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대 길이와는 상관이 없고요
1미터인 경우 찌가 60이라 가정하면 흡입 시에 이물감을 느끼므로 단찌가 유리하고요
3미터 이상인 경우 내려 가면서 잡어에게 떡밥이 뺏길 우려와 미세하게 흐름이 있는 경우 정확한 곳에 안착이 어렵고 저부력의 경우 너무 느리게 내려가서 불편하므로 고부력이 편합니다
노지에서는 수심에 따른 부력크기는 중요치 않지만
적당히 투척할 정도의 부력에
떡밥낚시는 속공낚시 개념으로
저수심은 저부력 깊은 수심은 고부력이 편리합니다
물론 입질표현은 저부력이 유리합니다
장르가 같으시다면, 칸수에 따라 앞치기를 고려하여 부력을 조금씩 달리하시는 게 좋습니다. 수심은 일반적으로 고려치 않으셔도 됩니다만, 깊은 곳에서는 찌길이에 따라 투척 범위가 달라집니다. 찌가 길다면 조금 더 멀리 세울 수 있겠지요. 근데 이것도 떡밥낚시라면 큰 상관 없겠습니다. 제 경우엔 같은 종류의 찌를 3호~5호, 40~55까지 쌍둥이로 들고다니고, 단찌와 대물용은 별도로 준비합니다. 수초구멍만 아니라면 다 소화되더군요.
수심이 꽤나 깊은 경우 입수속도만 봤을때
입수되는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떡밥이 안착되기도 전에 입수되는 과정에 바늘에서 다 벗겨져 버릴 지도,
또 입수되는 속도가 너무 느리면 안착되기도 전에 잡어(살치, 갈겨니, 참붕어, 버들치, 블루길, 베스, 가물치 등등)들의 공격대상이 되어 버릴수도...
바다낚시의 경우 입수속도를 꽤나 민감한 편입니다.
수표면부터 워낙에 잡어(복어, 농어치어, 고등어, 꽁치 등등)들이 많아서....
'속공채비'란 용어도...
수심이 깊은 곳에서 저부력 낚시는 불리한점이 많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저부력이라함은 5푼이하를 말합니다.
수심이 1.5m 전후에 28대이하라면 굳이 고부력(9푼이상)을 쓸 필요가 없겠지요
저의 경우에는 28까지는 5-6푼, 30-36까지는8푼 전후 38이상은 9푼에서 10푼정도로 사용합니다.
찌의 예민성도 중요하지만 장대에 저부력은 투척을 어렵게 해서 피곤한 낚시가 될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찌톱은 가는것이 좋구요, 길이는 수심만 상관없다면 50정도가 좋더군요......봄철 얕은 곳에서는 짧은찌사용.ㅎㅎ
그리고 떡밥낚시를 하신다니.........혹시나 카본줄 사용하신다면 모노줄 사용해보시는것이 어떨런지요
좋은 찌하나 좋은것 쓰는것보다 모노줄 효과가 더 클때가 있답니다.
떡밥낚시...
1.수심에따라...
2.찌길이 부력을 달리 하는것은 다소 불편합니다.
3.한가지 찌맞춤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4.수심이 깊고 낮고 가리지말고 평소에 하는 방식으로 하십시요.
5.찌길이도 역시 한가지 찌를 사용하십시요.
6.봉돌의 부력을 가리지말고...
7.한가지로만 쭉 지속적으로 사용하십시요.
8.오랬동안 사용하시면...
9.그 찌의 대한 노하우를 찾을수 있습니다.
떡밥낚시는 집어한 상태에서 고기를 잡는 것이므로
언제고 원하는 곳에 편안하게 투척할 수 있어야 집어효과가 제대로 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봉돌의 무게를 결정하는 데에는 우선 낚시대 길이를 먼저 생각합니다.
앞치기할때 낚시대 길이에 따라 봉돌이 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어야 편안하게 던질수 있거든요
짧은대인데 지나치게 무거운 봉돌과 고부력 찌를 사용해서 풍덩거린다든가
그 반대로 긴대에 지나치게 가벼운 봉돌과 찌를 사용한다면 잘 날아가지 않을 것이며
그렇게 된다면 두경우 모두 집어하는데 상당히 많은 문제가 생기겠죠
2.0칸 이하 - 2g 정도
2.1 ~ 2.9 - 3.2g 이하
3.0 ~ 4.0 - 4 ~ 5.5g 정도
또한, 얕은 수심에서 긴찌를 사용하면 줄꼬임이 심할 것이니 단찌가 유리하겠고
깊은 수심에서 지나치게 저부력찌를 사용한다면 고기들이 중간 이상으로 뜨게 되겠죠
특히, 물이 맑거나 날씨가 맑은 날, 잡어가 많은 곳이라면 비교적 무거운 봉돌로 재빨리 바닥에
안착시켜주는 것이 유리하겠습니다
당연 본인이 낚시하는 상황에 따라 선택해야겠죠...
