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장대 앞치기 요령 문의합니다

IP : b770d4693199be3 날짜 : 조회 : 13445 본문+댓글추천 : 0

44칸인데요 일반적으로는 팔꿈치에 거치하고 투척하라고 하는데 힘은 덜 드는 반면 정확성이 떨어지네요 행낚에서는 대 끝을 잡고 탄성을 이용해서 손목 스냅을 주라고 하는데 대물낚시야 몇번 던질 일이 없지만 떡밥낚시하다간 엘보 오겠더군요 좋은 방법 없을까요?

1등! IP : 864ed37a15505cf
대부분 캐스팅시에 투척후 낚시대잡고잇는손이 흔들거립니다. 투척하심과동시에 팔이 안움직이게 들고만잇으셔도 정면으로잘갑니다.

멀리던지려하다보면 팔이 흔들거리고 더안날아가거나 다른곳으로 날아갑니다. 김진태님동영상 보시면 줄을놓음과동시에 낚시대들고잇는손을보세요 움직이지않고 가만히들고잇는게 보입니다. 김진태님과 일반사람들의 차이점은 줄놓고 대를 위로드는과정에서 팔이 좌우로 불안하게흔들거리는 차이입니다. 낚시대가무거우니깐요ㅠ 도움되셨으면좋겟네요.
추천 0

2등! IP : 88fb82b617cae8f
장대의 불리함이 앞치기죠 ㅎㅎㅎ
앞치기 몇번 하고나면 팔이 아파서 ~~휴 소리가 절로나던 경험이 있었는데
배치기라고 들어 보셨나요?

배에 걸치고 줄짧게했을때~~탄성으로 튕기는 앞치기법인데요
벨트부분위에 걸치고 봉돌잡고 튕기듯이 앞치기 하시면 됩니다

함 도전해 보시기를요
추천 0

IP : a26c5fc16efd26c
계속 하다보면 잘들어갑니다 팔뚝에 걸고 해도요..

저는 반대입니다.. 거의 장대만 쓰다보니깐 3칸 내외 짧은대 던지면 좌우가 잘안맞습니다..

그차이입니다..
추천 0

IP : f4623cdc7602759
조금 멀리 나간다고 해서 대물잡는거 아니더라구요 팔에 엘보오면 진짜 아프고 오랫동안 고생합니다 통초릿대 추천합니다 새로운 낚시가 시작됩니다^^
추천 0

IP : cfad65a25ed3169
44칸까지는 끝잡고 앞치기합니다.
물론 무거운 대 사용하구요.
단, 김진태님 동영상에서처럼 45도로 들고 줄좀 짧게해서 합니다.
줄을 길게하면 손목과 팔힘으로 대를 들어주어야 하는데 무척 힘듭니다.
그래도 48칸은 줄을 어지간히 짧게 하지 않고서는 힘들더군요.
찌를 자중이 적게 나가고 봉돌도 대탄성에 맞는 적절한 호수 찾아서 원줄을 바톤대 중간즘 오도록해서 하면 44칸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단,,, 고수가 아니기에 정확도는 반반입니다.^^;;;
추천 0

IP : 9ebbfac82b45e69
배스탕에서는 장대가 대세인거 같습니다
저 같은경우는 4.4대 2대 초릿대를 통초리대로 교환했고, 원줄은 짧게 조정해서 팔꿈치에 걸쳐서 캐스팅합니다.
할만합니다.
추천 0

IP : 5d7c8de4f058813
방법중에는 여러가지가있겠지만 통상적으로보면 원줄을짧게매신느방법도있지만,

저 같은경우는 앞치기보다는옆치기를합니다. 오히려 옆치기가 수월하더군요.

근데 거의옆치기하시는분이없더라구요 ㅎㅎ 편하데 ...
추천 0

IP : 3cad59b28db1ee8
원줄 길이 맞추실때 대의 탄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있을만큼 맞추고요! 투척시 팔에 약간 힘이들더라도 45도 각도와 원줄잡은손은 최대한 뒤로 빼신다음 대를 쭉 민다고 생각하시고 놓으시면 탄성으로 앞치기도 잘되고 정확도 면에서도 갠찮더라구요!
추천 0

IP : dbe6cc64c14ba46
이번에 갤럭시x 46대와 48대를 장만하여
원줄을 60센티정도 짧게 메고
회사 잔디밭에서
팔꿈치를 이용하여 해보니까
10번던져서 8번은 한자리에 들어가더군요.....
원줄3호에 봉돌은 5호 깍았구요...
참고로 제키는 165가 안됩니다...ㅠ.ㅠ...

