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론 2합사로 목줄을 사용하려고 하는데요 원줄은 그랜드 fx 줄의 최소 굵기는 얼마로 사용하는게 좋을지요?
당테크론 (본 라인) 1.5 합사는 너무 가늘어서 꼬임 현상이 있네요
테크론 2합사의 인장강도는 10파운드라고 나와 있는데 시가 그랜드 fx 줄에 대한 인장강도가 안나와 있어서요
제 생각으론 1,7호나 2호줄을 사용하고 싶은데 어느것이 좋은지 가늠이 안되네요
좋은 의견 부탁 드려요 참고로 저는 노지와 저수지를 주로 다니고 있어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채비에 관한 전반적인 노하우를 알려 주심 감사 하겠습니다
군계일학의 좁쌀봉돌 채비도 한번 해보았는데 별 효과를 얻지 못하였어요 제가 낚시하던곳이 삭은풀 같은것의 장애물이
있는곳이라 그런지 아님 채비의 잘못인지 구분이 안가서 그냥 2봉채비로 줄곳 사용하고 있습니다
ftv 방랑자 채비를 우연히 보고 시도 해 보고 싶어서 - - -
하지만 데크론사 자체가 케블러사나 pe합사에 비해 강도가 좀 약합니다.
데크론 2합사 인장강도가 10파운드라 했으니 낚시줄로 말하자면 약 2.5호 정도 인것 같습니다.
원줄은 3호(12파운드)이상 셋팅해야 맞겠으나 데크론사가 약한 축에 속하니 2~3호 이내로 잡으시면 맞겠네요.
군계일학이나 방랑자채비는 다른분들이 설명 해주시리라 보구요.......
삭은풀이 있는 장애물 바닥이라면 ......윗채비 보다는 차라리 외바늘 채비가 더 나을것으로 사료 됩니다.
걱정했거든요 언젠가 원줄을 싸걸 사용했더니 그만 비싼찌를 포함한 원줄이 먼저 터져 나가서 낭패를 본적이 있어서 - - -
낙수불입님, 리모콘님 감사합니다 참고해서 이용해 볼께요
감기 조심하시고 안출하시길 - - -
“꾼들의 자존심은 자연환경을 해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장점은 바닥이 감탕이거나 뻘등 미끼가 함볼됄수 잇는곳에서 방랑자채비가 효과가 잇죠..
보통 목줄을 15쎈티로 잡으면 좁쌀물리는곳 6센티전후로 잡고 쓰는걸로 알구여
저같은경우 엉킴방지를 위해서 목줄로 바늘묶을때 찌멈춤고무를 써서 채비연결부위를 벌려줍니다.. 그러면 덜 엉키더라구여
그리고 내림입질/올림입질 다받을수 있읍니다...
목줄을 돌 같은 것에 문지른 듯 너덜너덜하게 끊어져 버리더군요....
색깔은 누런색(카키색)이었는데 유난히 그 줄이 약하더군요.... 그래서
지금은 마음 편히 3호줄 씁니다...
지금은 수초가 거의 삭아내려 걸림이 별로 없으니까 원줄은 그랜드 1.5~1.7정도
저는 데크론 3호, 그랜드 1.7호 쓰고 있습니다.
채비는
바닥이 비교적 깨끗한 곳에서는 좁쌀채비가 입질면에서 좀 더 매끄러운 것 같구요...
바닥이 지저분한 곳에서는 방랑자 채비로 한 바늘을 바닥에서 조금 띄우니
입질 받기가 낫더군요....
저수지에서 그리고 강에서 5번 정도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같은 길이의 대로 하나는 군계채비, 또 하나는 방랑자채비로 해서 낚시를 해 보았지요...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낚시대 위치도 바꿔가면서 했습니다.
저의 실험 결과는 방랑자채비가 더 많은 입질을 받았습니다.(7:3)
위 결과로 어느 채비가 어느 채비보다 낫다라고 단정 짓지는 않습니다.
단지 저의 테스트에서 나온 결과란 사실만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요즘은 방랑자채비의 변형 형태를 많이 쓰더군요....
옥내림이 바닥보다 나은 조황을 내고 있어서 그런지....[방랑자채비+옥내림채비]
긴목줄은 30~35정도로 맞추고 좁쌀을 바늘에서 3-4cm 위에 달구요.....
짧은 목줄 긴목줄에 비해 단차를 10cm를 주고요..
그리고 옥수수를 사용하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 정보를 원하시면 쪽지주시기 바랍니다....
추워지는데 안출하시기 바랍니다....^^*
아무래도 저수온기이고 부유물이 가라 앉아 있어서 바늘하나는 약간 뛰어서 하는게 좋을듯 싶고
채비역시 가늘고 찌도 저부력으로 사용하는게 유리 할것 같아서 곧바로 시험 해 보겠습니다
변덕스런 날씨에 건강조심하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