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집어용과 미끼용을 구분해서쓰는것이 대세인데요...
항상 그게 잘 듣는 것은 아니랍니다..
며칠전에 모 양어장에 가서 해보니 집어용을 윗바늘 미끼용을 아래 바늘로 단차로 주면서 해보니 오로지 윗바늘만 물드라고요..
그러니까 그것이 항상 미끼용 글루텐에만 문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짝바늘이면 위아래 바늘에 미끼를 달리해서 구분할수도 있고 아니면 바늘 크기를 달리한다든지...
바늘 색깔을 바꾼다든지 표시하는 채비로 어느 것에 잘 무는지를 체크해가면서 낚시해보면 그 또한 낚시의 재미입니다...
근데 그렇게 해보니까 항상 집어용에만도아니고 항상 미끼용에만도 아니드라고요...
상황 변화에 대처해 가면서 낚시해보세요...
재밌습니다..
그리고 글루텐이 눈에 잘띠기 보다는 글루텐은 물에서 풀어져도 확 풀어져서 가라 앉는 것이 아니라 솜처럼 부플어서 고기가 흡입하기 쉽게 형태를 유지해 주는 겁니다..
그러므로 고기가 흡입 햇쓸때 글루텐과 더불어 바늘도 쏘옥 빨려 들어 가는 것이지요...
큰 차이는 아니고요...
집어용 떡밥만으로도 각바늘에,
집어용은 푸석하고 크고 각지게 달고
미끼용은 같은 떡밥에 물을 조금더 첨가한후 작고 둥글게 달면 미끼용이 됩니다. 혹은 글루텐 조금첨가해도 좋고요
두가지를 따로쓸때와 한가지를쓸때
별반차이를 못느꼈읍니다
그래서 저는 처음엥 집어용도로 물양을 적게하고
입질이 오기시작하면 물양으로 조절하여 먹이용으로 사용합니다
저수지마다 선호하는 미끼가 달라서 무슨미끼가 먹히는지 파악하는게 먼저인것같습니다
이렇게 낚시를하면 거의 100% 글루텐 먹고 올라 옵니다. 물론 집어용 떡밥을 양쪽에
쓴다면 붕어는 올라오겠지만 아무래도 조과가 떨어질 듯합니다.
글루텐이 잘 먹히는것 같은데 글루텐을 너무 맹신하는건 아닌지 저 자신에게 묻곤 합니다.
집어용이 반드시 집어역할만 하는 것은 아니지요 님께서도 그것을 경험하셨듯이...
단 토종붕어는 뭉쳐진 건데기를 떡붕어는 가루를 먹는 습성이 있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낚시인이 집어용을 더욱 치대어 미끼용으로 사용하시고 있고요....
즐낚^^
집어용과 미끼용을 구분해서쓰는것이 대세인데요...
항상 그게 잘 듣는 것은 아니랍니다..
며칠전에 모 양어장에 가서 해보니 집어용을 윗바늘 미끼용을 아래 바늘로 단차로 주면서 해보니 오로지 윗바늘만 물드라고요..
그러니까 그것이 항상 미끼용 글루텐에만 문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짝바늘이면 위아래 바늘에 미끼를 달리해서 구분할수도 있고 아니면 바늘 크기를 달리한다든지...
바늘 색깔을 바꾼다든지 표시하는 채비로 어느 것에 잘 무는지를 체크해가면서 낚시해보면 그 또한 낚시의 재미입니다...
근데 그렇게 해보니까 항상 집어용에만도아니고 항상 미끼용에만도 아니드라고요...
상황 변화에 대처해 가면서 낚시해보세요...
재밌습니다..
그리고 글루텐이 눈에 잘띠기 보다는 글루텐은 물에서 풀어져도 확 풀어져서 가라 앉는 것이 아니라 솜처럼 부플어서 고기가 흡입하기 쉽게 형태를 유지해 주는 겁니다..
그러므로 고기가 흡입 햇쓸때 글루텐과 더불어 바늘도 쏘옥 빨려 들어 가는 것이지요...
공식처럼 쌍바늘 바닥 떡밥낚시에 집어제와 미끼용 글루텐을 쓰시는 경우가
많은데 꼭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중층, 내림에서는 반드시 그렇게 합니다)
글루텐 특성상 입질이 없을 시 바늘에 오래 붙어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이것은 글루텐 대물낚시에서 자주 미끼를 갈아주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장점인 거 같고요...
일반 떡밥낚시는 가능하면 자주 투척해서 집어를 많이 시켜야만 손맛을 봅니다.
노지나 유료터 모두 같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글루텐만 먹히는 그런 곳도 많이 있더라구요... 그래서 낚시하시기 전에
반드시 그 곳에 잘 먹히는 미끼가 뭔지를 파악하시고 낚시를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보리보리 계열의 집어제를 많이 섞으면 집어제로
그리고 조금 덜 섞으면 그냥 미끼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끔은 한가지로 통일을 해서 미끼용은 좀 더 주물러서
덜 풀어지게 한다음 사용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