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예민한 찌맞춤??

IP : 5118c8915fd10df 날짜 : 조회 : 11300 본문+댓글추천 : 0

요사이 겨울 끝자락이라 바닥 올림 낚시로는 도통 재미를 못보고 있습니다... 내림으로 하자니 지긋한 찌오름의 콩닥거림을 포기를 못하겠고.... 그런데 여기 댓글과 선배님들의 글중에 봉돌을 띄우고 바늘만 바닥에 닿게해도 내림 입질이 아니고 올림 입질로 찌올림이 나타난다는 글을 본적이 있습니다..얼레벌레의 찌맞춤인지 아니면 채비 다달고(바늘포함) 1목 찌맞춤에 2목내놓고 낚시를 하는건지..(이건제외시켜주시구요) 제가 질문을 드리고 싶은것은 봉돌을 띄운상태로 바닥에 바늘만 닿는 찌맞춤으로 채비를 다 한 상태(바늘포함)에서 찌를 어느선까지(몇목?) 봉돌을 깍아야 찌를 올리는지 궁금합니다.. 수심맞추고 찌를 내놓은 상태도 찌맞춤 목수 그대로 내놓고 낚시를 한다는다는 가정으로요... 예로 채비 다한후... 캐미 수평,캐미절반,캐미고무까지 노출,1목 노출,2목 노출..... 정말궁금합니다...부탁드립니다^^

1등! IP : 90c90679b566fc8
수조통에 들어가면서 수면과 일치시키면 되고 톱을 내놓고 할때는 일반바닦채비가 됩니다
추천 0

2등! IP : 9e5fa80ced19545
찌올림을 보시기에는 좋지 않은 채비라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렇게 맞춘다 해도 자연노지의 경우 올리는 확률도 낮을뿐더러 올린다 해도 많이 올라오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극도로 예민한 찌맞춤은 변별력을 높이는데는 당연히 효율적이나
느긋한 찌올림의 폭을 즐기는데는 득보다는 실이 많은 채비일 것입니다.
쌍포를 펴고 다른 두가지 채비를 해서 직접 비교해 보시면 확연히 느끼실 수 있을듯 합니다.
찌맞춤의 함정중 하나는 예민하게 맞추면 천천히 많이 올라 올것 이란 생각 이지요...

물론 손맛터나 하우스의 극단적으로 미미한 입질환경에서는 극도의 예민한 맞춤이 절대 효율적일 수 있으나
자연노지에서는 득보다는 실이 많은 한마디로 짜증나는 채비일 수 있습니다.
추천 1

3등! IP : 31a1cb170037568
정령 찌마춤이 문제가 있어 고기를 못작는다고 생각하시는지요 둘중에 하나입니다 채비주변에 고기가 섮거나 개체수가 극악일대 수온시 덜어져서 소화기능저하로 먹이를 취하지 않을때입니다 노지고기는 먹겠다고 달려듭니다 상식선의 기본 찌춤이면 충분합니다
추천 0

IP : 2ba99291f893256
스위벨(좁쌀봉돌)채비로 하시면
예민하고 올림 입질이 보장됩니다.
군계일학 강의 참고하시고요.
추천 0

IP : ffe4ff6de407bd3
예전에 있었던 이야기 입니다.
고리추 7호를 사용하면서 무거운 맞춤을 한 대물채비 였습니다.
아주 늦가을이라 수면위에는 수초가 없는 상태였지만 수면 아래에는 바닥이 많이 지저분 하길래 두대의 낚시채비를 조금변형을 주었습니다.
감생이 6호 바늘을 제거하고 수면일치 0점
맛춤을 하고 수심채크하고 바늘을 달아서
목줄길이 반정도 수심을 올리고 새우로 멋진 찌올림을 본적이 있습니다.
오직 그 두대에서만요..
그때찌톱 노출은 수면일치 상태로 낚시를 했습니다.
낚시는 정답이 없는것 같습니다
추천 0

IP : 383d18f13ff6013
수조에서 여러번 맞춰 보시고 현장에서 현장맞춤하셔야 원하시는대로 가능할것 같네요.
추천 0

IP : 5118c8915fd10df
답변주신 선배님들 감사드립니다^^
이젠 월이를 볼시간이된것같은데 다들 좋은 추억 남기십시요^^
추천 0

IP : 4ddd8af8b62d163
봉삼님 질문하신 내용은 봉돌을 띄우고 미끼가 바닥에 안착 됐을시 올림 입질을
어떻게 하면 받을수 있나를 질문하신거죠?
상황에 따라 올림입질을 받을수도 있고 끌림 또는 내림을 받을수 밖에 없습니다
그 상황이란게 붕어맘 이란거죠
올림 입질을 선호 하시면 봉돌을 바닥에 안착 시키는 찌맞춤을 권장 드립니다
질문하신 내용은 최대한 민감한 채비로 올림 입질을 받고 싶단 말씀인거 같은데
아무리 정교한?찌맞춤 이라 해도 봉돌이 떠 있다면 올림보단 내림이나 끌림 입질이 확률적으로 많습니다.
결론은 봉돌의 상태에따라(바닥에 닿아 있는지 아님 떠있는지)올림과 내림이 확률적으로 나타납니다
1, 봉돌이 바닥에 안착 돼 있을경우,,,,,주로 올림입질
2. 봉돌이 떠 있는경우 ,,,,,,,,,,,,,,주로 내림 입질
3. 삿갓님 말씀처럼 정답은 없다 입니다. 그러나 확률은 적용된다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추천 0

IP : 8117488b3da374b
좀더 예민한 마이너스 찌맞춤은 찌탑3~5목 정도에 마추시면대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