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현장에서 6호봉돌정도 되는 30cm 찌에 수심 약 1.5m이고 캐미가 딱나오서 캐미가물표면과 붙는 찌맞춤에 1목더 내놓고 낚시 했습니다..바닥낚시 입니다 원봉돌채비, 바늘 빼고 수심체크했습니다.
지렁이미끼로 목줄 12cm 3호 당줄 인데 제 생각으로는 봉돌이 바닥에있으니 고기가 물면 찌올림만 가능할것 같은데
빠가사리가 물고 나오면 1목노출찌가 쏙들어가는 입질만 나오고 올려주는 입질이없었습니다...
찌맞춤의 문제 인가요 ?아니면 빠가사리의 경우 이런 입질이 특성인지 알고싶습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대부분 바닥에서 바닥으로 끌고가더군요
피곤한 어종이죠ㅎㅎ
붕어의경우 목줄이 길수록 찌올림보기전에
옆으로이동하거나 물속으로 끌고가더군요
목줄이15센티일경우 미끼섭취후 20센티를 올라와야 찌가 5 센티 올라오겠죠.
반면에 목줄이10센티일 경우 찌가 10센티가
올라오지않을까요?
어제 직접경험 근거로 설명드려요
단, 봉돌을 바닥에 닿은조건의 채비입니다.
찌가 스무스하게 올라오는건 섭취후의동작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입니다.
한두마디씩 툭툭 건드리다가 쭈욱 올리는게 붕어의 찌올림입니다.
경우에는 어종에 상관없이 건들기만해도 찌가 한 마디씩
올라올 수 있습니다
블루길도 잉어도 찌를 붕어처럼 올리기도 합니다.
목줄이 길면 좋은 경우도,,나쁜 경우도 있습니다,, 바닥 상태에 따라 다르겠습니다.
동자개를 키워 보시면 녀석들은 먹이도 옆에서 바닥을 기며 취하고 이후 자리이탈도 수평적인 움직임을 보일때가 많습니다.
계속 떠오르지 않고 옆으로 끌면 찌는 끌려 들어 갈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가 보는 찌는 위아래 움직임이 많지만 실제 물속에서 움직임은 위아래만 있지 않습니다.
그러니 봉돌이 움직여서 찌가 움직이는것은 맞지만 방향이 일치하진 않는것입니다.
95%는 사정없이 물고 들어갑니다..
빠가는 팍 물고들어가고 메기는 느긋이 물고들어갑니다
뱀장어는 더빨리 삭...물고들어가기때문에
초기진압안하면 돌밑으로들어가서
못 건집니다..
빠가는 기다리면 돌밑에서 다시나오는 경우가 많으나
장어는 한번들어가면 안나옵니다..
줄 끊어야돼요..
입이 큰지 작은지, 상하 벌어지는지 좌우로 벌어지는지요
물론 저수지마다 다를수도있겠지만요...
처음부터 그냥 끌고들어가는경우도 있고..
좌우간 끌고 들어갑니다
찌가 많이 나와있으면 찌가옆으로 가고 조금나와있다면 잠기는걸로 생각이듭니다
저같은경우는 80프로는 찌를올렸습니다;;;
장마철이라 흙탕물 영향도 있었겠지만
새우 미끼로 밤새 환상적인 찌올림을 보았읍니다.
천천히 올린후 옆으로 슬금슬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