하우스/양어장/노지 이런 광활한 형태보단.
1. 대류가 얼마나 센가(수심포함)
2. 잡어들의 극성이 어느정도인가
3. 대상어들 활성도가 어느정도인가
+a 난 찌길이 긴거 보는게 좋다...
1~3 상황을 보고, 4 성향에 따라 선택합니다.
1미터 vs 3미터면. 똑같은 찌대비 3미터로 갈수록 대류영향 받는 시간이 길어지고, 잡어들 달려드는 속도도 길어지고,
원줄 또한 길어지기에 안착후에도 가벼운 채비라면 밀릴수 있는점.. 등을 고려하면 고부력찌가 될테구요.
고부력이 비교적 둔감해도 극복하는 방법이야 여러가지가 있으니 그렇게 해결하면되겠죠..
제가 댕기는 관리터는 3미터 수심, 24시간 살치가 돌아댕겨서 특히 낮에는 6푼 이하는 던질때부터 1m 권안에서 다털립니다.ㅎㅎ
글서 그럴땐 16푼 짜리를 씁니다. 대신 아주 예민한 16푼으로 ㅎ
낚시대 칸수에 따라...떡밥,지렁이등 미끼에 따라...
낚시대 종류(경질대, 연질대 등)에 따라 틀려지죠.
1미터인 경우 찌가 60이라 가정하면 흡입 시에 이물감을 느끼므로 단찌가 유리하고요
3미터 이상인 경우 내려 가면서 잡어에게 떡밥이 뺏길 우려와 미세하게 흐름이 있는 경우 정확한 곳에 안착이 어렵고 저부력의 경우 너무 느리게 내려가서 불편하므로 고부력이 편합니다
노지에서는 수심에 따른 부력크기는 중요치 않지만
적당히 투척할 정도의 부력에
떡밥낚시는 속공낚시 개념으로
저수심은 저부력 깊은 수심은 고부력이 편리합니다
물론 입질표현은 저부력이 유리합니다
휴식이 되어야 할 낚시가 피곤과 불신으로
가득차게됩니다. 깊은곳이 원줄의 무게때문에
찌맞춤이 살짝 무거운건 사실이나
조과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니 그냥
하시면 될것같습니다
부력은 낚시대길이 본인의 앞치기 능력에의한 원활한 부력을 사용햐면 됩니다
수심과 부력이 상관도 잇지만 이제는 편하게 하고 있습니다 떡밥낚시시.....
1메타 평균수심 ㅡ 30 쎈치이하 ~ 30 조금 더 넘는 찌
2 // ㅡ 30 // ~ 40 //
3 // ㅡ 40 // ~ 50 //
노지에서 물흐름 없고 안정적조건이고 부력은 윗분들말씀 처럼.
깊은 수심일수록 부력은 증가, 흐름,대류 등 찌영향 있음
(찌 타입에 따라 입질파악도 다를수 있어 있는 그데로 씀니다.)
입수되는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떡밥이 안착되기도 전에 입수되는 과정에 바늘에서 다 벗겨져 버릴 지도,
또 입수되는 속도가 너무 느리면 안착되기도 전에 잡어(살치, 갈겨니, 참붕어, 버들치, 블루길, 베스, 가물치 등등)들의 공격대상이 되어 버릴수도...
바다낚시의 경우 입수속도를 꽤나 민감한 편입니다.
수표면부터 워낙에 잡어(복어, 농어치어, 고등어, 꽁치 등등)들이 많아서....
'속공채비'란 용어도...
찌의 길이가 수심의 1/2 이상이 된다면
투척시 채비가 찌와 엉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 한가지 찌의 길이에 대해 고려할 점은
찌톱이 길수록 높은 찌올림을 볼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입니다
찌올림의 최대치는 몸통 상단이 드러날 때 까지이기 때문입니다
덤으로 챔질 타이밍이 좀더 길어질 수 있다는 잇점도 있습니다
찌의 부력은 장대에 사용하는 찌는 조금 더 부력이 높은 것이 편합니다
2g 미만의 저부력찌는 기상 조건에 따라 앞치기가 불가능 할 수 있습니다
4g 정도면 4.0대도 충분히 투척 가능합니다
물론 고부력 채비일수록 예민함이 떨어진다는 것은 고려하셔야 하구요
공식화 된건 없지만 대체적으로 수심 1미터 80권이
떡밥낚시 하기에는 최상의 조건이라고 합니다
노지에서는 대체적으로 48전 미만의 찌를 마니 선호 하고 있고요
취향에 따라 장찌에서 단찌 아님 게으름에 따른 고정찌 등등
저는 보통 3호고라봉돌기준으로 찌를 맞춤합니다
80 여개의 찌들이 한번 맞춤 해놓은 봉돌에 전부 통일화 했네요
방법은?
