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초보조사 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처음으로 낚시를 배울때<유료>찌마춤을 말씀드리자면..
1.찌고루 하단으로 다내리고 캐미있는 상태에서 원봉돌 깍아가면서 영점찌마춤하고 낚시를 했는데요..이게 잘못된건가요??
요즘 장찌채비에 관심이 생겨서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니 현장찌마춤하시는걸 말씀드리자면..
2.원봉돌달고 찌달고 스토퍼로 수심채크 후
스토퍼 20cm내리고 거기서 부터 원봉돌 깍아가면서 캐미부분까지 노출시킨 후 다시 스토퍼를 제자리로 올리시더군요..
제 찌마춤이 잘못된거 같은데..집에서는 찌마춤 안합니다..무조껀 현장가서 찌마춤하고 하는편이라서 현장 찌마춤법 좀 가르쳐주세요..ㅠㅠ
제가 쓰는 찌는 보통 75에서 길면80정도되는 찌를 씁니다..유료터구요..고수님들 찌마춤법좀 제대로 가르쳐주세요..ㅠ.ㅠ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반갑습니다
2번이 맞는 것 같습니다
찌가 장찌이면 20cm보다 더주고 맞추어도 될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바늘까지 달고 캐미 머리까지 맞추고
낚시 할때는 캐미 한마디 내고 낚시 합니다
단지 그날 활성도에 따라 약간씩 무겁게도 가볍게도 합니다
즐거운 한가위 명절이 되시길 바랍니다
월척캠페인:오분만 청소 합시다
2번으로 맞추시고 지나치게 까분다는 느낌이 들면 조그만 편납조각 더해서 조정하셔도 좋을듯 합니다.
현장찌맞춤은 정확한 찌맞춤이 안됩니다. 된다고 해도 무겁거나 가볍게 됩니다.
떡밥낚시는 2호이하 모노줄에 수조무바늘 찌탑기준 한목이하로 맞추시구요 현장에서 한목만 내어 놓고 낚시 하면서 붕어활성도에 따라서 오링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현장찌맞춤은 절대로 하지마세요 잘못된 상식입니다.
현장 찌맞춤은 하시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수심, 물의 종류, 온도, 밀도 등에 따라 수압이 변할 수 있고,
그러한 낚시 여건에 따라 조절해 주셔야합니다.
그리고 3호 이상의 줄을 사용하실거면 모노줄 보다는 카본줄 추천합니다.
또 수심,물의종류,온도,밀도,수압에 따라서 변한수가 있다고 하셨는데 이건 거의 미미하구요 또 현장과 수조의물의 차이도 미미합니다 만약에 바뀐다면 변할때마다 찌맞춤을 다시 해야한다는 건데.. 그기준을 잡을수도없고 이렇게하는분도 없구요
현장찌맞춤이 틀린다는건 절대 아닙니다. 다만 현장찌맞춤보다 수조에서 맞춤하시는게 정확하게 맞출수가 있습니다.
카본줄로 떡밥낚시하게 되면 모노줄보다 더 많이 무게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떡밥낚시는 모노줄이 더 유리하구요
낚시는에선 정답은 없는것같습니다. 다만 정확하고 유리한 쪽으로 채비를 구성하시는게 남들보다 정확한 찌올림과 더 나은 조과로 이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단 봉돌만 단체로 케미꼬지 아랫까지 찌마춤후 바른을 단니다
찌마춤하지않고 채비쓰셔도 올려줄놈은 쭉하고 올려 줍니다
그래도 어느정도 찌마춤을해야 되는것은 사실입니다
조사님께서 원하는 채비로 원하는 찌마춤 하시길 바랍니다
낚시의 고수는 자기스스로 깨우치는 것이라 봅니다
저는 그누가 가르쳐 주지않았습니다
오로지 저만의 채비 저만의 낚시 기법으로 낚시을 다닙니다
그것 또한 낚시의 매력이 아닐런지요 ?
님 즐거운 낚시여행이 되시길 바래봅니다
어복 충만하시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