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맞춤 질문드립니다^^

IP : 9bae50441275e6b 날짜 : 조회 : 6491 본문+댓글추천 : 0

전에도 물어보고 이리저리 다른 사람에게도 물어보았지만 찌맞춤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ㅎ 원봉돌채비이구요 수조통에서 바늘없이 캐미만 달고찌맞춤합니다. 캐미 보이고 캐미고무까지만 보이게해서 현장가면 특별하게 찌맞춤은 하지 않습니다. 원줄은 카본3호줄 사용합니다. 제 찌맞춤이 무거운건지 가벼운건지 그리고 입질 받기 힘든 잘못된 찌맞춤인지 여러 조사님들의 의견을 구해봅니다. 낚시는 정말 즐겁고 좋은데 찌맞춤은 정말 어렵네요ㅎ 답변다시는 분들 이번주 로또 최소2등이상 되실겁니다^^

1등! IP : 64ab5421fae1bcf
비수기 떡밥낚시는 약간 무겁게 생각돼고,딱 적당하지 않나 싶슾니다.

현장에서 확인한번 해보심이 확실합니다~!

수심에 따라서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확실한 채비로 대물상면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2등! IP : 9bae50441275e6b
떡밥은 손에 묻는거랑 반죽하는게 싫어 거의 쓰지않고 지렁이나 옥수수 미끼 주로사용합니다.
위처럼 찌맞춤한 경우에 수심 맞추고 캐미만 보이게해서 낚시하는데 낚시하는데 지장은 없는건가요?? 조과는 항상 꽝~!입니다ㅎ
추천 0

3등! IP : 6e16aa04e5105cc
수조에서 그렇게 찌맞춤하시고 현장에서 원줄 3호면 약간 무거운 찌맞춤이라 판단됩니다

특히 카본원줄 사용시에는 꼭 현장찌맞춤을 해보시길 권합니다

현장에서 바늘빼고 케미끝이나 중간노출로 맞춤하시면 적절하리라 생각되네요
추천 1

IP : e43e5c49085bae6
저의 경험에는 일단 무겁습니다 ^^
찌의 특성이 다 달라 뭐라 정의 하기 어렵지만,
일반 50전후의 떡밥찌의 경우라면 수조에서 2마디 노출 정도 하시면 현장에서 거의 케미1/3 정도 나옵니다 ^^
가장 조은것은 수조에서는 대충 하시는 것이고 반드시 현장에서....
꼭!! 낚시밥을 던질 곳에 던지면서 찌맞춤을 하셔야 합니다 ^^
추천 0

IP : e43e5c49085bae6
참고루 굿이 수조에서 하실려면 원줄을 4~5m 정도 사려서 찌고무에 달아 원줄 무개도 적용하여 찌맞춤을 하심이 나을듯 하네요 ^^
추천 0

IP : 9bae50441275e6b
까꿍붕어님 좋은지적 감사합니다
내일 낮에 짬내서 현장가서 한번해저더록하겠습니다ㅎ
추천 0

IP : 9bae50441275e6b
달랑무 까꿍붕어 태공준님 감사합니다. 좀 무거운 채비인가봐요;;수조에서 맞출때 봉돌을 좀더 깍아서 대충 맞추고 현장가서 또 맞추는 방법이 제일 낫겠네요. 다들 즐거운 낚시하시고 주말 로또 당첨 되실겁니다^^
추천 0

IP : 64ab5421fae1bcf
ㅎㅎ제발..ㅋ

생미끼낚시 기준으론 적당한듯 싶었는데..

다양한 의견들이 많군요~

덕분에 저도 잘배우고 갑니다~^^
추천 0

IP : 6e16aa04e5105cc
yuan님 지적이라뇨^^

단지 먼저 경험해본 사람으로써 조언을 해드린것 뿐인데요~

한가지 덧붙여 말씀드리자면 위의 찌맞춤보다 더 예민한 채비를 원하시면

스위벨채비나 분할채비를 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채비를 마치셨다면

경험이나 주위의 조언에 따른 포인트의 선별도 그이상으로 중요한데요

포인트 선정은 한군데의 장소를 정하여 지속적으로 출조하여 현장의 상황과 조과를 기록해 두신다면

비교적 단기간안에 고수의 반열에 오를수 있을겁니다 부디 좋은결과 있으시길 바랄께요~~~
추천 0

IP : ed04b6c304fbb1d
대 길이나 원줄 두께, 종류 그리고 사용하는 찌에, 원봉돌과 스위벨 사이의 목줄길이 등등...
여러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골치 아프게 생각 안하고 그냥 스위벨 하신다면
일반적으로 권장하는 스위벨 크기보다 큰 규격을 사용하고 조금 가벼운 찌맞춤으로 세팅하면... 대부분 해결 됩니다.
스위벨이 규격을 약간 큰걸로 세팅하면 원줄에 의한 2단 침하도 대부분 해결할수 있고요..
예민한 세팅하기위해 스위벨 권장 보다 작은거 사용하고, 원줄 무겁고 긴대에 사용하면 이것 저것 고려해야될게 많아집니다.
전 일학 스위벨 나오기 전 부터 맨도래(롤링스위벨)를 이용해 사용했었어요. 지금은 HDF 수위블(맨도래) 사용하고요 ㅋㅋ
추천 0

IP : cfca30bf9459ed7
제 생각엔 무거운 맞춤입니다.

