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자유게시판] 찌맞춤 방법에 대한 고찰

IP : e3fc196f001c35e 날짜 : 조회 : 16104 본문+댓글추천 : 0

낚시계에 입문한지 5년된 초!보! 낚시꾼입니다. 건방질지 모르겠지만 5년동안 보고 배우고 느낌점에 대해서 간략하게 써보겠습니다. 크게 2가지로 나뉘는것 같더군요.. 현장찌맞춤과 수조찌맞춤에 대한 논란으로 저는 성모 선생님의 동영상 강의를 정말 꼼꼼하게 수십차례 정독하여 낚시에 입문하였고 이후 알면 알수록 어려운 찌맞춤에 여기저기 정보를 찾다가 이모 선생님의 만드신 책자를 구입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결론만 앞서 말씀드리면 수조찌맞춤은 누구나 모두가 쉽고 편하게 접근하고 배울수 있는 이론이라 생각되며, 현장찌맞춤은 이론은 쉽지만 그것을 행함에 있어서는 아무나 쉽게 따라할수 있는게 아니구나 생각되었습니다. 예를 들자면 수조찌맞춤은 0에 맞추고자 할떄 오차율 1%에 근접하게 맞출 확률이 99%라고 하면 현장찌맞춤은 오차율 0.1%까지도 맞출수는 있지만 결과치가 0.1%가 될 확률이 낚시를 오랜세월 즐기신 고수분들이 아니면 매우 낮은 확률일 것이라는 거죠 오히려 오차율 1%에도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는 확률이 높은것 같습니다. 수조찌맞춤 : 물의 온도나 밀도의 변화에 의한 부력 변동은 무시해도 될만한 조건이라 봅니다 (실제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수조에서 하다보니까 원줄의 무게를 고려할 수 없습니다. 원줄이 현장상황 처럼 동일하게 벽에 닿지 않고 늘어뜨릴 수는 없으니까요. (저 같은 경우는 0.01오링을 미리 달아놓고 찌맞춤을 합니다, 제가 할수있는 최선이라 생각되어...) 현장찌맞춤 : 물의 온도나 밀도 변화에 대한 부력 변동을 고려하며, 원줄의 무게가 정확하게 고려됩니다. 현장상황에 대한 변수가 모두 고려된 상태에서 찌맞춤을 하려 좀더 정밀하게 맞출수 있습니다. 여기서 저는 현장찌맞춤의 특징인 현장상황에 대한 모든 변수가 고려된 찌맞춤이라는것에 대한 생각이 그 변수들을 잘 읽어내면 약이되지만 그 변수들을 정확하게 읽어내지 못 한다면 그 장점이 바로 독이 될수 있다 생각합니다. 실제 저는 현장찌맞춤을 사용하던 동안은 헛챔질이 발생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이 있었습니다 (20번 중에 2번 챔질 될 정도로..) 하지만 수조찌맞춤으로 바꾼이후 헛챔질이 발생빈도가 거의 없어졌습니다 (20번중에 1~2번 헛챔짐..) 정말 과장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진실입니다. 이 결과가 현장찌맞춤이 잘못 된 방법이다라고 말하고 있는건 아니며 저 또한 그 방법이 절대 잘 못 되었다 생각하지 않습니다. 단지 제가 수십번 강의를 듣고도 제대로 흉내내지 못한 어려운 방법이라는 거죠 현장찌맞춤에 익숙하고 오랜 경력을 가지신분들에게는 확실하고 명확한 방법이지만 저 같은 초보에게는 수조찌맞춤이 정답이었던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결론이 현장찌맞춤은 고수용 수조찌맞춤은 하수용이라는 얘기는 또 아니니까 오해들 마시구요 ㅋㅋ 여기까지 저의 생각이었습니다. 결론 : 수조찌맞춤 방법으로도 예민한 찌맞춤을 할수가 있다. 현장찌맞춤 방법은 수조찌맞춤 보다 더 예민한 찌맞춤이 가능할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현장찌맞춤이 수조찌맞춤보다 더 정확하고 예민하게 맞춰질 확률은 높지 않다고 생각된다. (낚시계에는 고수보다 하수들이 많으니까..)