연습....연습....하면
그 이상의 대도 가능하리라 봅니다...
추천 0

IP : 18f09a5d7b115fb
저는 최고 긴대가 3.6칸 ~~

그이상은 힘들더군요~

가까이에 있는것만 잡을라공~^^
추천 0

IP : b6b43cf6954b85e
사용하고있는 낚시대의 성질.찌.봉돌 등 채비의 조합도 중요하나
잦은출조와 연습만이 해답입니다
추천 0

IP : 6c6dfc7291b7b7e
예전 어른들은 낚시대를 받침대에 거치해놓구 줄을 두손으로 잡아서 대의 탄성을 이용해서 앞으로 던지는걸 앞치기라고 하는분도 계시더라구요..요령만 알연 팔에 무리도안가고 좋은방법인거같습니다
추천 0

IP : 8039ce3d3cf520d
장대위주의 낚시를 하는 일인입니다.
작년 까지만 해도 앞치기 안되어서 장대
별로 사용하지 않았는데
작년 8월에 의성군 금성면의 낚시를
오랫동안 하신분이 케스팅하는것만 봐도
초보인지 고수인지 판단이 된다고 하시면서
저에게 전수해주신 방법입니다.
오른손 잡이의경우입니다.
왼발을 뒤로 하여서 몸을 옆으로 서서
몸을 앞으로 약간 구부립니다(옷에 바늘걸리는것 방지위함)
낚시대를 팔꿈치에걸치구 오른팔을 완전히 뻗고(절대구부리면안됨 엘보방지)
왼손에 봉돌을 잡고 뒤로 당겨서 대의 탄성에 맞게
원줄 길이 조절하여 알맞게 원줄길이을 정합니다.
원줄 조절이 되면 케스팅할때 절대로 오른 팔을
구부리지 마시고 대의 탄성를 이용하여 케스팅하고
이때 허리을 이용하여(히프를 앞으로 살짝 밀어주면
자동 오른쪽 어깨가 들리면서 낚시대도 따라서 들리고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날아갑니다.
원하는 방향으로 케스팅이 안되면 왼발을 뒤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방향을 잡으면 됩니다.
케스팅할때 원줄 날아가는 쉑 소리는 나되 낚시대
우는 소리(쇄엑~)는 나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봉돌이 위로 날아서 착수음이 크게 나는것도
대물을 쫏는 것이 되니까 봉돌이 수평으로 날아가서
수면에 사뿐이 내려 앉도록 케스팅하는 연습을 하십시오
저는 작년 9월부터 44~52대 12~14대 편성하고
낚시했는데 케스팅 배우기 전에 44대이하 12~14대
편성하고 낚시할때보다 피로도가 작습니다.
이 방법으로 하시면 절대로 엘보 걱정안해도 되고
장대 앞치기 자신이 생김니다.
열심히 연습하세요.
추천 1

IP : 2e2e20ec8775eb8
저같은 경우 48대까지사용 합니다.
물론 앞치기 잘됩니다.
대마다 탄성이 틀리고 무게도 다릅니다.
투척시 꼭 팔꿈치에 바치실 필요 없구요
줄길이를 조금더 줄여서 투척해 보세요 투척하고 낚시대를 살짝만 들어주면 잘 날아갑니다. 저는 록시48대 줄길이를 바톤대기준 상부2/3지점 오게해서 사용 합니다
추천 0

IP : 0cd4a8b29db9498
다른분들처럼 몇대 안피실때는 어떤 캐스팅이든 구사가 됩니다

한대로연습하는것과 낚시를 가셔서 몇대 안피었을때

앞치기는 잘될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다대편성시

받침틀에 걸릴까봐 신경쓰이고 투척시 잡고있던손이 흔들리게 됩니다

원줄길이를 탄력을 받을만큼 짧게 매시고 연습을 많이 하셔야 합니다

(받침틀 높이와 어떤지형에서든지 앞치기가 잘되도록 )...
추천 0

IP : e589d1957c7dba9
내가 구사했던 투척 방법도 있고~배워야 할것도있고~엘프로조사님의 글에 공감이 저도 그런 투척
방법을 하소 있는데 오른 팔을 구부리고 했었는데 ...쭉 피고 헤야하는군요? 연습 해봐야겠네요?
좋은 정보 얻고 갑니다
추천 0

IP : a4d92a6384b5948
44칸을 대끝을잡고 스냅주라고요? 누군지 보고싶네요
절대 무리하지마시고 팔목을 이용하세요 자주투척하지마시고 확실한 입질에만 챔질하시길,,
추천 0

