
한 해 월 많이 낚고 있습니다..
스위벨채비를 하시려면 낚시줄과 연관관계가 있고요 거기에 맞는 찌를 선택해야 합니다.
찌맞춤할때 찌몸통에서 찌톱까지 무게를 눌러줄수 있는 좁쌀봉돌을 선택해야만 채비가 거의완벽에 가깝게 되고 낚시할때 한두마디
내놓으시고 낚시하시면 중후한 맛을 보실겁니다.
며칠전 전통바닥채비와 낚시를 해 저는 30마리 잡았는데 전통바닥은 7마리 잡더라고요
확실히 예민하긴한테 채비가 약간 조잡스럽고 모노줄을 사용하다보니 약간 엉킴감이 있습니다.
헛챔질도 문제고요..그것은 본인스스로 낚시를 하면서 터득해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안출하시고 찌맛 많이 보세요
바로옆에 나란히 둘이 있어도 한사람에게만 입질올때가 종종있죠..
그럴때는, 잡히는 사람 떡밥이 어떻게 개어졌나 확인해보고,
밑밥도 좀 줘보고..
채비는 그 다음이 아닐까요??
운때가 맞으면
무거운채비라도 손바닥만한 녀석들이 많이 올라오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