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민한 상태에서, 어분 알갱이는 물론, 바늘 무게까지 느끼며, 뱉어내는 붕어들도 있습니다.
그렇게 생각 해보면, 바늘도 가벼운 내림/중층용 바늘을 사용하고, 이물감 없이 적당한 글루텐을 사용하고,
바늘을 입속에 넣고, 붕어가 이동시 가장 먼저 느끼는것은 목줄일거고
그다음 느끼는게 바닥에 닿아있는 봉돌입니다.
그 봉돌이 크면 클수록 잘느끼고, 작으면 덜 느끼겠죠.
하우스에서 같은 2g 부력의 저부력 찌라도,
미끼/목줄/바늘 동일한 상태에서
2g의 원봉돌은 바로 느끼겨 뱉어버려, 빨리는 입질이나 깔짝거리는 입질이 오는 반면,
분할로 스위벨 채비로하여, 바닥에는 0.3g 짜리 스위벨, 그위에 나머지 부력이 오게 맞추면 붕어는 그만큼 덜느끼며 찌를 올립니다.
그리고 바닥에는 0.1g도 안되는 사슬채비도 찌는 잘올라오구요.
그렇게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바늘을 입속에 넣고, 붕어가 움직일시 가장 먼저 느끼는게 최종적으로 바닥에 닿아있는 봉돌인데..
그게 무겁고 크면 잘느끼고, 최대한 가볍게 작게 쓰면 덜느끼는거죠.
'부력평형상태'에서의 정확한 수직상하운동에서는 맞습니다만.
수평축으로 움직이는 운동(미끼를 흡입하고, 붕어가 유영하기 위해 몸을 좌우로 비튼다든지.....)을 하는 경우에는 다릅니다.
예를 든다면
줄로 묶어둔 농구공을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길때 느껴지는 힘하고, 줄로묶어둔 야구공을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길때 느껴지는 힘이 크게 다를겁니다.
물리시간에 배운 관성의 차이(F=ma)입니다.
이해가 되셨을련지요. ^^
아마도 이런식으로 줄에 묶인 미끼를 흡입한 후에 붕어가 정확히(정직히) 수직으로 떠오른다(찌를 올린다)는 가정이라면 문제 될 것이 없겠지만,
몸을 수평방향으로 조금이라도 비틀게 된다믄 입언저리(아구창)에 뭔가 걸리적 거리는 느낌을 받게 되는거죠.
예민한 상태에서, 어분 알갱이는 물론, 바늘 무게까지 느끼며, 뱉어내는 붕어들도 있습니다.
그렇게 생각 해보면, 바늘도 가벼운 내림/중층용 바늘을 사용하고, 이물감 없이 적당한 글루텐을 사용하고,
바늘을 입속에 넣고, 붕어가 이동시 가장 먼저 느끼는것은 목줄일거고
그다음 느끼는게 바닥에 닿아있는 봉돌입니다.
그 봉돌이 크면 클수록 잘느끼고, 작으면 덜 느끼겠죠.
하우스에서 같은 2g 부력의 저부력 찌라도,
미끼/목줄/바늘 동일한 상태에서
2g의 원봉돌은 바로 느끼겨 뱉어버려, 빨리는 입질이나 깔짝거리는 입질이 오는 반면,
분할로 스위벨 채비로하여, 바닥에는 0.3g 짜리 스위벨, 그위에 나머지 부력이 오게 맞추면 붕어는 그만큼 덜느끼며 찌를 올립니다.
그리고 바닥에는 0.1g도 안되는 사슬채비도 찌는 잘올라오구요.
그렇게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바늘을 입속에 넣고, 붕어가 움직일시 가장 먼저 느끼는게 최종적으로 바닥에 닿아있는 봉돌인데..
그게 무겁고 크면 잘느끼고, 최대한 가볍게 작게 쓰면 덜느끼는거죠.
목줄이 일자로 쭉 펴져 있다면, 흡입시 봉돌까지 딸려가므로, 무거울수록 잘느끼는거죠.
제가 너무 수직적으로만 생각했네요
수평적인 움직임에선 분명 차이가 있겠네요
무게감은 같지만 부피로인해 수평이동에서 차이가 난단말씀이죠?
많이 배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