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다리에 편납을 감으면 찌의 움직임은 부드러워 질수 있으나 붕어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읽을수가 없을때도 있습니다.
잡어가 날리칠때도 찌는 아주 부드럽게 올라오죠.....대물처럼.....
오히려 편납을 단 만큼의 가벼운찌를 사용하여 정맞춤을 하여 사용하심이 올바른듯싶습니다.
장대낚시용으로 둔탁하게 만들어진 장찌가 아니라
일반 떡밥낚시용으로 만들어진 120cm ~200cm 정도의 예민한 장찌를 사용할때
대부분 10호 이상 고부력이어서
분할을 하더라도 납이 굴비 역거리 마냥 주렁주렁 달리게 되고,
이것이 투척곤란, 채비엉킴, 뽀대반감(ㅋㅋㅋ) 등
여러가지로 골칫거리가 됩니다.
이때 찌다리에 납을 분할해서 달면
자체 부력을 상쇄시켜 저부력으로 변용할 수 있으며,
분납을 그만큼 덜 해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투척도 편하고 찌가 던지자 마자 빨~~~~~딱 일어서서
수초동안 그대로 머물다가 서서히 내려가는 찌르가즘을 보여줍니다.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고부력 장찌를 사용하면서도 저부력처럼
원줄에 납을 적게 달고 사용하려는 목적에서 사용합니다.
날짜가 한참지난 글에 댓글 달기가 뭐합니다만...흔히 이런 방법으로 자립찌를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찌 맡춤 방법은 찌다리에 감는 편납의 양은 찌몸통이 거의 잠겨서 지몸통과 탑이 만나는 부분이 약간 만 보일정도 수조에서 맞춤을 합니다.. 이렇게 해서 수조에서 찌를 밑으로 쑥 눌러 찌몸통이 물속으로 완전히 잠기게 손으로 눌렀다가 놓으면 찌가 서서히 몸통까지 올라 올정도로 편남을 감아 줍니다. 그리고 채비의 하단에 나머지 찌탑이 케미꽂이 밑 목부분 까지 잠길정 도의 편납량을 감아 줍니다. 이렇게 했을경우 찌올림의 특징이 아주 중후하게 서서히 올라와서 찌맞춤을 제대로 했을 경우 거의 찌몸통 상단까지 다올리고도 한참을 버티고 서있습니다. 주로 바닥낚시에서 찌올림을 보고자 하시는 분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여름철 바닥낚시만 하는 곳에서 한번 해보세요.특히 여름 밤에는 찌오름의 최고의 맛을 느낄수 도 있습니다. 어떤분은 이렇게 표현하시더군요 손 맛이 백냥이면 찌맛은 천냥이라고...그래도 잡혀야 천냥이죠....ㅋㅋ
정확하게 읽을수가 없을때도 있습니다.
잡어가 날리칠때도 찌는 아주 부드럽게 올라오죠.....대물처럼.....
오히려 편납을 단 만큼의 가벼운찌를 사용하여 정맞춤을 하여 사용하심이 올바른듯싶습니다.
일반 떡밥낚시용으로 만들어진 120cm ~200cm 정도의 예민한 장찌를 사용할때
대부분 10호 이상 고부력이어서
분할을 하더라도 납이 굴비 역거리 마냥 주렁주렁 달리게 되고,
이것이 투척곤란, 채비엉킴, 뽀대반감(ㅋㅋㅋ) 등
여러가지로 골칫거리가 됩니다.
이때 찌다리에 납을 분할해서 달면
자체 부력을 상쇄시켜 저부력으로 변용할 수 있으며,
분납을 그만큼 덜 해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투척도 편하고 찌가 던지자 마자 빨~~~~~딱 일어서서
수초동안 그대로 머물다가 서서히 내려가는 찌르가즘을 보여줍니다.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고부력 장찌를 사용하면서도 저부력처럼
원줄에 납을 적게 달고 사용하려는 목적에서 사용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이 채비를 "찌분할"이라고 부릅니다.^^*
보통 이런채비법은 하우스에 볼 수 있는데
입질시 이물감을 최소화 시키기위함으로 보심 될 듯 합니다.
대충 맞춰놓은 찌맞춤을 현지 낚터에서 재 조절 할때
띄우기 위해 깍은봉돌 바닥채비로 전환하기 위해
실남 한뭉치 들고 다니면 여러모로 편합니다
직공채비로 전환할때 실남으로 원줄에 찌 매둘때도
부드러운 경험을 하였습니다. 무턱되고하는게 아니고 꼭 그런날만하는데 일반 채비와 그런 상황에서는 분명 찌표현이 달라지더군
요..
부력을 분할한것입니다.
무거운 봉돌을 써야하는 대물낚시에서 고기가 이물감을 덜 느끼게 하기위한 방법으로 요즘 많이 쓰고 있는것
같습니다. 안출하십시요
전 그렇게 생각하는데 ^^ 오답이면 죄송합니다 ^^ 초보라 ^^
바다에서 주로 막대찌에 황동이나 납을 첨가해서 자립으로 만든다음 좁쌀봉돌을 이용해 목줄잡듯이
민물에서도 고부력, 투척, 분할을 위해 그리 하는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