1등! IP : 777a527b7e38cc0
찌맞춤의 답을 찾으신걸 축하드립니다.
현장찌맞춤이 더정확할수도 있지만 실행하는과정이나 시간적낭비 기타등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큰오류를 범할수있는 맹점이
도사리고있는데 유명 낚시인이 현장맞춤을 주장하니 일반낚시인들은 따라할수밖에없겠지요.
수조맞춤이냐 현장맞춤이냐로 그전에도 이곳월척에서도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걸로 알고있습니다.
님처럼 현장맞춤이 어떠한맹점이 있는지 알게된다면 굳이 현장맞춤하려하는분이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수조맞춤으로 즐거운 낚시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2등! IP : 5c791811d23668f
5년정도 낚시하셨으면 초보는 아니시죠^^
근데 제 기준으로보면 솔찍히 현장 찌맞춤이 정확한듯 싶네요..
위에 언급하신대로 현장 필드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 현장찌맞춤이 더 효율적일듯 합니다..
또한 헛챔질비율로 찌맞춤의 정의를 내리는것 또한 다소 무리가 있을듯합니다...수조에서의 찌맞춤 동절기가 아니라면 현장투척시 90%이상 무거워집니다
그만큼 안정적인 찌맞춤이 되겠지요
찌맞춤이 둔하건 예민하건 그건 붕어의 활성도에 따라
더 크게 작용한다고 생각하는1인입니다...어항속
한마리 붕어가 두번입질한다고 가정했을때 입질패턴이 틀리다면 과연 찌맞춤의 문제일까요?
수조찌맞춤은 90%이상 현장가면 무거운 찌맞춤이됩니다...그만큼 안정적인 입질을 받으셨을테구요...
추천 0

3등! IP : d2ff892cec7fde0
수조찌맞춤후 현장에서 테스트를 하면 보통 무거운 찌맞춤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님께서 헛챔질이 줄어든이유도 이와 같다고 볼수 있을듯합니다.

헛챔질은 보통 예민한 채비에서 발생하는 빈도수가 높아지는것을 경험으로 알고 있습니다.

반대로 님께서는 현장찌맞춤보다는 무거운 찌맞춤이 되어 헛챔질 빈도가 줄어든것으로 생각되네요.

아주 예민한 찌맞춤은 특정시기 특정장소가 아니면 오히려 피곤한 낚시가 될수 있습니다.

영점찌맞춤 정도면 무난하게 낚시하는데 문제가 없을듯합니다.
추천 0

IP : 5c791811d23668f
부들과땟장사이님도 저와 같은생각을 하고 계시네요...
아~~그리고 비상식량님은 초고수셔요^^
90%훅킹성공률...부럽습니다요...ㅡㅡ
추천 0

IP : 6fb14ec0201f77d
찌맞춤...쉬우면서도 힘든것 같아요
주로 현장 맞춤을 하는데 전 대부분 예민하게 하는것 같아요 이쁜 찌올림을 보기 위해서 인데 실패 확률도 높은것 같더라구요
고수님들 조언대로 조금 무겁게 해봐야겠네요 ^^
추천 0

IP : 7db04905d229f33
윗분중 대낚초짜님과 부들과땟장사이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수조찌맞춤후 현장찌맞춤은 거의 100% 무겁게 찌맞춤으로 변하는건 경험해 본 사람이라면 다 아실겁니다.
가장 중요한건 입질 활성도가 좋고 나쁨의 차이와 고기를 많이 잡느냐 적게 잡느냐의 관건이 가장 문제라면 문제입니다.
전자라면 찌가 무겁건 가볍건 아무 상관이 없음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라 말씀드릴 필요가 없고
후자쪽이 문젠데...
그건 고기에 욕심이 많은 사람,누구는 잡는데 나는 왜? 못잡나 한탄하여 자학하는 사람, 그리고 내기에 강한 집착을 하는 사람...
이런 분들이라면 꼭 알아 두시면 좋을 듯 하여 말씀을 드립니다.
반드시 수조찌맞춤 보다는 현장찌맞춤으로 결론을 내린다. 그리고 이단입수를 정확하게 구사할 줄 알아야 한다. 입니다.
답이 되셨는지요?
명심하세요. 낚시를 죽을때?까지 하실거면 현장찌맞춤으로 꼭 숙달시키시고 이단입수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줄 아는 낚시인이 되시길 기원합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것! 내가 버린 쓰레기는 꼭! 내가 치운다. 잊지마세요...^^
늘 즐낚하시길 기원합니다...ㅎㅎ 설마! 이단입수를 모르시진 않겠지요?...ㅋㅋ
추천 0

IP : 9dfc341431e85ba
안녕하세요.

떡밥낚시 즐겨하는 서울꾼입니다

저도 성제현씨 동영상도 많이보고 이정호씨 동영상도

많이보고 찌맞춤 나름 지금은 안정적 낚시을 즐기는

꾼입니다. 저도 수조에서 한목 노출 휴지로 찌물기다제거

하고 한목노출 찌맞춤합니다

제가 질문 몆가지드릴게요 수조통에 얼음넣고 17도유지

미지근한물로 32도유지 찌가 똑같은 맞춤했을때

차이가 생길까요? 말은물. 흙탕물 수조에 넣어서

똑같은 찌맞춤으로 측정하면 찌맞춤에 차이가날까요?

