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돌은 일종의 닷 역할을 하는 것이고,
목줄은 봉돌과 바늘(미끼)를 연결하는 연결고리의 역할입니다.
그래서, 목줄은 고기가 미끼를 먹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게 좋고,
미끼를 먹으면서 나타나는 움직임 또한 봉돌에 전달해서 찌에 온전히 움직임이 전달되도록 해야 되므로, 그 역할도 잘 수행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목줄이 짧으면,
입질시 찌의 움직임 표현력이 좋으나,
무거운 봉돌과의 거리가 가까워서, 물고기로 하여금 걸리적 거리는 느낌을 크게 느끼기에 좋다는 평이 있습니다.
낚시대 길이와 찌무게의.표준치가있나요?에 대한 답 드리며 일반적인 기준일 듯 합니다.
하지만 낚시를 하다보면 낚시 스타일에 맞춰서 사용하는 게 더 일반화가 되있는 듯 합니다. 아래 글은 참고만 하십시오.
일반적인 낚시 상황에서 낚시대 칸수에 따른 찌 길이 및 부력 선택
2칸 이하에서 찌 길이 35㎝ 전후 3g 정도___저부력
2.1칸~3.0칸 40~50㎝ 길이 3.5~4g 정도__중부력
3.1칸~4.0칸 50~60㎝ 길이 4.5~6g 정도__중부력
4.0칸 이상은 7g 정도의 고부력 찌로 40cm 전후의 짧은 찌 사용
수심에 따른 찌 길이 선택(찌 길이는 수심의 1/3 정도가 적당한 듯 합니다.)
수심 1.2m 이내_____30 ~ 35㎝
수심 1.2m ~ 2m____40 ~ 50㎝
수심 2m ~ 4m______60cm~70cm 내외를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듯 합니다.
목줄은 봉돌과 바늘(미끼)를 연결하는 연결고리의 역할입니다.
그래서, 목줄은 고기가 미끼를 먹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게 좋고,
미끼를 먹으면서 나타나는 움직임 또한 봉돌에 전달해서 찌에 온전히 움직임이 전달되도록 해야 되므로, 그 역할도 잘 수행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목줄이 짧으면,
입질시 찌의 움직임 표현력이 좋으나,
무거운 봉돌과의 거리가 가까워서, 물고기로 하여금 걸리적 거리는 느낌을 크게 느끼기에 좋다는 평이 있습니다.
반대로 길면 그 역경향이 나타나겠죠.
떡밥이나 옥수수미끼일땐 짧은대는 가벼운 봉돌이
스윙이 잘되지요.
새우나 참붕어는 조금 무겁게 맞추는게 일반적이고요.
그러니,
짧은대 ---> 가벼운 봉돌
중간대 ---> 중간봉돌
긴대 ---> 무거운 봉돌, 이런 수순으로 가지요.
근데,
사람마다 체형이 다르고 근력도 다르고 앞치기 자세도 다르고요,
낚싯대도 성질이 다 다르고...
고로,
자신의 낚싯대에 잘맞는 호수가 있을겁니다.
하지만 낚시를 하다보면 낚시 스타일에 맞춰서 사용하는 게 더 일반화가 되있는 듯 합니다. 아래 글은 참고만 하십시오.
일반적인 낚시 상황에서 낚시대 칸수에 따른 찌 길이 및 부력 선택
2칸 이하에서 찌 길이 35㎝ 전후 3g 정도___저부력
2.1칸~3.0칸 40~50㎝ 길이 3.5~4g 정도__중부력
3.1칸~4.0칸 50~60㎝ 길이 4.5~6g 정도__중부력
4.0칸 이상은 7g 정도의 고부력 찌로 40cm 전후의 짧은 찌 사용
수심에 따른 찌 길이 선택(찌 길이는 수심의 1/3 정도가 적당한 듯 합니다.)
수심 1.2m 이내_____30 ~ 35㎝
수심 1.2m ~ 2m____40 ~ 50㎝
수심 2m ~ 4m______60cm~70cm 내외를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