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은 낚시터에서 낚시를 하는데 꽝이네여..관리터에서..
내림하시는 분이 옆자리와서 내림 하시는데...개속 퐈이탕을 하시어서 속상하드라고요..남들은 다 꽝인데..
그분 혼자 연속 잡아내시니...
여기서 잡머리 핑~~핑~~
나도 중층해보자(ㅋㅋㅋㅋㅋㅋ) 바닥채비로..
좁살을 일단 때내면..찌가 올라오잔아요...
거기서 떡밥 달면 그 무게로 내려가고...결국은 바늘은 바닥에 닿지않고...올라와 있지 않겟냐..하는생각으로
좁살을 때어내고..떡밥을 달앗읍니다...조금 시행착오를 거치고...(예를들어 떡밥무게..그리고 찌 높이 등등)
시행착오를 조금 겪게돼고 드디어 찌를 새웠읍니다 푸하하하
그리고 시선에 들어오는 .....찌의 움직임.......
하지만..찌흐름으로 인해 두대는 불가 외대만가능..ㅎㅎ
그리서 그날 몇수 했읍니다...
이런 찌마춤 해보신분 손????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그냥 봉돌하나 대충 깍아 던지면 찌를 쭈욱 올리던 시대는 지난것인지.
전 이제 좁쌀채비 한번 해보려고 하는데
과연 잘하는 짖인지 고민ㅇ ㅣ많은 시기이네요.
뭐.. 시도해 본적은 없습니다만..^^
근데.. 한강붕어님.. 활성도가 좋을 땐 예민한 채비가 오히려 실이 많을 듯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좁쌀이나 3분할 채비등을 예민한 채비라고 하시는데..
예민한 채비와 더 정확한 채비와는 차이가 있는 듯 합니다.
(저는 봉돌 대신에 편대 주로 씁니다)
찌탑내놓은 상태에서 미끼달면 두세마디 노출하게 해서 낚시해본적 있습니다
몇시간 동안 한 10여수 했는데 바늘을 바로 먹은것 반 몸통에 걸린거 반 정도 되었습니다.
편대의 경우 양어깨에서 목줄이 내려오기 때문에 띄우게 되면 개체수 많고 활성도 좋은 작은 양어장에서는 약간의 훌치기 기능 있습니다 ㅋㅋㅋ
낚시 사부님한테 이야기 했다가 양아치 낚시하지마라고 약간 핀잔 들었던 기억이 있네요(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만)
나름 재미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2주전에도 작은 양어장에서 중층하시는분들은 많이 잡고 바닥은 입질이 없길래
띄워서 해봤는데
허접해서인지 일집을 보지는 못했었습니다.
자주는 아니지만 종종 심심할때 띄웁니다 ㅋㅋㅋ
낚시야 뭐 하고 싶은대로 하면 즐겁지요 ^ ^
올해 활성도 좋을땐 뭐 1m길이 정도의 목줄사용
관리터 수초없는 맹탕 노지(좌대아닌곳)에서 0.9칸으로 낚시하기 등등
도전해보고 싶네요 ㅋㅋㅋ
그러한 낚시를 위해서는 예민한 채비가 기본이겠지요.
원줄, 목줄, 찌, 바늘이 올림과는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기본적으로 올림낚시는 원줄 2호 정도를 기준으로 사용하시는게 일반적이구요
내림은 1호이하를 사용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원줄 무게로 인해서 찌에 반응이 틀리지기 때문에 하나하나 세심하게 써야하죠.
물론 올림채비로 중층식으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예민하게 입집을 표현해내기엔 좀 무리가 있을듯한데
시간 나시면 중층과 내림을 한번 배워보세요.
정말 조과는 탁월합니다.
그러나 느긋하게 찌맛을 보는게 좋으시다면 올림을 추천해드리구요.
양어장에서 고기 많이 잡으시겠다면 중층과 내림이 좋져.
덧바늘 채비 해보시지 그러셨어용
저는 수심대 공략 실험용으로
덧바늘 3개 달고 (20센티 간격으로)
찌맞춤후 쾌거를 이룬적도 있습니다
그런데 다대편성후 줄이 바늘에자주 엉켜 포기했음
지금은 한대정도 여유분으로 가지고 댕깁니다
입질 없을떈 별의별 생각이 다 나죠.ㅎㅎ
입질읽어내시기가 힘들어 보입니다. 확실한 빨림의 입질이 아닌이상..그리고 찌가 대류로 인해 흘러서 두대는 못하신다는거 보니..
봉돌과 바늘모두 떠있는거네요..그렇담 고기는 위로 부상합니다. 하얀부르스님께서 목적하신 수심층에..그렇게 고기를 띄워놓으시면
나중에 입질이 없을때나 그날 하신 낚시가 피곤하여 다시 바닥을 하신다면 전혀 입질이 없을수도 있습니다..하얀부르스님께서
고기를 다 띄워놓으셨기에 한번 떠오른 고기는 바닥층으로 내리기가 상당히 힘듭니다. 한 두마리 낚기위해 고기를 띄우는건...
한번쯤 해볼만한 찌맞춤이지만 권하고 싶지는 않네요..차라리 그럴것같으시면 내림을 배워보시는게 어떠실런지요..
내림을 배우기가 힘드시면 올림으로 집어 밥질을 좀더 하시는게 옳으리라 생각됩니다.
내림이 조과가 좋은게 예민한 채비이기도 하지만 또하나 올림낚시랑 다르게 떡밥을 두척하는 횟수가
올림이랑은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거기에서도 뒤지니..조과가 내림과 차이가 납니다.
내림낚시인 사이에서도 떡밥싸움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그만큼 떡밥도 중요하니 올림으로 떡밥두척횟수를 늘여보시는게
조금더 옳은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제가 이런 채비한것은..그날 하도 입질을 못받길래..함 해본거에요.일투이어님 마씀처럼 별의별 생각 다합니다 ㅎㅎㅎㅎㅎ
붕어들이 바닥권이 아닌 중층권에 떠잇는상태라..한번 심심풀이로 해본 겁니다..
이론적으로나 실행적으로는 아무런 근거도 읍고..누구에게 권할 수 있는 방법도 아닌것도 잘압니다..
행복한 바늘님의 말씀처럼 투척횟수도 무지하게 햇음에도 불구하고 하루종일 입질이 읍어서 한번 시도해본거니 걍 재미로 읽어주심
감사 하겠읍니다..
고수들의 말씀처럼 이런채비 해보세요가 아니라..초보생각으로 한번 시도해본거니 노여워마시길 바랍니다
그냥 이런사람도 있구나 하고..읽어주시길 바래요..
일단 목줄이 길고 예민하다 보니 고기들 교통사고로 나오는 경우도 많습니다.(꼬리 짓이나 몸짓으로 찌가 움직임..)
교통사고로 인해 바늘이 갑자기 빠지게되면 줄의 엄킴도 많이 발생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찌를 계속 바라보면서 한마디 빠는 입질을 봐야 하기 때문에 피곤한 낚시입니다.
이 세가지를 감수 하실 수 있으시다면 내림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저도 배운지 얼마 안되었지만 내림 나름데로 매력은 있더라구요. 장시간은 피곤하지만...그래도 한번쯤은.. ^---^
내림채비해서던지면
입질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