거의 없습니다 있다고생각하시면 언제라도 전화주세요

현장찌맞춤이 정밀하다 물어보고 싶습니다 수조에서

찌맞춤 해보신건지 노지에서 요즘 케미 하단

맞춤하인다는데 그게 정확한가요 두개 시험삼아 맞추고

수조통에 넣어보세요 두개가똑같나요?

현장 케미하단 찌맞춤은 낚시오래 하신분들이 아니면

위험한맞춤입니다

바닦낚시에 가장기본은 봉돌 바닦안착입니다

근데 제일기본인 바닦안착하는것에 신경을안쓰시는지요?

참궁금합니다
추천 0

IP : 9e214b6f469009d
전 크게 생각 안합니다...
일단 현장과 수조에는 차이가 있다라는게 생각이구요...
현장에서 투척하고 채비를 안착 시킬때 2단입수를 하는경우가 영점에 가장 근접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2단입수 조건을 만들기 위해선 섬세한 조절이 필요하고 대충 대충 되는건 아닌거 같습니다...
제 생각엔 수조 맞춤이 섬세한 조절을 하기엔 더 좋은 조건이라는 생각입니다...
그러나 결국 현장과는 다른 환경이기 때문에 확인및 추가조절이 필요할수도 있다고 생각듭니다..
전 현장맞춤합니다...^^
추천 0

IP : 006ecbccdfdd8d7
지는 현장맞춤이 더 정밀하다고 생각하는 일인입니다.
생미키에는 바늘달고 야간케미끼우고 케미끋에 마추고
옥시시나 떡밥(글루텐)미끼 사용시에는 케미 하단에 맞추고 합니다.
단 수심맞출때 봉돌 하나 달고 수심 맞추고 낚시 합니다.
원줄이 카본줄이여서 투척후 처음에는 2~3마디 올라와 있다가
시간이 지나면 케미만 남는 수심 맞춤을 합니다.
너무 예민한가요!!!!!
추천 0

IP : 530d59c91f0078b
현장찌맞춤이 수조 맞춤보다 정확할수는없구요

수조에서 찌맞춤후 현장에서 체크해보세요

거의차이없습니다 수조에서 찌맞춤도 표면장력 때문에

케미 전부노출시키는건 정말 가벼운 찌맞춤입니다

그런데노지에서 바람불고 찌에 물기 다뭍은상태에서

정밀한 케미하단 맞춤이가능할까요?

현장에서 그런찌맞춤하시고 수조통에넣어보세요 최소

3.4마디는 올라옴니다 이건 현장이랑 수조랑 차이가있는게

아니고 현장에서 가벼운 찌맞춤했다는것입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현장찌맞춤 체크하지말라는 소리는

아니구요 분납채비시 현장에서 케미하단 맞춤은

봉돌바닦안착이 힘들수있습니다

그리고 케미 하단 맞춤시 꼭 찌는 한목반 이상은 노출후

낚시하여야합니다 어떤게 맞다틀리다는 아니지만

바닦낚시 기본은 봉돌바닦안착입니다

기본은 꼭생각하면서 찌맞춤후 즐거운낚시 즐기세요

수고하세요
추천 0

IP : 81fc5757c88a75d
원줄을 모노사를 쓰느냐 카본사를 쓰느냐에 따라달라지겠지요.
수조맞춤의 경우는 모노사로 사용할경우를 말씀드리는것입니다.
모노사를 사용하면 수조에서 정밀하게 맞춤하여 현장어디서나 바로낚시를 할수있지만 카본사일경우는 뒷줄의 무게로인하여 매번 찌맞춤을 다시해야하는불편함이 있습니다.
그리고 현장맞춤을 정밀하게 맞추기도 힘들뿐더러 정확하게 맞춘다해도 시간이 많이소요될것입니다.
낚시하기도바쁜데~ ?
과연 수온,밀도등의 문제로 현장과 수조가틀리지만 아주미미한차이로 낚시의 찌맞춤에서는 영향을 주지않습니다.
한마디로 수조와 현장과의 차이를 무시해도 상관없습니다.
추천 0

IP : 3ffe2dd96dd13e5
1년된 초보가 여기 있습니다.5년되셨으면서 초보시라고 하시면 안되지요 ㅎㅎ노력도 많이 하셨을텐데요.
현장찌맞춤과 수조찌맞춤을 해보시면서 수조찌맞츰을 통하여 답을 찾으셨다니 다행입니다.통을 완전큰거 쓰시는지요?
저는 작은걸 써서 그런지 애벌로 표준찌맞춤 하고 현장가서 해보면 카본줄3호라 꼬르륵 가라앉아버림니다.
현장에서 대충 캐미보일랑말랑한걸 수조통에 넣으면 찌탑부분이 다 올라옴니다.차이가 나는 부분만큼의 무게를 짚어내면
비상식량님처럼 오링 0.01? 그람인가여? 100/1그람이면 미세한 차이인대 캐미가 0.3정도 되는거 같은대 ㅎㅎ
어쨋던 오링 달고 수조에서 정확하게 맞출수 있겠지요.저는 게을러서 투박하게 하는관계로 해당사항 없는것 같습니다.ㅎㅎ
좀더 경험을 쌓고 낚시를 즐겨봐야겠지요
추천 0

