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원봉돌 질문드립니다

IP : d06df1c4c494789 날짜 : 조회 : 9355 본문+댓글추천 : 0

캐미달고 바늘없이 캐미끝 아주약간 거의수평맞춤 상태에서 바늘달고 찌톱 반목내밀고 낚시할시 봉돌이 살포시 닿아있는 상태일까요?무거울까요 예민할까요 적당할까요?

1등! IP : 64c50b3fa4d79ee
어떤 캐미를 사용하셨는지 모르지만
캐미 표면장력이 있으므로 약간 무거운 상태일것 같습니다

이는 또한 사용하시는 원줄종류와 굵기를 모르는 상태여서
정확한 답변이 됬는지 궁금하군요 참조만 해주세요,,,^^
추천 0

IP : 0c5e7b2f95111d0
정확히 답변드리면 표준채비에서 무거운 상태가 되어있네요^^ 카본줄이 한목을 누릅니다...
추천 0

IP : 9a11d595cd0d367
무겁습니다.카본줄이반~한목누릅니다.
그리고수심에따라더더누릅니다.
대물낚시라면무거워도크게상관은없습니다.
허나적당한게좋을거라생각됩니다.
원줄굵기, 찌의부력에따라
차이가많이납니다.쉽게가실거면
캐미꽂이수면일치가괜찮을듯싶습니다.
수심도3메다넘어가면차이가많이납니다
추천 1

IP : c0647121a50b61b
바늘빼고 캐미달고 캐미만 전부 노출로 찌맞춤 한후
바늘달고 찌톱 딱 반마디 내밀고 하면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은 적당한 상태가 맞는거지요!??ㅠ
추천 0

IP : e17b106dcdf6f71
최초 찌 맞춤을 수조에 하셨는지 현장맞춤을 하셨는지 모르겠으나 찌에 재질과 몸통의 모양에 따라 카본줄 2.5에서 3호는 찌톱을 한목에서 6목까지 눌러버립니다... 거기다 스토퍼, 유동찌고무 등등 채비는.... 자칫 자신의 생각과는 엄청나게 벗어난 오차범위의 찌맞춤 상태가 되어있을것이고... 그로인해 본인에 생각과는 다른 찌놀림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한정적인 시간에 물가에 나가면 낚시를 하고싶은게 당연지사이나 하루정도는 낚시보다 현장에서 다양한 원줄 찌 캐미등으로 찌 맞춤 개념을 잡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낚시만큼이나 재밌어요.. 유레카! 외치시는 날이 올겁니다.
화이팅 ^^
추천 0

IP : c0647121a50b61b
현장 맞춤은 꼭 합니다. (노지 카본2.5호 원봉돌 외바늘 글루텐 다대편성) 현장맞춤시 캐미달고 바늘빼고... 질문글 올린것처럼 캐미끝 수면일치 맞춤후 바늘달고 찌톱 반마디만 내밀고 낚시할시 무거운상태 인가가 궁금하며! 캐미끝 수면일치가 무겁다면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는 지점이 궁금 합니다 어디에 맞추어야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습니까?
이게 제가 듣고싶은 답변입니다ㅠㅠ 올릴놈은 올린다 상황에 따라 틀리다 사람마다 틀리다 하시는데 초보입장에서 어느정도 기준점이 있어야 그에 맡게 써보면서 상황에따라 느끼고 바꾸고 자기자신 걸로 만들수 있지 않습니까?ㅠㅠ
추천 1

IP : 5dc28662181e63e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맞춤이라고 하면 아마도 찌의 부력에 의해 봉돌의 비중이 0이었을 때 아닐까요?
찌톱 1목에 영점을 맞췄으면 봉돌이 바닥에 닿았을때 찌톱 1목이 나오게 맞추는 것이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찌맞춤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 째맞춤은 양어장이나 유속이 거의 없는 곳에서나 가능합니다.
더 가볍게 맞춰도 떡밥의 무게로 떡밥이 안착되기 때문에 별 문제 없이 예민한 맞춤을 할 수있으나...
노지에서의 찌맞춤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유속이 있다거나 카본줄이 가라앉으면서 당기는 힘, 세미나 모노줄에 유속, 바람에 의해 당겨지는 힘으로 인해 찌가 안착이 안 되고 흘러다닐 수 있습니다. 무거운 떡밥을 단다면 떡밥의 무게로 안착이 되겠지만 비중이 낮은 글루텐계열을 쓴다면 가벼운 찌맞춤이 될 겁니다.
현장 맞춤을 해야 되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찌맞춤을 적확히 하려면 찌톱을 나오게(가볍게) 하고 o링 등을 추가하여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표면 장력과 캐미의 부력으로 무거운 체비가 될 수 있습니다. 4호 미만의 찌만해도 캐미의 무게만으로 찌톱 전체를 수장시킬 수 있는 무게 입니다. 물속에서 비중은 다르겠지만 물위의 무게로 큰 영양을 준다고 봅니다. 영점 맞춤을 하고 캐미를 빼보시면 아실겁니다. 찌 다 올라옵니다. 전문가는 아니지만 궁금한 점이 있으면 전화 주세요. 아는 선에서 답해드리겠습니다.
추천 1

