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봉돌에 케미빼고 바늘빼고 케미꽂이가 수면에 일치하도록 찌맞춤을 합니다.
바늘달고 미끼달고 케미달고 던지면 찌가 서기 시작하면서 동시에 슬슬 입수하여 바닥에 닿는 모양입니다.
그런데 다른분의 찌 입수하는 모양을 보니 저와는 다릅니다.
채비를 투척하니 찌톱이 천천히 일어서고 찌몸통이 둥둥둥 떠서 입수장소에 와서 입수를 시작하여 바닥에 닿습니다.
찌 입수 모양이 이렇게 되게 할려면 찌맞춤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찌모양은 몸통이 동그란찌를 사용중입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몸통이 막대형인 찌는 부력이 분산되어 있어서
찌가 완전히 기립하기전에 일부 몸통이 수면에 잠기게 됩니다.
그에반해 몸통의 길이가 짧은 찌는 부력이 한곳에 집중되어 있다보니
완벽히 기립을 한 후에 입수하게 됩니다.
특히 다루마모양의 찌가 그렇습니다.
사족을 달자면 예민하게 맞췄을때 상대적으로 고부력찌가 그런 입수 확률이 더 높습니다.
다만, 균형이 깨진 찌는 양상이 전혀 다를수 있지요...
그건 유동찌의 유동거리에서 생기는 현상으로 보여집니다.
수심이 2m정도이고, 만약 봉돌과 찌 하강높이를 50cm로 했다고 가정한다면
1.5m의 유동거리(그냥 찌 길이는 생략)가 생길거고 그 길이만큼 펼쳐졌다 봉돌이 내려가며 둥둥거리며 앞으로 끌려 오다 입수 하겠죠.
아마 그런 현상을 말씀 하시는거 같습니다.
자리잡습니다.,, 이것 궁굼하신듯??
노지에서찌맞춤을하여
찌를천천히 입수를시키고싶다면
가벼운찌맞춤 즉 예민한찌맞춤이어야가능할것입니다
원봉돌에 케미끼우고무바늘상태에서 찌톱을 두마디정도 올라오게맞추시면
원하시는속도로 입수하는것을 느끼시게될것이며
위와같이 입수장소에와서 입수를하게는원인은 "을의기도님"께서 명쾌한답을주신것같습니다
멈춤고무의간격을 많이두엇다는것으로밖에는 해석이안되는부분이네요
이것은질문과는거리가먼얘기입니다만
유동찌에한가지더하자면
걸림이많거나 맹탕지같은포인트에서는 유동의간격을 많이두어도괜찮습니다
바람이좀일거나,달이밝은때 그리고 잡어가유독심할때에는
유동폭을무동 즉고정으로가는것또한 바람직한 낚시의형태가될수도
있습니다
이상은초보가왕초보님들에게 조금이나마 참고가되엇음하는맘으로
오지랍떨고갑니다
지금 떨어지는수온은
대물꾼들의마음을 요동치게합니다
기회를놓치지마시고 꼭 원하시는대물상면하시길 바랍니다
꾸벅
동동 거리면서 절대 오지 않고 반 사선 입수 하여 앞쪽으로 다가 옵니다 찌맞춤을 아무리 정밀하게 하여도 동동거리면서 다가오지 않았습니다
제가 자작찌만 5년정도 만들어 사용해 본 결과 입니다 물먹은 찌아니면 사용에는 지장이 없으나 약간의 사선입수와 보기 싫은 정도 입니다
또 한가지 예민한 찌맞춤을 하시자 하시면 케미 꽂고 케미 수면 일치나 유료터 같으면 케미꽂이 밑부분까지도 맞춤도 합니다 바늘 달지 않고요
예민한 찌맞춤을 하고도 사선 입수를 보이면 일단 다리와 찌톱을 자르고 그래도 그런현상이 나면 방법이 없습니다
허접한 경헙담을 말씀드렸습니다
입질이 오면 튜브톱은 ,,1번 만에 입질이 옵니다 ,,,천천히 입수 하게 하려면 최대한 예민하게 지를 맞추는게 좋죠,,,봉돌을 깍아 찌 머리에서 머리까지 나 1cm~7cmwj밑으로 보통 중국붕어 를 상대하는 양어장에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너무 예민하면 물고기가 삼키려는 도중 입질이 오고 찌가 틉니다 ,,,정확한 입질을 보기 힘듭니다 ,적당 한게 좋겠죠,,
고부력일수록 님이 말한 현상입수가 나타납니다
유동으로 하신 후 위찌멈춤 고무와 아래찌멈춤 고무 간격을 넓게 하면 지가 입수할때 한참 서 있다가 천천히 입수하게 됩니다..