IP : 530d59c91f0078b
예은아빠님 집에서 휴지로 찌톱까지 다닦구요 케미 한마디

노출까지깍으시면 되요 줄잡고 살살내려서 한목노출

그럼 찌을누르면 물뭍어서 케미 하단 맞춤이되지요

현장에 던져보면 케미 반노출또는 케미하단맞춤입니다

꼭해보세요
추천 0

IP : e9bcfa41241c8c9
현장이든 수조든 찌맞춤을 했다고 끝난건 아닙니다.상황에 따라서 쇠링도 가감하고 하루낚시하면 몇번을 찌조절을 하는지...딱 한번 찌맞춤으로 그날 하루를 쭉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현장 맞춤에 수평으로 하세요.
추천 0

IP : ea6c65df1657623
가을과 전설님 말대로 케미하단현장 찌맞춤은
큰 오류를 범할수 있슴다.
수조에서 천천히 찌를내려 보내서 맞추질
못하기 때문에 찌의 중력가속도 봉돌이 내려가려는
관성 때문이라도 케미 한마디 노출은 맞춘찌마다
맞춤이 각기 다를수 있으며 잘못 가벼운 찌맞춤이
될 가능성이 있슴다.(말이 너무길어질거같아 패스)
추천 0

IP : 6e8d045df0d6330
수조맞춤과 현장맞춤은 같을수가없습니다.
카본줄일경우더더욱 달라지죠. 수조에선 카본줄이 가라앉는길이에 제한을받는데반면 현장에선 원줄모두 가라앉는다는건아실겁니다.
수조에선 카본줄특성인 가라앉아당김현상이없기에 그저 카본줄의 무게만이 찌맞춤에영향을주지만 현장에선 가라앉아당겨지는것때문에 원줄길이전체에대한 찌맞춤값이다릅니다.
수조에서 아무리정밀하게잘맞췄다하더라도
현장에서던져보면 수조맞춤보다무겁게될수밖에없습니다. 아무리수조에서현장과비슷하게 탁도나수온을맞춘다해도 같을수가없습니다.
혹 수조통이 목욕탕처럼커서 원줄이전부가라앉을수있는크기의수조라면 현장맞춤과가장비슷하게맞출수있겠네요
추천 0

IP : f609956ce8eb765
물론 현장이랑 수조랑 똑같다는 이야기는 아니구요....

탁도. 수온등등 말씀하시는데..변화전혀없구요...

카본줄...3호줄까지는 거의 변화없습니다...수조에서 찌맞춤하실때..휴지로 찌 물기제거후 케미하단 한목..노출정도 맞추시고...

손까락으로 살짝 눌려보세요 표면장력때문에..케미 하단 맞춤이됩니다

현장에서..수심체크후 찌 투척해보세요..케미 반노출 또는 케미하단맞춤입니다...

직접해보세요...해보시고 만약 틀리다면 얼마든지 ..테클 환영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현장...케미하단 찌맞춤은 봉돌 바닦안착이 안되는경우도 많다는걸..말씀드리고싶은거에요.

그리고..현장 케미하단 찌맞춤이라면...꼭...찌 한마디 반이상은 노출후 사용하셔야 안정적인 바닦안착입니다..
추천 0

IP : e9671a51a6b2614
저도 수조에서 찌맞춤하고 현장 맞춤은 하지 않습니다 케미를 기준으로 완전노출, 1/2노출, 1/3노출 등등 정확히 맞추기 힘들게 생각합니다..
아시다시피 노지에서 바람, 대류, 원줄무게, 물결, 표면장력 등등 고려해야할 부분들이 많아 케미보고 맞추는 것이 정확 할리 없다고 봅니다..
그래서 터특한게 입질형태나 챔질시 걸림(헛챔질)을 보고 편납이나, 쇠링을 가감하면서 최적의 찌맞춤을 나름대로 맞춰봅니다..
추천 0

IP : 9136894210fb3f6
유속,수온,바람,대류,수심 등등 여러가지 변수가 많으므로 반드시 현장찌맞춤을 하여야하며
수조 찌맞춤은 현장 찌맞춤을 빠른 시간에 할 수 있게끔 하는 예비동작 정도라고 봅니다
추천 0

IP : 62d62c20af8e853
가을의 전설님 완전 저랑 같은 생각이시네요....
수조에서 한목마춤하여 찌탑에 물방을 한방울만 떨어트려 보시면 모든분들이 아실텐데.....왜 현장찌마춤이 가볍기만 한지를....
물한방울에 찌탑 한두마디가 왔다갔다 하는데 현장에서 정밀한 찌마춤이 될런지요....
추천 0

