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들 안녕하십니까?
저는 어떤 낚시다 딱 정해놓고 하는건 아닙니다만
주로 떡밥낚시를 합니다.
저수온기때는 지렁이 사용도 하는데요
떡밥은 챔질 타이밍을 거의 정확히 알겠는데
지렁이는 감이 전혀 안옵니다.자동빵 수준이랄까요 ㅠㅠ
제 나름대로 입질 형태를 파악하고 챔질을 하지만 헛챔질이 넘 많아서 글 올립니다
갠적으로 지렁이가 좋은 미끼임에는 틀림없는것 같으나 낚시중에서 가장 어려운 낚시 같아요 ..
도대체 어디서 챔질 타이밍을 잡아야 하나요?
참고로 검색 해봤는데 제가 원하는 글이 없어서 올립니다
질문 올리기 조심스럽습니다.
고견 부탁 드립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그 있는데..뭐랄까 딱 타이밍이라는게
찌가 올라와서 둥둥 떠 다니거나, 아니면 완전히 끌고 들어 갈때 까지 놔둬 버립니다.
질문 잘 해주셨네요. 고수 님들께서 답변주시겠죠. 저도 항상 궁금 했던 질문입니다.
저두 어떻게 설명은 못하지만,
주로 지긋이 쭉 쏫을때 ㅎ챔질합니다.
그감이 있는거 같은데 ㅠ ㅎㅎ
어떻게 설명방법이 ㅎㅎ
즐거운 하루되세요!!
입질로 헛챔질이 많아 사용을 거의 안합니다^^
자동빵이 제일이죠ㅎㅎ
한마리만 쓰면 정말 힘들구 두세마리같이 쓰면 입질이아주 볼만합니다
붕어한테 참 좋은데.
뭐라 표현 할 방법이 없네요.
지렁이 입질이 젤 지저분하다고 보시믄 됩니다.
사장없이 올릴땐 잔챙이나 참붕어 피래미 징거미 등등이고
이단 삼단 입질할때도 있고 걍 예신후 쭈욱 뽑아 올릴때도 있고
예신후 살짝올리다 끄는 입질도 있고
그때그때마다 물속을 그려야지요 지금은 뭐하고 있구나~하고요
그리고 지금이다 싶을때 휙~!
흐~으~^^
아닝가요? 자동빵인가? 긍게거시기?
저도 주로 떡밥하고 늦은밤에는 떡밥 갈기 싫어서 지렁이와 떡밥 짝밥을 주로 사용합니다.
잔챙이라면 모를까 준척급 이상이면 중후하게 올라옵니다.
찌가 올라오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정점에 달할때까지 어느 지점에서건 챔질을 하면 걸립니다.
잡고기는 경박스럽고 빠른 찌올림이 떡밥과 같습니다.
한마디든 반마디든 묵직한 찌올림에 채시면 됩니다.
잡고기 입질은 다 뜯어먹을때까지 두시든
지렁이를 여러마리 꿰어서 피하시면 됩니다.
7치 이상되는 붕어는 입질이 점잔합니다
까부는건 거의가 잔챙이 입질입니다
저 같은경우는 점잔히 올라올때 챔질하는편입니다 또 찌가 올라와서 어느정도 채공시간을 준다면 과감히 챔질합니다
지렁이에 정신없는 입질이 이어지고 헛챔질이 심하다면 그건 분명 잡고기나 잔챙이일 확률이 높습니다 그럴땜 과감히
미끼 변경 또한 지렁이 쓰실땐 예민한 찌보단 부력좀 나가는 찌를 선택하심이
좋을듯합니다 행복하세요
하지만 잔챙이 성화에... 무조건 기다립니다 올릴때까지!!
아시다 싶이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지렁이를 건드려보는 상황의 찌 움직임과 주둥이 안으로 빨아들이는 찌 움직임이 다르니 그 느낌을 찾으면 된다.
선배님들의 이 말씀을 토대로 쭈욱~ 공부 중 입니다.
사용해야 될땐
찌가 없어 질때 까지 그냥
혹은 찌가 넘어 질때 까지
이것 저것 챔질 하다 보면 짜증이 나기 시작 하거던요
글쓴이께서 고충을 말한바와 같이 입질후 챔질타이밍 파악이 힘들어서 입니다.
그래도 이것저것 쓰다 안되면 결국 찾게되는것이 지렁이더군요..
