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가입한 낚시 초보 입니다.
찌 낚시를 여러해 했는데 요즘 궁굼한 내용이 있어 선배 조사님들께 문의 드리고자 합니다.
바닥낚시를 할때 만약 찌가 3마디 올라와 있다면
찌가 올라가는것은 이해가 되는데
찌가 내려가는 경우는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봉돌에서 찌 3마디까지가 물의 깊이 이기 때문에
만약 대상어가 미끼를 흡입하여 찌가 잠시 내려간다 하더라도
높이가 같다면 다시 찌는 3마디 올라와야 하는데
실제 낚시해 보면 그렇지 않습니다.
같은 경우로 찌가 올라왔을 경우도 다시 3마디 까지 내려와야 할것 같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이런것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 선배님들에게 초보적인 문의 드립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실제는 경사진 곳이 있을수 있고, 바닥에 돌이나 다른물질들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입질로 찌위치가 조금 아동하게 되면 원래 깊이와 꼭 같은 곳에 위치하지 않을수가 있습니다.
경사진 곳이라면 입질후 봉돌위치가 내려가 있다면 찌도 내려가겠죠.
입질 후 봉돌이 제자리로 올수도 있지만 옮겨질 수도 있을겁니다.
특히 경사진 곳이라면 가능성이 더 크고요.
올라오는 문제는 사선입수등의 문제가 있겠지요.
카본라인의 무게에 의해 당겨지기 때문에 가라앉는 겁니다..
또는 머리만 내밀고 있던 캐미가 얼마 후 2마디 정도 올라온다는 것은
특히 노지낚시를 해본 사람들 누구나 다반사로 경험하는 일입니다.
그것은 돌이나 청태 등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물 흐름이나 입질에 따라 봉돌이 조금씩 이동하는 경우나
원줄이 찌에서 바닥을 향해 직각으로 향하지 못하고 약간 늘어진 사선입수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사선입수 될 때는 찌가 내려가 있다가 직선입수가 되면 원줄 길이가 늘어나니 찌가 올라오는 것이죠.
사선입수는 입질전달이 정확하지 않아 조과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예방하려면 원하는 포인트에 던진 다음 찌 입수 후 손잡이를 약간 당겼다 놓음으로써 예방이 가능합니다.
처음에 던진 찌가 몇 마디 올라오면 입질이 분명하나
시간을 두고 아주 조금씩 올라오거나 내려가다 그대로 멈춰 있으면 위와 같은 문제일 확율이 높습니다.
사선입수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지 못했는데 그럴수도 있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