IP : 5c791811d23668f
가을과전설님 짐 짬낚하고 왔습니다...
시키신대로 수조에 찌담구니 몸통을 찍네요...
현장이든 수조든 정밀한 찌맞춤을 떠나 주워진 필드에 맞게 채비 운용하는게 현명한 낚시꾼일듯 하네요..
둥둥 떠있는 찌로 12대펴고 낚시할순 없잖아요ㅡㅡ.
추천 0

IP : 49fade079b32c9a
솔직히 관리터나 양어장 아닌이상에야 찌맞춤보다는 포인트가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하기때문에 찌 맞춤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추천 0

IP : 461b43cb07eec47
어렵개 하십니다
그냥 대강 맞춰서 던지면 고기맘입니다
어휴 골아퍼
추천 0

IP : 85a1c9841f51366
저도 무겁게쓰는것같은데...
게을러서인지 수조에서 마추고 그냥 현장가서사용합니다.
그래도 붕어가 올려주더라구요;;
양어장 관리터안가고 오로지 노지만다니는데..
그냥저냥무겁게써도 붕어맴인것같아요~
추천 0

IP : 9be9b1ce24607e2
전부 수조맞춤합니다. 직장인 주말낚시하는데 낚시가면 얼른 던져야됩니다 ㅋㅋ

낚시대중에서 네대정도는 완전 관리터용으로 모노줄 1.5정도 맞춰놓고,
나머지 낚시대들은 노지용으로 카본줄 2.5~3호로 맞춥니다. 노지용은 줄때문에 좀 무거워도 상관없습니다.

상황에 맞게 얼른 셋팅하고 고기잡아야됩니다.
추천 0

IP : 8714e26649d47dc
찌맞춤 참 말도 많고 고민도 많이되는 부분이죠!
너무 빠져들면 낚시를 고민만 하다 오게 됩니다.
따라하는 따라 쟁이 보다 기본은 배우되 자신의 믿음을
가지는 낚시 법이 필요 합니다.
찌맞춤.미끼의 선택.떡밥의 배합.포인트를 보는 시각
또 기타 운용 같은...
추천 0

IP : c8693e7d78137ef
찌맞춤 별루 중요하지 않습니다. 바늘에 미끼가 붙어있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나오는 시기에는 미끼만 붙어있으면 무거워도 잡히고 가벼워도 잡힙니다. 너무신경안쓰셔도 될듯하네요 어느못이 시기이고 어느 포인트가 나올자리인지를 파는게 고수의 지름길입니다. 찌맞춤에 빠져들면 자꾸 하수가됩니다. 고기는 못잡고 이론만 늘어나고 채비바꾸다 세월다가고 늙어서 힘빠지고 낚시 접더라구요
추천 0

IP : 1e082c88f12ac53
현장이 정확하다....수조찌맞춤이 정확하다....

그냥 편하신대로 하시면됩니다....찌맞춤때문에 스트레스받지마시구요....즐길려고 하는 낚시인데....

자신이 편하신대로....하시던 방식으로....그게 가장 좋은겁니다...

그냥 단지...조금더 아시고 싶으시다면 수조찌맞춤 권해드립니다...

그건 이제껏 알던 낚시가 달라져보이는 새로운 경험이 될것입니다.

수조찌맞춤4년차이고 요령이 생겨 모노3줄까지 수조찌맞춤(수조폭이 50cm 높이가 90cm)하는 찌톱에 뭍은 물기닦는다고 두루마리 화장지

소비량이 점점늘어나고 있는 대구 촌놈입니다..ㅎㅎ

주변에 친구며 지인이며....현장찌맞춤이 더 정확하다고 얘기했던 사람들 대략 50명내외 수조찌맞춤으로 바뀌게한 사람입니다...

새로운 경험을 해보시고싶으시다면 플라스틱드럼통(고물상에가시면 대략 5천원이면 구하십니다)부터 하나 구매해보십시요.

지금까지 알던 낚시가 새롭게 느껴질것입니다...