또한 야간낚시할때 유동채비를 하면 줄잡기도 편해서 좋습니다.
결론은 아주 가벼운 찌맞춤인 셈인데요, 이경우 봉돌은 뜨고 바늘만 바닥에 살짝 얹힌상태가되는데요 바닥이 아주 지져분한 포인트에서 많이사용합니다. 찌올림 만큼이나 환상적인 찌내림이죠,보통 찌올림을 찌르가즘이라 하는데 이건 내르가즘 이라고나 할까^^
찌 길이 대비 몸통부력이 충분하면 가라앉기 전에 일어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동채비를 쓰신다면 찌를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투척하시면 찌홀더가 원줄을 타고 이동하는 동안 마찰력이 생기기 때문에 일찍 일어서고 천천히 입수하게 할 수 있습니다.
자중대비 부력이 높은 것은 찌가 일찍 일어서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표면장력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부력 대비 찌톱이 너무 길어도 제대로 일어서지 못합니다.
제 같은 경우에는 유동식 채비를 합니다
그러면 줄을타고 찌가 들어와사 자리를 잡은 다음 입수를 하게 됩니다
그러면 그런 유형에 찌 안착이 일어나구요
예전 처럼 찌고무에 직결한다면 바로 입수를 시작해서 들어오면서 채비가 정렬이 되겠지요
편한데로 아무것이나 하면 됩니다만
유동채비가 줄잡이 역활을 하니 복잡해도 편하기는 편합니다
중층이나 내림 형태로 찌를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유동채비에 다루마찌를 사용하는것까진 맞습니다
좀더 디테일하게 설명드리자면 찌맞춤시 케미달고 수평 맞춤뒤 수심을 찍으셔서
바늘까지 달고 2단입수로 맞추셔야합니다(수심을 찍고 다시 찌맞춤을 하셔야
줄무게 까지도 포함된 예민한 맞춤이됩니다)
이렇게 찌맞춤을 해놓으면 찌가 내려갈때 천천히 환상적으로 내려갑니다
단찌보다는 장찌일수록 입수가 더 멋질겁니다
그리고 찌가 동동동 뜨면서 오게 하려면 찌다리에 편납을 살짝 감아서
찌맞춤을 하거나 시중에 판매하는(흔하지는 않습니다)찌 유동촉 중에
금속으로 되어 채비를 할때 일반유동찌고무처럼 채비에 달아서 쓰는
금속 유동촉이 있습니다 이금속 유동촉의 경우 찌부력의 분할작용도 하므로
채비 투척시 찌가 그자리에 서게 됩니다
위의 두가지(찌맞춤, 찌다리편납 또는 금속유동촉)가 충족이 되면
빨간방울케미님이 보셨던 그모습 그대로가 재현이 될것입니다
손맛터에서 찌올림을 보고자 할때 가끔씩 하곤 했었습니다
찌올림과 입수가 환상적이죠
가벼운 찌맞춤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질문글로 보면 가벼운 찌맞춤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캐미는 꼽으신채로 찌고무 하단맞춤정도면 원하는 입수 속도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