IP : bf0ab86c5e0a0c7
짧은대는 앞치기
40대 이상 긴대는 옆+앞치기 혼용으로 합니다
오른발을 앞으로 두고
몸과 낚시대를 왼쪽으로 틀어서 오른쪽+대각선 방향으로
몸과 팔을 돌리며 윗쪽으로 살짝 들어줍니다
각자의 익힌 습관이 다르죠
추천 0

IP : bfc87bf86cd49e9
저도 소쩍새님과 비슷하게 옆 돌려치기로 하니 편하더라구요 떡밥낚시가 아니라면 정확히 그자리에 떨굴필요도없고 20센티반경으로 거의 그자리에 투척되더라구요
추천 0

IP : 8c981836c05c240
옆돌려치기 연습해보세요 일자 앞치기보다 정확도는 떨어지겠지만 연습좀 해보시면 44는 무게감없이 오로지 탄성으로 원줄 끝까지 날아갑니다
저는 이방법으로 앉아서 52까지 합니다
다섯번 던지면 세번은 정확하게 원하는지점에 ㅎ
추천 0

IP : cf960df7e85eb7c
정확한투척은 안정되고항상같은투척자세가중요합니다

이것저것해보시고 힘덜들고본인한테잘맞는투척법을 익히시길바랍니다

44대같은경우 52대로연습하세요

44대가30대로느껴지는날이오실겁니다

제가가끔40대를밤에28대로착각을합니다

장대후유증이겠지요

줄을짧게매고연습하시고

원줄을1대1로매시고연습해보십시요

화이팅 하세요
추천 0

IP : d7d91b33a8a869a
어떻게 던지나 원줄은 대 탄성이 먹어주는? 봉돌을 놓앗을때 조금이라도 튕길 만한 탄성 받을정도로 줄길이를 조정하시면은 쉽습니다. 팔꿈치 받치면 처음에야 정확도가 떨어지겠지만 요령이 생기면 훨씬 수월합니다. 지인은 원줄을 무리하게 길게하여 36칸 투척도 엄청 어렵게 한 5번이상.......던저서 넣는데 그렇게 할 필요가 있을지가 궁금합니다. 10센치 20센치 더 던진다고 고기나오는게 아니죠...
추천 0

IP : 6eba16c07ccec45
대 자중이 가벼울수록(대를 접어서 잰 무게보다도 편 상태에서의 무게감)앞치기는 수월해 지겠지요.
그담 고려사항이 원줄길이니, 대의 탄성이니 부수적일것이구요.

1. 무조건 가벼운대로 장대를 쓴다.
2. 그게 아니라면 체력과 반복숙달에 의한 요령을 키우는 방법

쌍포조사님의 질문에 드리고 싶은 답변입니다.
추천 0

IP : 6197ad3e68b478c
전 보통키에 팔힘도 적어 현재 44대 까지만 씁니다만 앞치기 힘든다는
생각은 안해봤습니다.
44대의 경우 바톤대 길이의 1.5배 나 줄을 짧게 묶습니다.
빈바늘 회수할땐 바톤대 윗대를 잡아야 봉돌이 잡힐정도로 짧습니다.

이렇거 극단적으로 짧게묶으면 원하는 방향으로 겨누기만하고 대충
당겼다가 놓으면 총알같이 원하는 방향으로 날아갑니다. 팔꿈치에 걸 필요도 없습니다.

짧게 묶다보니 44대가 42, 40대 길이의 효과밖에 못내는 단점이 있지만
좌대로 거리의 불리함 만회합니다.
결국 낚시 편해집니다.

올핸 48대도 던져볼까 하는데 줄길이를 바톤대 1.7~1.8배는 짧게맬 예정입니다.
추천 0

IP : 096906b221dcd3b
무조건 40대 이상은 팔꿈치에 걸어서 날립니다.
엘보 한번 걸리면 고생해요.
추천 0

IP : bd5952bfc661bc1
젊어서는잘보르지만나이들면보든게힘이붙여요

장대낚시꼭필요할때한대만피는것이좋을것같읍니다

엘보오면그게길게는3년4년감니다 조금쉬면좋은데

나중엔컴퓨터마우스돌리기도힘들어요 도움된나요
추천 0

IP : dac48c132e18627
앞치기하실 때 팔의 특정 부분만 사용하시면 438% 무리가 옵니다.^^;;;

장대의 기준은 사람마다 틀리고, 장대 역시 제조사마다 특징이 틀립니다.
하지만 기본은 있습니다.

