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다리에 편납을감으면 어떤가요

IP : 69aadffe2b00ddd 날짜 : 조회 : 7732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갑자기 추워졌네요 얼마전 모싸이트를 들어가보니 찌다리에 편납을 13프로 정도감아주고 2분할채비니 3분할채비니 하는것을 보았는데 제생각으로는 이해가 되지안습니다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주면 그많큼 예민도가 떨어지는게 아닌가요 둔한채비가 될것같은데 그싸이트에서는 그래야 예민해지고 찌가 몸통까지 올라온다고 하는데 어떤가요?

1등! IP : 49c6a40d80da81c
현제 연지찌 찌다리에 편납감아서 사용중입니다.
찌다리에 13%감고 2분할 3분할 그런용도로는 안씁니다. 복잡한거 딱질색 ^^
저는 그냥 부력을 모두 동일하게 하게하려고 편납감아 씁니다.
봉돌은 꿰미추 사용합니다.
봉돌이 막섞여도 상관없고 찌가 막섞여도 상관없습니다.
그냥 섞어있는 꿰미추하나 찌하나 골라서 채비달면 부력 딱맞습니다.
평균오차는 +- 반목정도입니다.
저는 분할이나 예민성보다가는
찌다리에 편납감아서 모든찌와 봉돌 동일하게 맞춰놓으니
대물,바닥,예민한바닥,옥내림 모두 찌하나 봉돌하나로 모두 할수 있어서 편합니다.
추천 0

2등! IP : e5f91732713227f
저도 장찌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거운 장찌의 부력을 줄이는 목적이 있습니다.
추천 0

3등! IP : cb663c23f6b2452
고부력찌에 부력죽일때 사용하는 방법이구요.
따라서 찌올림은 묵직하게 표현됩니다.
추천 0

IP : 2a22581a03e5911
이창수ᆢ 올래채비가 반관통찌다리에편납을감아주는기법인데 원래는6ᆢ7호정도부력을가진찐데 그리에편납을감아줌으로써 그만큼 봉돌의무게를 감소시켜주죠 4호정도의봉돌로 전갠적으로 좀더감아서 3초봉돌도쓴답니다 예민한시기 활성도떨어진붕어들 노리는기법이라할수있겠습니다 바늘도 벵에돔바늘6ᆢ7호정도를쓰는데 대구리 다잡고남습니다 ㅎ 참ᆢ 어찌보면 그런한방법이 사선입수도 좀덜된다는 느낌이들더군요 참고되셨길ᆢ
추천 0

IP : a4d8be7cdf69cad
찌다리에 편납을 감은것은 침력을 분할한 것입니다
맨 아래 봉돌에 집중되어있는 침력을 나눈것인데요
찌의 부력이 부담스럽지만 부득이하게 써야하는 상황에선
부담스러운 부력과 침력을 어느정도는 해소해줄 수 있습니다
기존의 분납채비와 분납의 비율이나 길이가 다를 뿐
완전히 새로운 방식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찌가 예민한지 붕어가 예민한지 뭉뜽그려서 설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분할은 찌가 예민해진다기보다는 예민한 붕어에게
사용하기 좋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심이 좋을듯 합니다
예민함 즉 봉돌의 움직임에 즉각적으로 가감없이 반응하는것은
분할보다는 단일봉돌이 조금이라도 더 빠릅니다
추천 2

IP : f2cbd59ba4bd091
제 생각에는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서 예민해지면 다 그렇게 하겟죠? ㅎㅎ 저는 그거보다 스위벨채비로 해서 찌맞춤을 더 예민하게

합니다. 겨울철에는 내림보다 힘들지만 봄부터는 내림 안부럽게 잡아내고 있읍니다. 튜닝의 종착역은 순정입니다. 원래그대로가

좋은거 같읍니다.
추천 0

IP : e5a70c3c722dd82
맨위 장군님처럼 본인도 여러개의 찌 부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서 쓰고 있습니다.
찌가 훼손되거나 했을 때 아무찌나 끼우면 되니까 엄청 편하고 좋드군요.
찌 올림에 크게 방해 되는 거 못 느끼고 입질 하는 대로 챔질하니 되더군요.
하긴 조사님들 마다 취향이 다들 다르니 이것이 옳다고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그냥 내방식 대로 편하니까!
추천 0

IP : 343d733f321a1d7
차라리 저부력을 사용하겠습니다.
원봉돌의 무게를 줄여 보자고 하는것 같은데 아예 저부력을 사용하시면 그런 고민 없을것 같습니다.
추천 0

IP : 5cf36ab37b59969
찌다리에 편납을 감는것은 1차적으로는 찌부력의 침력을 나누려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모든 낚시에서 사용한다기 보다는 주로 장찌를 사용하는 분들이 많이 사용하시는 방법입니다.
주로 전체길이가 1m 이상 되는 장찌 입니다. 70~80cm 수준의 찌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저도 150, 또는 180정도의 찌를 반조립으로 만들어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물론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
사용하구요. 요즘은 장찌 재미가 시들해져서 그냥 구석에 놓여 있습니다^^

이런 장찌는 여러이유로 부력이 많이 나갈 수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의 장찌가 고부력인것은, 저부력으로는
장찌의 톱의 길이등으로 인한 무게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죠. 물론 저부력으로도 어느 정도 까지 감당이 되는
찌의 길이는 있습니다만 장찌 매니아들이 사용하시는 장찌 수준은 아니라는 말씀을 드립니다.
만일 저부력에 억지로 긴 찌톱을 사용하면 밸런스의 균형이 깨져 정상적인 찌의 기능을 갖지 못하게 됩니다.

고부력 장찌를 사용할 경우 찌다리에 편납을 감는건 하나의 방법입니다. 여기에 분할 채비를 함께 사용하기도 하구요.
그냥 고민없이 즐겁게 낚시를 즐기는 것이 가장 좋은 낚시 방법 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떤 분들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 그 즐거움 더 한층 높여 보려고 하기도 합니다. 비록 머리는 좀 더 아프겠지만요^^;
제 경우도 좀 더 고민하고 방법을 찾으면 결과적으로 좀 더 나은 찌올림, 다양한 낚시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
저의 생각 입니다.
요즘 많이 사용하시는 분할채비나 좁쌀봉돌 채비등이 그런 예가 되겠죠. 많은 분들이 즐겨 사용하고 계시니까요.
그런 이유에서 찌 다리에 편납을 감는 것은 누군가의 고민과 생각, 그리고 연구로 부터 이루어진 또 하나의 낚시방법이며
많은 조사님들에게 도움을 주는(특히 장찌를 사용하시는 분들에게)좋은 결과물이라고 생각 됩니다.
요즘낚시, 과학이며 또 하나의 공부라고 하잖아요? 그리고 그걸 즐기시는 분들이 계시고 그런분들 덕분에 새로운 방법을
알게 되는 유익함이 있죠. 고마운 일일 뿐입니다^^
제 경우 고부력 장찌 다리에 편납을 감았을 때 좀 더 찌올림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 합니다. 둔해 지지는 않는것 같네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