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는 이봉채비로 낚시하다가 오랬동안 스위벨(좁쌀봉돌)채비만 해오던 조사입니다.
대부분 수로에서만 떡밥낚시와 지렁이낚시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낚시하는곳의 유속 정도는 안착되기 전 조금 찌가 조금 흐르다가 채비가 안착이 되면 더 이상 흐르지 않는 정도 입니다.
스위벨채비도 무겁게 찌맞춤하여 낚시하면 안정적이게 낚시가 되는데, 어느날 참게가 스위벨 윗목줄을 끈고 가서 할수 없이 일반이봉채비로 낚시를 하게 되어습니다.
그런데 그날 따라 스위벨채비보다 이봉채비가 찌올림이 천천이 부드럽게 잘 올라오더군요.
또 일반 이봉채비가 수로에서는 더 안정적으로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현제 무척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다시 일반 이봉채비로 가야할지...
저처럼 수로에서 낚시하는 경우에서는 스위벨채비(좁쌀봉돌채비)보다 원봉돌(이봉채비) 안정적이고 이상적일까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스웨벨채비나~ 이봉채비나 찌맞춤을 같은 조건(무거움과 가벼움)으로 하면 결과는 거의 같습니다~~
외대로 낚시를 해보면 찌놀림이 더러운 경우도 있고, 작은 3~4치라도 점잖게 올리는 놈도 있어요~~
찌 표현은 낚시 채비에만 결정 되는것은 아니고~~ 오히려 다른 부분들에서 표현이 틀려지는 경우가 다반사 입니다~~
물의 유속 변화가 있는 곳에서 낚시를 할경우가 많다면~
중통으로 된 편납홀더를 사용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편납 홀더를 찌멈춤고무를 이용해서 유동을 줄수도 있고~
유동을 없애면 원봉돌처럼 사용할수도 있죠~~
물론 편납 홀더를 사용하면 무게를 그때그때 조절해 사용할수 있어서~
현장 대응하기도 좋구요~
딱 2대 브이자로 펴서 막 껀져올립니다(살치,누치ㅋ)
유속 대류에 강하고 보다 멀리 던진수있는 장점이있고 바닥원봉돌보다는 예민한 채비임이 분명합니다.
찌마춤은? 찌와 추의 부력&침력 마춤이 아니라 저부력찌를 사용하여 편납으로 찌 몸통어깨 또는 찌톱 시작점 노출되도록 마추면됩니다.
봉돌은 바다 수중봉돌을 사용하며 찌의 부력보다 대충 1.5배에서 2배정도 쓰면됩니다.
단점으로는 바닥지형에따라 봉돌밑걸림이 생길수있고 여유가 없다는 점입니다. 입질은 순식간에 찌를 가져가는형식 또는 미끄러지듯이 들어가거나 2단계 3단계로 끈어서 들어가기도합니다.
암튼 나한테 최고로 잘 맞는 채비입니다.
두가지를 동시에 만족하는 채비가 뭐가 있을까요? 안정과 이상중에 이상이란 뜻은 찌맛과 조과에 좋은 결과가 오는것...이란
생각을 해봅니다.
이미 본인에 맞는 채비를 선택하신듯 한데요?
이봉채비로 그냥 해보세요. 유속이 있다고 하는데 사실 그렇게 심한 유속은 아닌듯 합니다.
중통과 끝보기 모두 수로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채비임엔 틀림없는 사실이지만,
님은 이미 그수로의 유속을 알고있고 스위벨채비로도 약간흐르다 만다는 것까지 알고계십니다.
다른 분들의 조언도 물론 중요합니다만, 이봉채비에서 그러한 찌맛을 보셨다면 그 채비가 그곳에선 님이 바라는 안정적,이상적인
채비가 아닐까 합니다.
이건 여담입니다만, 예전에 예당지 수로에서 저도 끝보기 또는 중통으로 자주 다닌적이 있습니다.
그러다 옥내림을 한번 해봤죠.
유속도 어느정도 있기에 웃기는 짓인걸 알지만 해봤습니다.
투척후 찌포함 모든채비가 흐릅니다. 흐르다 꺾여 더이상 흐를수 없는곳이 결과적으로 투척포인트가 되죠.
대신 미끼는 딱딱하고 크게 달아줍니다.
단점은 많은 대를 운용할수 없다는 점이구요.
결과적으로 조과면에서는 좀더 나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같은 장소에서 같은시즌 몇번의 실험(?)아닌 실험은 다음 출조시 상당한 조과로 이어진다는 점 생각하시고 즐거운 낚시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