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지금까지 카본 2호만 써왔습니다.
낚시대는 보론옥수 2.2칸만 애용합니다.
지금 한참 유료터를 다니고 있는데,, 예민한 찌맞춤,,,
분할봉돌 (본봉돌이 찌몸통까지 먹고,,, 보조봉돌이 찌탑을 먹는 찌맞춤)
한번 해 볼려고 했는데, 카본 2호...수조와 현장 차이가 엄청 나더군요.
현장에서 찌맞춤이 된듯해도...서서히 가라앉는찌..ㅠㅠ
수조에서 맞춘것(보조봉돌을 건드렸을때,찌탑전체가 올라갈때까지 목줄의 휨이 없을정도.)
보다....한참을...더 깍아야 하더군요. 수심 3m.
야간이라 더욱 맞추기가 어려웠습니다.
모노는 양어장,,노지는 카본을 추천을 하시는데..
저는 양어장,노지 통합으로 쓸려고요..갈때마다 바꾸기가 ㅠㅠㅠ
그래서 결론은 카본 1.5~1.7 이냐.... 모노 1.5호 이냐...
결정 좀 내려주세요~ 평균수심 2~3m 입니다.(노지양어장)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노지에서도 붕어상대로는 충분 하다고 생각합니다 ^^
카본줄에 한표~!
저의 경우 시간도 없고하여 가끔 관리형 저수지에서 낚시를 하구요(20%)
나머지는 짬짬이 양어장(잡이터, 손맛터)을 다닙니다.(80%)
관리형저수지나 노지에서 낚시를 할경우 카본 2호정도에 2단입수 할 정도로 찌ㅤㅁㅏㅊ춤을 합니다.
떡밥 낚시의 경우 관리형저수지나 노지는 집어 및 자리가 50%, 붕어 마음 50% 라고 개인적으로 생각 합니다.
즉 올릴놈 다올립니다.
그러나 양어장은 좀 틀리더군요..(특히 바늘을 많이 맞은 손맛터 붕어들을 낚을려면...채비가 예민해야 하더군요..)
예민(=정교) 한것과 가벼운것은 좀 다르겠지요...?
시월님이 수조마춤과 현장마춤의 차이를 느꼈듯이...경험해보지 않으셨다면 그차이를 모르셨을 겁니다.저도 많이 놀랐었읍니다.
찌톱3~4마디 차이가 꽤 크지요...챔질 시점을 정하기가 훨씬 쉽겠지요...2마디 천천히 보다 4마디 천천히가...
카본줄로 예민하게 ㅤㅁㅏㅊ주기가 상당히 힘들더군요...시험삼아 모노줄로 수조 마춤 예민(정교) 하게 하시고, 현장에서 비교해보세요
거의 차이가 없읍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모노줄도 강합니다.(퍼머현상은 어쩔 수 없읍니다.)
본 본돌로 찌 몸통, 좁살로 찌톱....아주 효과적인 채비로 알려져있고 조과 또한 좋읍니다.
카본줄이 좋네 모노 줄이 좋네는 별의미가 없다고 생각되구요, 용도에 맞게 선택 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줄감개 하나 사셔서...양어장 낚시 할때는 조금더 예민한 채비, 노지에서는 튼튼한채비.... 낚시의 또 다른 재미 입니다.
그리고 직접 해보시면 별로 뷸편하지도 않읍니다.(초릿대 무매듭으로 하면 채비교체 아주 쉬워요..)
카본 2호줄이면
수조통에서 맞춤한 채비를 노지에 가서 사용해보면... 찌톱 3-4마디 정도는 더 내려갈겁니다.
그래서 저는 모노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수조통과 노지에서 찌맞춤의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노지 카본줄의 경우는 좁쌀봉돌을 사용하지 않은 일반 2봉채비의 경우에는 효과적이지만...
좁쌀 분할봉돌채비의 경우엔 모노줄을 추천합니다^^^^^^
노지에서건 양방에서건 무조건 모노쓰는데요...터진적없습니다....
3~4회 출조했다 싶거나...손으로 줄을 만져서 줄이 매끄럽지않고
기스나 퍼머현상이 생겼을경우에는 바로바로 교환을 해줍니다......
줄도 비싼줄쓰는것도 아니고 2500원짜리 모노줄씁니다........
봄 여름 가을에는 모노1.5호~2.5호 사용하구요....
겨울에는 1.2호사용합니다.......
고기잡아서 여태껏 터진적 한번도 없었습니다....
초리대에 매듭을 잘못해서 한번 원줄을 도둑맞은적은 있어도..터진적은 한번도없네요...ㅎㅎ
한가지더 말씀드리면...남들이 모라하건....
자기가 스스로 겪고 카본줄과 모노줄의 장단점을 빨리 파악 하시길 바랍니다....