현장상황에서 원줄의 무게도 무시 못하기 때문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캐미달고 한마디 올라오게 맞춤합니다.

고리추6호도 살포시 잘올리더군요.
추천 0

IP : e0495671d82327d
제생각은 조금 다르네요... ^^

생미끼에는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0.1g 차이로 찌가 뜨고 가라않습니다... 전에 실험해봐는데 정말 미미한 차이로 가라않고 찌가 뜨더군요...

노지라면 그냥 현장에서 줄달고 던져서 케미만살짝 보여도 그냥합니다..

양어장이라면 정밀하게 칼로 마추지만요... 양어장은 가지를 않아서...
추천 0

IP : edf292df3be4ced
수조에서 맞춘것을 현장가서 던져보면 무겁습니다. 원줄에 영향이 상당히 있는듯~
실제 낚시전에 체크한번 해보세요.
추천 0

IP : ed04b6c304fbb1d
보통 집에서 사용하는 찌 맞춤통은 원줄이 통에 닿아... 무겁게 맞춰집니다.
현장에서 찌 맞춤 정밀하게 한다면 채비를 물속에 담궈 미세한 기포를 모두 없애고 완전히 물속에 잠귀는것을 확인하고 맞춰야 정밀하게 맞춰집니다.
진짜 너무 입질 약할때는 정밀하게 맞춰보려고 노력합니다만... 대부분 어느정도 채비 안착 될 정도로 맞춰서 하고요..

스위벨이 원봉돌 대비 너무 가볍지만 않으면 케미 반마디나 케미 끝 맞춤이나.. 스위벨 안착은 잘 됩니다. 찌탑 올려진 높이에도 큰 영향이 없고요..

하지만 케미 끝 맞춘 채비가... 스위벨이 무게 비율이 너무 작거나, 원줄이 무겁고, 대가 길어질경우 원봉돌 침하되는등 무거워질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스위벨에 B봉돌 더 달아 확인했습니다.

정밀한 찌 맞춤의 경우 낚시 시작할떄와 낚시 끝날때 확인해보면 낚시 끝내고 확인한 시점이 채비가 꽤 무거워진걸 여러 채비에서 확인했습니다.

노지라면 스위벨도 좀 크게 안정적으로... 특히 바닥이 고르지 않은 곳에서....

관리터라면 노지보다는 스위벨을 좀 작고 가벼운 채비로 맞추는게 좋았습니다. 특히 평지형에서...
추천 0

IP : 1cd422eaf3f5289
무겁다 가볍다는 그날 붕어님 맘이라고 생각 합니다.
어느날은 풍덩채비도 붕애가 찌를 날려주고,
어느날은 밤새도록 깔짝여 주기도 하니까요.
본인이 적당하다 생각 하시는 맞춤을 하시고,
무겁다 싶으면 찌를 두마디 정도 빼고 낚시 하시고
반대로 가볍다 싶으시면 찌를 수평 즉 깜빡이 낚시로 조정 하시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 될듯 합니다.
찌 맞춤이 점점 과학적 이론과 실험을 바탕으로 전파 되고 있는데
제 소견은 붕어 맘 이라는 의견입니다 ^^
추천 0

IP : 3e48d317dc3e81d
예전엔 풍덩에서 그러다 예민하게 .. 다시 풍덩^^

내 채비에 의구심들때가 많지만.. 믿기 시작하면 무조건 풍덩으로 갑니다
추천 0

IP : f324acc11f8787d
그정도면 특별히 예민하게 하시지 않는다면 사계절 무난한 채비입니다.무겁다고들 하시니까 좀더 깍아서 찌톱 반마디까지만 깍고 해보세요. 바늘달고 카본3호면 딱일듯 합니다. 자기 채비를 믿는게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저도 별채비 다해보고 나름 공부좀 한다고 했는데 결국 가장 기본적이면서 간단한 채비로 돌아오는거 같습니다. 몇대는 해결사 채비인데 나름 변형해서 유동봉돌이나 편납채비로 좁쌀과 바닥채비 한대로 해결합니다. 스위벨채비보다 엉킴도 덜하고 일석이조인듯 아주 만족하면서 쓰고 있네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