가장 중요한것이 입질포착후 최대한 기다려야 한다는것입니다.
4치이하 -> 주로 깐작거리거나 거의 광란에 가까운 입질을 합니다. 그냥 내비두세요
빨리거나 끌고가는 입질이면 챔질.. 6호이하 바늘이면 몰라도 그이상 바늘이면
대부분 이상한데 걸려서 올라올겁니다.
4치~6치 -> 깐작깐작 거리거나 때론 조금 빠른 속도로 쭉밀어 올립니다.
이경우 그냥 기다려 보시다가 쭉 빨고 들어가거나 옆으로 끌고가는 형태의 입질이 나오면 챔질...
(갠적으로 젤 짜증나는 사이즈 이고 헛챔질이 젤 많이 나오는 사이즈 입니다)
7치~8치 -> 정석적입 입질이 나타나고 올리는 속도가 6치 이하보다 조금 느립니다.
더러 올렸다가 내렸다가를 몇번 반복하지만 이내 빨리는 입질 또는 쭉 밀어올리는 입질이 나타나는데
그타이밍에 챔질하시면 됩니다
9치 이상 -> 입질의 정석 천천히 중후하게 밀어올립니다.
낚시를 좀 하신분이면 누구나 챔질타이밍 잡을수 있을 겁니다.
위에 적은글이 100% 맞다는 아닙니다..
더러 수심이나 저수지 특성에 따라서 이상한 입질이 나오기도 합니다.
제가 정확하게 말씀드릴수 있는것은 떡밥보다 시간을 충분히 가지시고 느긋하게
찌를 관찰한후 챔질하셔도 된다 입니다.
성급한 마음에 대부분 헛챔질 발생합니다.
어느 순간 아래 위로 무겁게 느껴질때가 챔질 터이밍 입니다
찌가 깔짝된다고 해야되나...ㅠㅠ
깔짝깔짝 되었다가 쪼메있음 찌가 스므하게 올라올때
그때 챔질 합니다..
써봤는데요..잔챙이들은 일단 어떠한 방법을 써도 깔짝임이 많습니다..지렁이 입질특징인거 같습니다..
문제는 본신인데 큰놈들이고 토종붕어는 예신은 다소 깔작이지만 본신은 지렁이도 중우하게 올리더군요..
지렁이를 낄대도 지렁이가 축늘어지게 달면 바닥낚시일 경우는 지렁이가 물속에 들어가면 땅파고 들어가려구 합니다..
그리고 헛챔질이 많고요 축늘어지게 안달고 지렁이를 조금 바늘에 여러번 껴서 축늘어지게 저는 안답니다..
대신에 단점이 지렁이가 빨리죽어요 ㅠㅠ 하지만 헛챔질을 줄일수 있는방법이더군요 ^^
전에는 오래살라고 꼬리쪽에 통으로 끼워 바늘을감추고 했는데 요즘 낚시체널에 나오는분들보면 다들 몇번씩꿰서 그냥하던데요 빨리도망치는 싱싱한 새우보다 부상당한(?) 새우를 먼저 먹는데요 지렁이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저두 지롱이 미끼 쓸때는 점잖은 찌놀림?에
챔질합니다......
지롱이 미끼를 쓰시다보시면
그 느낌을 아시게될듯....
ㅎㅎㅎ...
붕애성아님........^^;;
저 찾으셨나요??
밤에는 배스입질이 뜸해서 할만합니다.
배스터 특징이 잔챙이입질이 드물다는것이죠
9치이상 붕어가 지렁이 10마리 입질하면 말그대로 환상적입니다.
새우나 참붕어처럼 찌몸통이 나올때까지 밀어올려줍니다.
다만, 잡어나 4치이하 붕애들이 많은곳에선 지렁이미끼 비추입니다.
정답은 없다 ,,,낚시 하면 할수록 어렵단 생각이 드는군요
시즌 대박 하시길 바랍니다^^
참으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지요?
그러나 워낙에 냄새를 싫어하다 보니 어쩔 수 없는 나만의 고질병?
중후한 입질을 챔질하시면 거즘 고기 붙어잇습니다.
챔질 마시고 차분히 보시면 타이밍이 보일듯싶네요
중후한 입질을 챔질하시면 거즘 고기 붙어잇습니다.
챔질 마시고 차분히 보시면 타이밍이 보일듯싶네요
한마디 두마디 스물스물옆으로 질질....
