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찌맞춤 을 하는데요..
수심찍고10cm 나오게 한다음 40cm~50cm 내리고 케미꽂이가 보일랑 말랑 까지깍거든요 그래서 서서히 내려갈때까지 어느정도 가볍게 까지..
맞추고 다시 수심칸 올리고 바늘 달고 찌 맞추고 낚시하는데 봉돌깍을때는 서서히 내려가더니.. 바늘달고 미끼 투하 하고는 찌가 무겁게 내려 가거든요 왜그런거죠 분명 봉돌깍을때는 서서히 내려갔는데..?
그리고 던지고나면 찌가 스잔아요 어느정도 바늘이 자리잡고 찌가 몸통부터 서서히 내려가야 대는데 찌몸통 서자마자 바로 내려가네요 월래 자리잡아야 대는거 아닌가요 답변^^ 부탁해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바늘과 떡밥무게가 별것아닌것 같아도 부력에는 분명 차이가 납니다
실전 바닥 떡밥낚시시 바늘달고 실포인트 투척 부력잡으면 될것같네요
메인글의 부력은 봉돌 더깍으면 원하는 부력이 될것같습니다
ㅡ케미꽃이 바로 아래와 1목사이로 부력을 잡고
낚시 할때는 2목 노출로 추천합니다..
ㅡ아니면 1목정도로 부력을 잡고
젤작은 좁쌀(3호 또는 이하크기)
하나를 물려주시고(딸깍맞춤)
1목노출로 낚시를 권합니다..
물론, 바늘없이 찌맞춤..
찌 부력이나 몸통의 모양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저부력찌에 몸통이 가는 편일때는 거의 떡밥을 못잡아 줍니다. 비중있는(무거운) 떡밥을 쓸 경우 찌가 따라들어 갔다 나오는 경우도
있고요.
3그람 이상의 부력에 방울처럼 몸통이 통통한 놈이 떡밥을 잘 잡아 줍니다.
이단 입수도 더 쉽게 할 수있습니다.
떡밥비중 거의 없는 중층계 미끼가 아닌 일반 떡밥의 무게는 상당합니다.
바늘 없이 맞춤 하시는게 좋은 방법 맞고요.. 아무 문제없이 하고 계십니다.
현장맞춤에 목맞춤 하시는것은 바닥낚시가 아닙니다... 띄울낚시,내림낚시 하실때나 목맞춤 하시면 됩니다.
현장찌맞춤에 목맞춤이라니 찌맞춤 하다가 날밤 샐일 있나요.
하시는 정도면 가벼운 맞춤입니다...충분히 예민하니 걱정 마시기를...
성제현氏의 찌맞춤도 수조에서나 목맞춤 하지 현장 가서 목맞춤 하지 않습니다.
찌맞춤에 찌의 모양은 상관도 없고 이단입수니 그딴거 의도적으로 만들 필요도 없습니다.
다만 떡밥무게에 의한 투척오차가 걱정 되신다면 찌를 부력이 조금 더 큰것으로 선택 하시는 것은 방법입니다.
투척시 풀스윙(최대한 멀리 투척)이 좋은것은 아닙니다.
찌가 설 곳 보다 아주 약간씩만 더 던져주면 되는 것이지요...고수들은 다 그렇게 합니다.
그래야 집어효과 최대로 보실수 있거든요... 그러면 떡밥무게 크게 신경 안써도 되겠죠...
떡밥무게 바늘무게 수심땜시 그런거 같아여...
그래도 고기 잘 나오니 걱정마시길 바랍니다.
---노지 원봉돌 채비 ---
1)봉돌에서 찌길이 만큼 올려 찌의 영점을 잡습니다.(물론 수심은 찌길이 보다 깊어야 합니다.)
2)수심이 깊다면 수면에 케미가 보일랑 말랑 맞추고 한 3m이내다 싶으면 수면에 케미가 나오게 맞춤니다.
3)바늘 달지 마시고 두마디에 마춤니다. 그리고 다시 찌를 20cm 정도 내려 영점을 다시 확인합니다.
4)바늘을 달고 두마디에 마추고 두척시 2단입수가 되는가를 확인합니다.(3m이상 수심에서는 3마디에 마추세요 ^^)
5)낚시는 두마디 또는 세마디에서 하심됨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했는데 빨리거나 훗킹이 잘도지 안을 때는 찌를 조금씩 내리거나 올려 봅니다.
떡밥봉지에 보시면 비중 표시가 있는게 있습니다.
물론 비중 높은게 빨리 입수되겠지만 크다고 빨리입수되는 것만은 아님니다.
오히려 밥을 크게 달면 내려갈때 저항이 생겨 천천히 내려 갑니다.
즐낚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