IP : c0647121a50b61b
이해가 갑니다.제가 원하는 답을 이해로 풀이해주셨습니다. 처음 낚시를 양어장에서 배워 노지가 어설퍼 혼동이 많은 듯 하였습니다 찌톱 반목맞춤에 쇠링 딸각 맞추고 상황에 따라 더 추가하는 방법으로 배워 낚시를 즐겨하고 이땐 큰 혼동없이 낚시를 해왔습니다.처음으로 돌아가 이방법으로 경험을 쌓아야 겠습니다.처음 배운 스타일을 벗어나려고 했던것이 큰 혼동을 불러왔네요
아울러 도움 주신 답글 해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정답은 없는건 알았지만 저의 채비가 항상 믿음이 안가서 투정아닌 질문글을 올렸네요
추천 0

IP : 64019b219eef4fe
찌부력에 따라 틀려집니다.원줄이 카본인지 모노인지도 차이 많이 납니다.
지금채비는 약간 무거울듯합니다.
제찌가 대부분 2.7호인데 바늘달고 케미 (3미리미니방울)방울만 나오게 맞추면 봉돌이 일자로 바닥에 닿습니다.
케미만 나오게 맞추면 봉돌이 달랑말랑하게 됩니다.
추천 0

IP : 8327e45be8888bd
찌맞춤 스트레스 ㅋㅋ 열받아서 관리형에서쓰는대들 모노줄 카본줄 두개해서 첨에모노줄로 맞추고 바람안불면 그냥사용 바람불어서 줄옆으로흐르면 줄버리고 그채비그대로 카본줄에 붙여서 사용했슴
추천 0

IP : 1311e16cbd2561b
노지에서, 원줄 카본 2.5호, 외봉돌, 다대편성이시라면
지금의 찌맞춤은 예민하지는 않지만 적당한 찌맞춤이라고 생각됩니다
목줄의 종류와 길이, 찌부력 등에 의해 약간의 차이는 있을수 있겠지만
지금의 찌맞춤은 입질이 아주 미약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장점이 훨씬 많을 것입니다
글루텐을 주로 사용한다면, 그리고 5 ~ 6 대 이하의 대편성이라면
저는 일자형 주간케미의 중간 정도 맞춤을 하겠습니다
추천 1

IP : ab9c767ca563909
찌 두마디내놓고 바늘다니. 찌톱수평일치 되내요 지금말씀하신대로하면. 봉돌바닥 직행각일듯합니다
추천 0

IP : 764bd55b155898a
노지에서 그보다 가벼우면 채비가 흘러다니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추천 1

IP : 75e1dd1efe31836
현장에서 다시한번 체크하시고
붕어의 활성도에 따라서 예민하게 하시면 됩니다.
추천 0

IP : 9092d2445fc0d64
노지에서 찌맞춤은 너무 무겁거나 너무 가볍지만

않다면 큰 문제 없다고 생각됩니다. 찌 맞춤보다

좋은 바닦이 최우선이라 생각합니다
추천 0

IP : d86e6ac15d1e109
찌맞춤물통에서 맞추신 거라면 바늘까지 다시고 케미꽂이 아래 1cm 정도에 맞추시는게 글루텐 떡밥낚시엔 유리합니다.
추천 1

IP : da4e037d9f31273
성심껏 답글 주셔서 모두 감사합니다. 읽고 생각하니 많은도움이 됩니다.답글주신 분들 말씀을 토대로 앞으로 경험 하면서 익혀야겠습니다! 안낚 어복 충만하십시오!!!
추천 0

IP : 96aaf4f3843dfaa
정확한 정통바닥대물낚시맞춤이고요
남들이 무겁니 어쩐니 다무시하시고요
믿고 기다리면 대물은 올려요
바늘에 수백번당한 유료터 고기아닌이상 올려요
믿음을가지시고
추천 0

IP : b64bfc31f708985
맞춤보다 더내놓고 낚시하면 가벼워질수는없습니다 .잔존부력이 제로이기때문입니다 ᆢ딱맞춘맛큼 잘내놓고낚시하세요 ᆢ찌의 미세한반응이 필요없는건 아니지만 아주중요한것도아닙니다 특히 바닥올림 낚시에서는요 표면장력요? 그런거넘신경쓰지마세요 1치붕애아닌다음엔 올릴놈은 다올립니다 물론 극저수온기의 예민한입질은 제외입니다 ᆢ요즘대세는 옥올림이지만 이해잘잘하지못한상태에서 옥올림할경우 끄는입질ᆢ들다마는입질등 피곤합니다 ㅋㅋ
수평찌맞춤 에 2.5호원줄이면 무거운체비는아닐거라생각되는군요 ᆢ아무리좋은 체비도 혼자낚을순없습니다 낚시가그날그날 조건이찾이하는 비율이 아주큽니다 ㅎ
추천 0

IP : c0647121a50b61b
안되겠습니다 이번주 출조시 10대깔고 찌맞춤을 각기 다르게 해서 비교실험을 해보아야 겠습니다.붕순이가 입질을 해주시어야 할텐데 말이죠...ㅠㅠ
사도님 대어몽님 말씀도 참고 하겠습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