오른손잡이의 경우말씀드립니다.
1. 오른손으로 손잡이(보통 수축튜브 튜닝하시죠? 그 부분을 잡습니다.)를 단단하게 잡는다.
2. 낚시대 끝부분은 팔꿈치가 아니고 손목부터 팔꿈치 사이 넓은면에 받친다.(이렇게 되면 손목이 살짝 꺽이는데 전혀 무리가 되는 범위까지는 꺽이지 않습니다.)
3. 왼손으로 봉돌을 잡으면서 왼발이 오른발보다 뒤에 위치한다.
4. 팔꿈치는 옆부리에 붙여 흔들리지 않게 고정한다.
5. 캐스팅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낚시대를 향하고 왼손으로 잡은 봉돌은 뒤로 젖힌다.(이때 몸의 방향은 초릿대와 왼손이 몸을 가로질러 바늘이 몸에 걸리지 않을 정도의 유격만 있고 거의 일자에 가깝게 됩니다. 물론 상체를 살짝 굽혀도 좋습니다.)
6. 낚시대를 들고 있는 오른손을 팔목이 아닌 팔 전체의 힘으로 들어주면서 봉돌은 놓는다. (낚시대의 각도는 전방 약 60도 정도가 되며, 이전 상태에서 팔은 거의 90도 각도가 되어 있습니다. 이 각도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어깨를 기준으로 팔을 들어줍니다.)
7. 봉돌이 앞으로 향하면서 굽혀있던 팔꿈치를 펴서 팔을 살짝 앞으로 뻗어 펴준다. (이 상황에서 자연스레 초릿대 부분이 약간 밑으로 향하게 됩니다.)
여기까지가 제가 사용하는 기본 앞치기 자세입니다.

6번 캐스팅시에 순간적인 힘이 들어갑니다,
하지만 팔 전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특정부분에 무리는 오지 않습니다.

여기에 추가로 봉돌의 무게(대략 5호 이상 8호 이하, 52대기준 4호까지는 가능), 찌의 형태 (바람의 영향을 덜 받는 형태), 낚시줄의 길이 (라인을 묶고 초릿대 끝의 탄성이 느껴질 때까지 짧게, 40대의 경우 보통 30cm 짧게)에 따라 영향을 받기때문에 본인이 사용하는 낚시대의 특성을 잘 알고 튜닝을 해야합니다.

요즘 낚시대가 워낙 잘 나오지만 장대의 경우 초 고탄성의 무조건 무게가 가벼운게 좋은건 아니라 생각합니다.
어디까지나 소재가 가지고 있는 탄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무게도 적당하고 무엇보다 발란스가 좋아야합니다.
괜히 장대가 고가의 제품들이 인정을 받는게 아니죠...

초 고탄성에 무게가 가벼운 낚시대... 몇번 사용하지 않았는데, 수초에 걸려서 제압하다가 낚시대 작살나는거 여러번 봤습니다...

저역시 장대 앞치기 초기에 손목으로 받쳐보기도하고, 낚시대 탄성으로만 앞치기를 해보기도하고, 팔꿈치에 받치고 해보기도했는데 모두 잘못된 자세였습니다.

지금은 56/60대 앞치기 문제없고 52까지는 수십번 앞치기해도 팔에 무리가 가지 않습니다.

잘못된 자세로 여러번 연습하는것 보다 제대로 된 자세로 한번을 투척할 때 신중하게 몸이 자세를 습득하도록 하는게 더 좋은 방법이라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추천 1

IP : 2b9b912542e9148
초보자들을 위한 앞지기 요령

윗분들 말씀대로 다들 자기 스킬이 있습니다만

말 그대로 초보자를 위한 앞치기요령 입니다

오른손잡이 경우 왼발을 뒤로 빼고 왼손으로 봉돌을

잡는다고 하셨는데 이 경우 정확한 앞치기가 안됩니다
이유는 잡고 있는 손이 고정이 안되어서 흔들립니다

오랜경력이 뒷받침 되지 않을경우 입니다

자 그럼 반대로 오른손으로 대를 잡고 왼손으로 봉돌

을 잡고 왼발을 뒤로 빼지 마시고 오른발을 뒤로 빼시

고 투척시 균형이 흩틀어 지지 않아 대를 잡은 손이 고

정이되고 신경이 오른손으로 가기 때문에 앞치기가

쉬워 집니다 오랜경력으로 쌓아올리신분이야 제

글은 패스 하시고 월척님들 항상 안출하시고 즐

낚 하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