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저수지 바닦은 매우 지저분 하다고
보아야 합니다.
수초가 삭아서 바닦에 가라 앉아 이으니까요.
그래서 목줄길이를 길게 20~25Cm정도로 하시는것이
유리 합니다.
목줄이 짧으면 삭아내린 수초에 미끼가 뭍혀서
수온이 떨어지면서 까다로운 붕어가 수초를 헤집어서
미끼을 찾아 먹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목줄을 길게 쓰면 미끼 함몰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입질사각이라는 것은
봉돌에 바늘이 목줄로 연결되어 있는데, 바늘에 달린 미끼를 흡입하여 봉돌이 위로 올라오는 만큼 찌가 상승하게 됩니다
즉, 붕어가 들어올린 봉돌의 높이가 바로 찌의 상승폭입니다. 허나, 목줄의 길이가 길어서 봉돌이 움직이지 않게 되면 찌도 또한 움직이지 않게되고 이때까지의 바늘의 움직임은 입질사각안에서의 움직임 입니다 이것을 입질사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입질사각은 목줄길이가 길면 길수록 커지게 되고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됩니다.
지금까지의 조사님들이 가장 적당하다고 하는 목줄의 길이는 약 5~7Cm입니다
이 길이는 붕어가 미끼옆에 위치한 봉돌로 인해 경계심을 유발시키지 않는 최소한의 길이입니다.
과연 목줄이 길다고 해서 입질않하던 붕어가 갑자기 입질을 하게 될까요?
목줄 길이가 길게 되면 입질사각만 커질뿐 손해만 보게 되며 입질빈도와는 무관합니다.
다만, 목줄이 길어지면 입질했을때 찌 올림이 부드럽고 많이 올라오게 되는 것입니다.
입질이 없을때는 한가지씩 변화를 줘보는 방법이 더 현명하다고 봅니다
미끼의 변화, 포인트의 변화, 낚시대 길이의 변화 등등
목줄의 길이와 입질빈도와는 절대 무관합니다.
몇일전에 낚시할대 원봉돌에 5센티정도 깔짝거리는 입질들어오길레 바늘홋수좀줄이고 12~15센티 목줄로
바꿔주니 쭉쭉 올리긴 하더라고요 저수지 마다 패턴이 틀리니 정답은 없고요
저같은경우엔 바늘쌈지에 바늘홋수별로 합사목줄과 모노나 카본목줄로 여러개 묶어다니면서
이것저것 써봅니다
그것도 입질좀있을때 얘기고 고기없으면 별의별짓 다해도 안나오더라고요 ㅋ
아무래도 입질이 뜸한 계절이라서
오는놈이라도 확실히 잡으려고 목줄을 길게 (평소 7cm -> 12cm) 쓰고
바늘도 두치수 작은걸로 교체해서 씁니다.
입질파악이 될겁니다
보아야 합니다.
수초가 삭아서 바닦에 가라 앉아 이으니까요.
그래서 목줄길이를 길게 20~25Cm정도로 하시는것이
유리 합니다.
목줄이 짧으면 삭아내린 수초에 미끼가 뭍혀서
수온이 떨어지면서 까다로운 붕어가 수초를 헤집어서
미끼을 찾아 먹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목줄을 길게 쓰면 미끼 함몰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전 윗분들과 조금 다른 생각을 합니다
목줄의 길이가 길면 입질사각만 커질뿐입니다
입질사각이라는 것은
봉돌에 바늘이 목줄로 연결되어 있는데, 바늘에 달린 미끼를 흡입하여 봉돌이 위로 올라오는 만큼 찌가 상승하게 됩니다
즉, 붕어가 들어올린 봉돌의 높이가 바로 찌의 상승폭입니다. 허나, 목줄의 길이가 길어서 봉돌이 움직이지 않게 되면 찌도 또한 움직이지 않게되고 이때까지의 바늘의 움직임은 입질사각안에서의 움직임 입니다 이것을 입질사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입질사각은 목줄길이가 길면 길수록 커지게 되고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됩니다.
지금까지의 조사님들이 가장 적당하다고 하는 목줄의 길이는 약 5~7Cm입니다
이 길이는 붕어가 미끼옆에 위치한 봉돌로 인해 경계심을 유발시키지 않는 최소한의 길이입니다.
과연 목줄이 길다고 해서 입질않하던 붕어가 갑자기 입질을 하게 될까요?
목줄 길이가 길게 되면 입질사각만 커질뿐 손해만 보게 되며 입질빈도와는 무관합니다.
다만, 목줄이 길어지면 입질했을때 찌 올림이 부드럽고 많이 올라오게 되는 것입니다.
입질이 없을때는 한가지씩 변화를 줘보는 방법이 더 현명하다고 봅니다
미끼의 변화, 포인트의 변화, 낚시대 길이의 변화 등등
목줄의 길이와 입질빈도와는 절대 무관합니다.
겨울철 저수온기에 목줄길이가 길면 경계심을 없애서 입질을 유도할수 있게 됩니다.
내림낚시는 봉돌이 바닥에 닿지 않고 미끼와 바늘만 바닥에 닿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름철 활성도가 좋을때에는 목줄길이를 15Cm까지 써도 무방한 것이고
겨울철 저수온기 활성도가 떨어지는 시기에는 목줄길이를 최대 60Cm까지 사용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