양어장(특히 손맛터)에선 모노줄이 좋긴 하지만 낚시갈때마다 원줄 살피는것도(필요시 줄교환)
장난 아닐거 같네요
참고로 전 맥스1.7호(계곡형 저수지.유로터) 사용합니다
1.5호를 쓰고 싶지만 가끔 빨래판향어.잉어가 올라와서리..
시후아빠님 말씀처럼
다른 조사님들 조언도 중요하지만(참고만 하시고..)
직접 두줄다 사용해 보심히 나을듯 합니다~
저도 님과 흡사한 분할채비를 하는데
역시 모노줄 추천합니다. 특히 양어장 손맛터의 경우
카본은 가라앉는 성질이 있어 충분한 시간을 갖고(줄부게를 계산할)
하면 모를까... 모노가 유리합니다.
저는 요즘처럼 고기의 활성도가 좋아지는 시기에도 0.8호 모노줄 씁니다.
찌맞춤 제대로 하면 찌올림 죽음...??? 입니다.
저도 요즘은 거의 손맛터 많이 다니지만 .. 잉어 큰넘 걸어도 까딱 없습니다.. 예민하기도 하구요
모노줄 1.5쓰다가 줄이 잘 가라앉질 않아서 바닥 낚시에는 좀 아니다 싶어서 카본으로 바꿨구여.
윗님 말씀처럼 모노는 늘어나거나 퍼머현상땜에 좀 불안합니다.. 자주 갈아줘야하구..
바닥낚시는 역시 카본추천요..
닳을대로닳은 손맛터 붕어는 모노 1.2호 추천합니다.
맹탕이라면 잉어 80정도도 터지지 않습니다.
대신 물고 째면 알짤없죠..
윗분말씀과 같이 순진하고 침안맞은 애들은 솔직히 릴에 지렁이 딸아 던져도 물고 늘어집니다.
손맛터인 경우는 모노줄로 정교하게 맞춤하시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보론옥수 2.2칸대, 수심이2-3미터, 양방이나 노지 채비교환 하는게 싫다 여기까지는 무조건 카본 1.5 - 2호가 좋습니다
허나 분할봉돌채비 이게 문제입니다 님께서 사용하는 채비가 군계일학채비인지 아님 원봉돌과 분할봉돌간 거리가 30cm정도
되는 분할채비인지가 궁금합니다 만약 군계일학이라면 카본1.2호미만 아님 모노 1.5호 미만으로 사용해야만 된다가 제생각
(다만 한가지 님의 낚시대에 비해 너무 약하지 않나 생각되네요)입니다 군계일학채비에 원줄을 굵게쓰면 찌맞춤도 어려울뿐아니라 역효과만 납니다
2분할 채비를 사용한다면 카본1.5호 이상 2호까지는 부담없이 사용할수 있지요(원봉돌 4-5호정도에 아래 분할봉돌은
B -2B정도무게 사용)
특히나 님이 하는곳의 수심이 2-3m정도에 길지도 않은 2.2칸이면 모노보단 카본이 좁쌀보단 2분할 채비가 좀더 유리하다 봄니다
카본의 무게감 즉 가라앉는 성질은 대와 찌사이 거리가 2m정도인데 그리 신경쓰지않아도 됩니다
한번 긴찌 80cm이상으로 해보심 어떠하신지
그리고 번거러우시더라도 현장 찌맞춤은 필수입니다 그날그날 기상 즉 자연현상과 입질패턴에 따라 찌맞춤의 기준에 변화를
줘야만 된다고 생각합니다 낮에 맞춘찌 밤낚시중 다시해보면 다를경우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노리는 어종에 따라 낚시대에 따라 모든 채비가 달라져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제가 님의 낚시대를 사용한다면 원줄 카본1.7호, 찌는 80cm유선형몸통에 5-6호봉돌, 아래분할봉돌은 B, 목줄은 스파이더 1.5호 7cm (또는 1호), 바늘은 지누 1-2호 외봉채비
찌맞춤은 바늘제외 양방은 캐미달고 캐미고무 하단에 노지는 바람없는날은 캐미고무상단에서 캐미중간 바람부는 날은 캐미중간에서 상단 이정도면 원하는만큼의 낚시를 즐기기에 충분하리라 생각됩니다
한번더 자신의 낚시대와 낚이는 어종을 고려하지않고 원줄 목줄등 채비만 고민하면 안된다고 봅니다
더 중요한것은 그날의 기상에 맞는 현장 찌맞춤과 떡밥운용술이라고 봅니다
그럼 도움이 되시길바라옵고 어복충만 하십시요
전부 좋은의견만 주셔서 몸둘바를 모르겠습니다.
더 헷갈리네요 ^^
카본2호줄은 현재 쓰고 있으니..이번에 모노로 한번 가보겠습니다.
모노는 한번도 써본적이 없는만큼 직접 써보고 조언해주신 장단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다만 대물걸렷을때 제압이 좀 .........
카본 2.5호 무난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