현장찌맞춤8년하고 수조찌맞춤으로 넘어갔습니다....현장의 느낌도 알고있습니다. 느낌아니깐~ 새로운 세상을 살짝 권해봅니다.
추천 0

IP : 9c89a87866ba86e
전 낚시 6개월 ㅎㅎ 댓글단님들중제가 제일초보맞죠?
초보의눈으로봤을때 원문과 댓글단 조사님들의내용이 솔직히 답은없어보이네요 ㅎ 자기가하기편한 아님해왔던 방식을 고집하시는듯하네요 전친구에게 수조통찌맞춤 배우고 옥내림하는데요 2톱노출후 현장가서3톱 내놓고 하는 그방식 솔직히 현장가서수심마추는데반나절이라 대많이깔면 반은3톱 점점집중력상실
지쳐가면 4톱 5톱....
어떤건 캐미 바로아래 ㅎㅎ 그래도 고기잘잡히던데...
아직 초보라 미끼달고 같은자리넣는것도안되지만
찌맞춤 잘해보려고 무진장애도써보고 공부도마니해봤는데 ㅎ ㅎ 크게차이를 내공부족으로 못느끼겠더라구요 헤헤^^ 조력있으신분들도 편이갈리는걸보니
전결론내렸어요 전 집에서다수조맞춤하고 현장가서
대피는데반나절 수심체크반나절을 하는저로서는 현장 찌맞춤할줄도모르지만 시간이부족해 걍 3톱나오면ㅎㅎ끝
추천 0

IP : 92ba89ad46d67b7
수온 농도 찌의온도 카본원줄 길이 케미의 무게변화 케미고무에 있을수 있는 공기방울

이많은 변수들 때문에 현장찌맞춤이 맞다고 봅니다 케미봉돌만 달고 케미고무 완전노출후
한목 내놓고 낚시합니다

문제는? 이단입수 시간이 3초정도 걸리는데
이렇게 현장에서 맞춘찌를 한목내놓고 시작을 하는데 2~3분이 지나면 반목정도가 슬쩍다시 내려갑니다 저는 섯던봉돌이 눕는거라 생각됩니다 딱그만큼의 차이라서요 맞나요?
추천 0

IP : de358a3e6ae0394
전 수조 정밀 한마디 찌맞춤 합니다..물의 수온 탁도 밀도 수심 이 다르기 때문에 현장 찌맞춤을 한다 는데..그럼 아침.한낮.저녁.분명 물이 온도가 틀릴텐데.그럼 한낮에 찌맞춤하고 저녁에 다시 찌맞추고 아침에 다시 찌 맞춤니까? 위에 분은 바늘도 달고 현장 찌맞춤을 한다는데 그럼 바늘 크기 바꿀때 또 찌맞춤을 다시 해야 겠군요 그리고 낚시터 다른곳 가면 또 찌맞춤을 해야 겠군요..수조 한마디 찌맞춤 해서 현장에서 투척하면 분명 캐미 만 다 노출대는 찌 맞춤이 됩니다..왜그럴까요? 그건 원줄에 무게 찌에 가속도.찌에 묻어 있는 물방울 무게.등등 수조 에서는 제어 가 되지만 현장에서는 인위적으로 할수 없어서 입니다..대충 눈대중 찌맞춤 이라는 것이지요...수조 찌맞춤도 가벼운데 현장 한마디는 바늘만 닿고 봉돌은 떠있는 영점 낚시가 되는겁니다..그래서 헛챔이 많이 나오고 피곤한 낚시가 되는겁니다..물론 현장 찌맞춤도 틀린건 아닙니다..유용하게 쓸 시기도 있습니다..저수온기나 붕어에 입질이 미약할때.등등.하지만 수조 정밀 한마디 찌맞춤은 봉돌이 가장 안정적으로 바닥에 닿는 가벼운 찌맞춤 입니다...굳이 현장 한마디 찌맞춤을 하고 싶으시면 현장에서 아까운 시간 허비 하지 마시고.. 현장에서 캐미 하단에 맞춤 찌를 수조 에 놓보면 거의 다섯.여섯마디 정도 떠오릅니다...이상태에서 오링 한두개을 추가해서 한마디 맞춤해 놓고서 현장에서 오링제거하면 현장 한마디 마춤 되는거고 오링 제거 않하고 그냥하면 수조 정밀 찌맞춤 되느겁니다..아..카본줄로 하면 않됩니다. 꼭 모노 줄 쓰셔야 됩니다..
추천 0

IP : 64d1818076e63dd
대단하십니다~~~이래도저래도 자기만의방법으로 밀고나가는게 젤로맘편하고 헛챔질느껴질땐 바로무거운채비로~~~
추천 0

IP : 051c03cfc8956fe
카본2.5줄 2미터 무게가 저의 찌에는 찌톱 두마디 차이로 표현되던데요 봉돌한번 긁으면 찌톱 반마디 올라옵니다 원줄에따른 변화가 귀찮아 모노줄 사용도해봤지만 단점이 많아포기

