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지인따라유로터에서 손맛을 만끽한후 낚시의 재미를 알게된 일인임니다
촌동내에 살아서 점빵에 파는 조립낚시만 해본지라 유로터에대해 몰랐죠 ㅋ
지인으로부터 찌맞춤을 배웟습니다
본론.
원봉돌채비에 바늘 빼고 던지면 가라 앉습니다 추를 열심히 깍아서 1목나올때까지(케미노출) 계속 ~~~~깍겠죠 .
보통 캐미 노출 되면 찌맞춤끝난걸로하지않습니까? (개인생각임니다)
여기서 케미노출상황에 케미를 뺌니다.
여기서 찌의 변동이 있냐는 검니다. 전 케미빼고 찌목을 80프로정노 나오게끔 맞춤니다 그후에 케미를 꽂음 다시 케미 노출이 되는 거죠
이렇게하면 더 민감한 채비가 된다고 생각하는 일인 초보임니다
이렇게 찌맞춤 하시는분들도 계신가요?
현재 스위벨 사슬채비 같이 쓰고있습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봉돌 깍아서 한목딴다. > 수심찍고 > 한목 + 1mm 내놓고 낚시.. > 대부분빨리거나 찌움직임이 지../랄맞음.
바닥에 봉돌이 닿지 않을수도 있음.> 목줄영향..
한목따고 > 0.005g 극소 쇠링하나 추가하고, > 한목 내놓고 낚시.. > 위와같음.
봉돌 깍아서 반목딴다. > 수심찍고 > 한목 내놓고 낚시.. > 요즘 겨울철 예민한 하우스에서 잘올려줌. 가끔 빨리기도함.
한목 따고 > 0.01g 소 쇠링 추가 > 한목 내놓고 낚시 >> 대류가 없는 하우스에서 가장 이상적은 찌맞춤 인것 같네요. 경험상..
합니다...바닥통틀어 채비는...집에수조에서
케미빼고 바늘빼고 2.3목맞추고...
케미달고 바늘채우면 수평맞품이되더라구요
그냥 현장서사용하는편입니다...생미끼시엔
쇠링하나 핀도래걸어서 살짝잠기게 찌맞춤하구요
즐거운 낚시하세요
저다운 재스탈에 맞는 찌맞춤 하겠습니다
일단 하우스에서는 원봉돌 잘 안하죠~!? 채비가 조금 둔하다는 평이 있어서요...
둔한 원봉돌 채비를 예민하게 하는 방법은
일단 찌보기 고무 밑 부분에 봉돌을 깍아 맞춤니다.
그리고 한목을 내놓고 낚시를 합니다.
자 이때부터 태공의예리한 판단력이 필요로 한 부분입니다.(찌의 입수에서 2단입수는 필수입니다.)
찌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 찌를 1~3mm 씩 내립니다.(이유는 움직임이 없다는 것은 붕어는 먹이를 건들거나 먹는데 찌가 표현을 못한다고 봐야 합니다. 이런 경우는 찌 맞춤이 무겁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찌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조금씩 내려 주는 겁니다.)
닭이 쪼는거 같은 현상도 조금 무겁다 입니다.
무거울때의 현상 ( 무지 무거울때는 찌가 거의 안움직입니다. 조금 무거울때는 빨거나 똑똑 쪼는 입질이 나옵니다.
찌 맞춤이 너무 가벼워서 나따나는 현상 주로 빠는 입질이 나옵니다.
무거울때나 가벼울때나 빠는 현상은 나따나는데 구별 방법은 입수시 무거움이 느껴지면 무거워서 빨것입니다.
케미 없이 하신다면 한목에 맞추시고 세목이상을 내놓고 하셔야 목줄을 제대로 눌러 줄것입니다. 즉 목줄의 길이에 따라 목수가 달라 져야 하는거죠 아님 봉돌에 목줄 길이에 맞는 오링을 추가 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저의 노하우라 다른 분들과 뜰릴수도 있습니다.
예민한 맞춤이란? 정통 바닥 올림 낚시에서 예민한 맞춤이란 결국 바닥의 봉돌이 누웠느냐 아님 서있냐 아님 달랑말랑 하는냐
일것입니다.
지가 하수라 부연 설명도 길고 장문이 되어 버렸네요 일단 많이 하시다 보면 자기의 노하우가 생기리라 믿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