백프로입니다
올릴경우에는 찌가 막 솟다가
약간 멈춘듯하거나 움찔거릴때
아님 옆으로 슬금슬금 기어갈때
요때는 잘못하면 바늘이 주디안에 걸립니다
진짜만 골라서 잡는다는 것입니다) 지렁이낚시 해보시면 묘미가 있습니다, 진짜찌놀림과 가짜 찌놀림을 구분할 능력을 터득한다면 그것도
큰 노하우를 갗는것입니다,
나머지는 잡어가 하두 꼬여 진짜 챔질 타임 잡기가 어려운 것 같구요.
찌맛은 개인적으로 최고라고 생각이 들고요
아주 쭈욱 멋지게 올립니다.
다만 몇가지를 유의하시고 그 상황에 맞추어서 약간의 변화를 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첫째로 지렁이는 떡밥과다른 움직이는 미끼라는 것입니다.
떡밥이 쉬운점은 점도와 크기만을 조정하면 되겠지만 지렁이는 꿰는 위치와 방법이 몇가지
다른 형태의 입질을 보입니다.
머리꿰기-환대 윗쪽의 머리를 약 0,5쎈티 정도 꿰는 경우 (지렁이 크기가 비교적 클경우)
예신다음에 본신이 오고 다섯마디 정도 올린후에 채면 거의 웃입술에 후킹됩니다.
둘째로 붕어가 충분히 집어가 되었을 경우 허리꿰를 해도 먹이 경쟁을 하게되어 대충 잘 올립니다.
허리꿰기는 지렁이가 쉽게 죽거나 움직이 미약해 지기때문에 한두번 던져서 입질이 없으면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셋째로 꼬리 꿰기는 입질이 미약할 경우 자주 사용하는 방법으로 지렁이를 싱싱하게 유지시켜서
입질을 유도 하나 지렁이의 크기가 중하로 작은 것이어야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짝밥으로 집어제와 같이 사용하며 지렁이의 싱싱함을 유지해야 효과가 더욱 좋아지고
양식지렁이 보다는 헛간이나 하천의 야생 지렁이가 강한 생명력이 있어 더욱 유용하다는 것입니다.
우리 선조들이 오랜 시간을 사용해온 지렁이 낚시가 바닥 낚시를 더욱 즐겁고 흥미롭게 한다는 것도
아울러 새겨두고 싶습니다.
중요한 챔질 타이밍은 본신에서 최소 서너마디 이상 올리도록 기다려 주든가 옆으로 끌고 가거나
빨아들이는 입질에도 지렁이를 충분히 삼키도록 시간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후킹후에 바늘이 어느 위치에 꿰었는지 살피고 타이밍을 이르게 또는 늦게 조정하면 될듯 합니다.
즐거운 낚시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미끼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면 지렁이가 만능 미끼라는 뜻도 됩니다
지렁이 낚시에 헛챔질이 많은 이유중 하나가 지렁이 끝을 물고 늘어지는
경우 때문이라 생각하는데 특히 입질이 미약한 경우가 더 심하지요
요새같은 초봄에 날씨가 않좋아서 활성도가 떨어져서 입질이 극히 미약할 때
떡밥은 그나마 기별도 없는 경우가 많던데, 이럴 때는 지렁이가 답이라는 생각.
지렁이 한마리를 통꿔기로 끼워서 끄트머리를 짧게 해 보세요
그렇게 지렁이를 달면 떡밥보다 입질이 까다롭지 않을 것입니다
활성도가 낮을 때 크게 덩어리진 미끼는 붕어 입장에서도 부담스럽습니다
그리고는 쭉~~~~ 천천히 길게 올립니다.
몇번 해보시면 나만의 챔질 타이밍을 잡으실수 있습니다. 저의 짧은 소견과 경험입니다.
지렁이를 꿸때 한두번꿰어서 길게 늘어트려놓으면 헛챔질이 많았습니다.
잡어입질에 바늘이탈도 많았구요 .
그래서 제가쓰는 방법은 여러번번꿴 지렁이를 늘어짐없이 두세마리달아 달면
지들끼리 몸부림치다가 씹다뱉어버린 껌처럼 동글동글 자기들끼리 뭉칩니다.
그상태로 던지면 잡어입질에도 지렁이가 쉽게 이탈되지않고
예신에서 본신으로 이어지는 입질을 볼수있었던것 같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