떡밥보다 생미끼를 사용시 민감한 채비가 좋을듯합니다 왜냐면 떡밥의 경우 살짝만 건드려도 바늘이 이탈되지만 생미끼의 경우 유리할것 같네요
추천 0

IP : e9ebc4e95ea15e6
수조맞춤이정확하다시는분들께한가지질문드립니다. 수조에서 맞춘후 현장에서던졌을때 가볍거나 무거울경우 낚시접고집에가셔서 수조에서다시찌맞춤후 다시낚시하러가십니까? 아니면
수조통을 낚시할때옆에다두고 찌맞춤하십니까.
수조에서맞춘후 현장에서 좀더정밀하게맞추는것이기본일텐데 그것또한 현장찌맞춤중의 일부입니다. 뭐가맞다틀리네 문제가아니라 찌맞춤법의 기본이라생각됩니다. 수조에서70~80%맞추시고 나머진현장에서 직접 맞추는게 정밀하게맞춰질듯합니다. 수조맞춤이정확하다 현장맞춤이정확하다라는 논쟁보단 수조에서맞추고현장에서 다시한번 맞춘다라고생각하시면 쉬울듯합니다.^^
추천 0

IP : 5b41720143a5b42
현장에서 하든 수조에서 하든 자기가 좋은 찌맞춤을 하시면 됩니다.


저는 수조통이 없습니다.(전에는 수조맞춤으로)


채비는 무조건 현장 맞춤으로 일괄 세팅하죠. 바람도 쐬고 ㅎㅎ
추천 0

IP : 8714e26649d47dc
수조찌맞춤도 좋고
현장찌맞춤도 좋습니다.
누가더 정확한지는 모릅니다.
아주 퍼펙트 하게 맞추어서 뭘 어쩝니까?
고기가 안 물면 다 쓰잘때기 없는 짓입니다.
자기 맞춤에 믿음을 갖고 낚시 하십시다.
못잡아도 즐겁게 스트레스 받으면서 낚시하면 더이상 낚시가 이닌
노동 입니다.
추천 0

IP : e2e11773fe0eed4
수조에서 영점 찌맞춤하고 현장에서 확인하면 대부분 무거운 찌맞춤으로 나타납니다.
당연히 헛챔질 줄어듭니다. 하지만 겨울철 활성도 최악일땐 입집 한번 못 받을 확률 큽니다.
이럴땐 현장에서 예민하게 찌맞춤하신 조사님들의 조과가 더 좋을 확률이 높습니다.

현장에서 예민하게 찌맞춤 하였다면 채비정렬과 떡밥운용에 훨신 더 신경써야 합니다.
집어제도 평소보다 적게 쓰고, 확산속도도 빠르게 하지 말아야 하며 가벼운 집어제도 피하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또한 집어군을 너무 넓게도 너무 높게도 만들지 말아야 헛챔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민하게 찌맞춤하고 떡밥을 너무 무겁게 또는 너무 가볍게 쓰신다거나 귀찮다고 채비정렬에 소홀했다거나 캐스팅을
정확하게 하지않아 이곳저곳 집어제를 많이 투여했다면 헛챔질 엄청 하게 됩니다.

겨울철.. 채비도 더 예민하고 바늘도 작게 쓰고 어신파악하기도 힘들지만 헛챔질이 여름철보다 적었던 경험은 없으신지요.

예민한 찌맞춤은 어신을 보다 정확하게 읽기 위함인데 떡밥운용이나 집어에 신경을 안쓰고 평소대로 하다보면 득보다 실이
더 많아져 엄청 피곤한 낚시가 됩니다.

현장에서 찌맞춤을 영점에 가깝게 예민하게 했다면 전 내 손에 기관총이 아니라 스나이퍼건이 있다고 생각하고 여러가지로
신경을 많이 씁니다. 피곤하지만 나름 재미는 있죠.

결론은 활성도 좋을때는 수조찌맞춤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이고 활성도가 극악일때는 현장찌맞춤이 더 효과적일 확률이 높을 수
있어서 병행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추천 0

IP : 7db04905d229f33
천안엔대물엄슴,한큐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 하고요...ㅎㅎ
가을과전설님은... 물론 그럴수도 있습니다만, 십중팔구는 현장찌맞춤을 잘 해야 그곳에서의 조과가 다른사람들 보다 더 낫습니다. 이거 인정하지 않으시면 대화를 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물의탁도나 온도(수온),물의 깊이... 여러가지 등에 의해서 찌맞춤은 달라지는게 기본입니다. 물론 예외는 있습니다. 그건 찌맞춤이 무거울 경우에는 상관이 없고 고기 활성도가 좋아 아무거나 잘 먹을때는 정말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무거울 경우라도 어떻게 무겁냐에 따라 다른게 찌맞춤입니다.
우리가 찌맞춤에 대해 이리 논하는것은 누가 옳고 틀리고가 아니라 또는 현장찌맞춤이 맞냐? 수조통찌맞춤이 맞냐?의 문제가 아니고 초보자분들에게 혼선을 주면 안되겠기에 논쟁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모쪼록 나의 의견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의 의견도 중요함을 알아주시고 성제현 사장 동영상을 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분명 그분이 명인1호일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분도 탁도,온도,깊이... 이런것에 따라 찌맞춤을 달리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암튼,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좋은 장이 되었다 싶어 마음은 기쁩니다. 늘 즐낚하세요...^^
추천 0

IP : a1ef732bdfd7589
다들 부지런 하시네요^^
전 주중에 수조통에서 재미보고 주말엔 현장에서 곧바로 수심 간보면서 투척합니다.
사실 수조통에서도 대충 케미 노출 정도로 맞추면 현장에서도 그대로 던데요..?대체 얼마나 저부력 찌들을 사용 하시는지요.^^
추천 0

IP : e73192b70c1e67a
수조찌맞춤에 대한 오해들이 있으셔서 잠시 답글남깁니다.
수조찌맞춤후 현장에서 낚시를 할때 더 가볍거나 더 무겁거나 그런것은 없습니다. 그냥 수조에서 찌맞춤한 그대로 현장에서 나타납니다.
수조찌맞춤후 현장에서 낚시를 하실때 더 가볍거나 더 무거워진다면 그것은 수조찌맞춤이 잘못되었다고 보시는게 맞을겁니다.
잘못되었다는것은 찌에 균열이 갔다거나 수조통이 충분히 넓지 못하다거나 수조통에 채운물이 금방 받은 물이거나 물방울을 제대로 닦지못했다거나 너무굵은원줄(개인적으로 모노3호줄까지 수조찌맞춤합니다)을 사용해서 찌맞춤을 했다거나 카본줄로 찌맞춤을 했거나의 경우일것입니다.
그리고 염도,탁도,밀도,온도 등등등의 경우의 수가 찌맞춤에 미치는 영향은 두루마지화장지 한칸을 1,000등분으로 잘랐을때 그중에 한조각의 무게정도(두루마지 화장지 한칸의 1/1,000무게차이니 차이가 없다는게 아니라 무시해도 될정도로 아주 너무 적은 수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조찌맞춤한 낚시대한대로 이곳저곳 낚시터 여러곳 옮겨다니면서 낚시하면서 찌맞춤을 새롭게 한적은 단 한번도 없습니다.
무거운 찌맞춤이 좋다 가볍고 예민한 찌맞춤이 좋다....뭐 정답은 없지만 기본은 봉돌이 바닥에 -가 아닌 +로 0에 가장가깝게 근접하는것이라 생각이 되네요....
그 기준을 알고 있어야 뭘 더해도 더하고 빼도 뺄수가 있다는 생각이 들어 답글 남깁니다.
윗쪽에서 얘기했듯이 현장찌맞춤 8년하였고 현장의 느낌 잘알고 있습니다.^^
추천 0

IP : 92050cd23143119
저는 현장찌맞춤 하다가 우연히 수조통이 생겨서 찌맞춤을해본결과 거진 맞읍니다
수조에서 케미완전노출로 해놓고 현장가서 다시해보면 32대 이하는 전부 노출 32대 2/1 36대 3/1정도
그이상은 수면일치로 되더라구요 무슨공식이 있는것같기도 합니다
동영상에는 수조찌맞춤은99%이고 나머지1%가 현장찌맞춤이라고 했읍니다
그러나 그1%가 그날에 조과를 결정짓는다고합니다^^
그냥 제생각입니다 개개인이 틀리듯이 개인만에 채비법도 틀리겟죠
전는 수조하고나서 현장가서 합니다 처음에는 귀찾았는데 이젠 그러려니 합니다~
추천 0

IP : 149bda87dd00fe9
민감한 찌맞춤은 헛챔질이 많아지는거 같아 피곤한 낚시가 되서 전 쫌... 걍 수조에 맞춘거가지고 현장찌맞춤 따로없이 하니까 헛챔질은 확실히 준거 같아요..
기분탓인가? ㅋ
이상초보조사였습니다^^
추천 0

IP : 804327224756672
항상 현장수심 확인하고 현장점검 해주는것이 옳다고봅니다, 수심에따른 줄의 비중, 탁도나 온도 에 따라서 변화가 있다고봅니다,
추천 0

IP : 41514dbbaad2af1
제가봤을땐 현장찌맞춤 수조찌맞춤
솔찍히 저도 물의온도나탁도 머이런거는찌부력에
그렇게큰변화는 안주는거같습니다 하지만
카본줄일경우 확실히 줄의무게때문에 수조찌맞춤은
현장에서는 카본줄에의해 무거워집니다
자~제가봤을땐 수조찌맞춤.현장찌맞춤
차이는 수조찌맞춤은 줄의무게는고려하지않은 찌마 춤인거같고 현장찌맞춤은 줄의무게까지부력으로생각한 찌맞춤인거같습니다 하지만 머가진정좋은찌맞춤인지는 저도초보라 알수없습니다ㅎㅎ저도그래서고민이 많습니다ㅎ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