찌다리에 편납을 미리감아서 기존 봉돌에 맞춤을 합니다
그래서 수심에 맞게 아무 찌나 꺼내서 사용하니
찌맞춤을 할필요도 없거니와 다양하게 찌를 바꿔서
사용하다보니 나름 이방법을 착안해서 모든찌에
편납을 감아 쎗팅해 놓으니 아주 편하더군요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읍니다
요즘은 친환경문제로 납봉돌이 아닌
퀘미추를 말씀 드린건데 내용이 빠졌군요
오링추가해서 사용하는 봉돌이라
사용하기에 아주 적합 하죠
한번쎗팅으로 아주 편하고 간단 하죠
참고로 아가용 고무줄을 잘라서 끼워주면
스크래치 예방및 부력 조절에도 한몫 한답니다
제가 생각하는 저부력이라함은 5푼이하를 말합니다.
수심이 1.5m 전후에 28대이하라면 굳이 고부력(9푼이상)을 쓸 필요가 없겠지요
저의 경우에는 28까지는 5-6푼, 30-36까지는8푼 전후 38이상은 9푼에서 10푼정도로 사용합니다.
찌의 예민성도 중요하지만 장대에 저부력은 투척을 어렵게 해서 피곤한 낚시가 될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찌톱은 가는것이 좋구요, 길이는 수심만 상관없다면 50정도가 좋더군요......봄철 얕은 곳에서는 짧은찌사용.ㅎㅎ
그리고 떡밥낚시를 하신다니.........혹시나 카본줄 사용하신다면 모노줄 사용해보시는것이 어떨런지요
좋은 찌하나 좋은것 쓰는것보다 모노줄 효과가 더 클때가 있답니다.
1.수심에따라...
2.찌길이 부력을 달리 하는것은 다소 불편합니다.
3.한가지 찌맞춤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4.수심이 깊고 낮고 가리지말고 평소에 하는 방식으로 하십시요.
5.찌길이도 역시 한가지 찌를 사용하십시요.
6.봉돌의 부력을 가리지말고...
7.한가지로만 쭉 지속적으로 사용하십시요.
8.오랬동안 사용하시면...
9.그 찌의 대한 노하우를 찾을수 있습니다.
고추형태에 부력은7푼에서9푼먹는 찌면됩니다
떡밥낚시는 집어한 상태에서 고기를 잡는 것이므로
언제고 원하는 곳에 편안하게 투척할 수 있어야 집어효과가 제대로 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봉돌의 무게를 결정하는 데에는 우선 낚시대 길이를 먼저 생각합니다.
앞치기할때 낚시대 길이에 따라 봉돌이 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어야 편안하게 던질수 있거든요
짧은대인데 지나치게 무거운 봉돌과 고부력 찌를 사용해서 풍덩거린다든가
그 반대로 긴대에 지나치게 가벼운 봉돌과 찌를 사용한다면 잘 날아가지 않을 것이며
그렇게 된다면 두경우 모두 집어하는데 상당히 많은 문제가 생기겠죠
2.0칸 이하 - 2g 정도
2.1 ~ 2.9 - 3.2g 이하
3.0 ~ 4.0 - 4 ~ 5.5g 정도
또한, 얕은 수심에서 긴찌를 사용하면 줄꼬임이 심할 것이니 단찌가 유리하겠고
깊은 수심에서 지나치게 저부력찌를 사용한다면 고기들이 중간 이상으로 뜨게 되겠죠
특히, 물이 맑거나 날씨가 맑은 날, 잡어가 많은 곳이라면 비교적 무거운 봉돌로 재빨리 바닥에
안착시켜주는 것이 유리하겠습니다
하우스/양어장/노지 이런 광활한 형태보단.
1. 대류가 얼마나 센가(수심포함)
2. 잡어들의 극성이 어느정도인가
3. 대상어들 활성도가 어느정도인가
+a 난 찌길이 긴거 보는게 좋다...
1~3 상황을 보고, 4 성향에 따라 선택합니다.
1미터 vs 3미터면. 똑같은 찌대비 3미터로 갈수록 대류영향 받는 시간이 길어지고, 잡어들 달려드는 속도도 길어지고,
원줄 또한 길어지기에 안착후에도 가벼운 채비라면 밀릴수 있는점.. 등을 고려하면 고부력찌가 될테구요.
고부력이 비교적 둔감해도 극복하는 방법이야 여러가지가 있으니 그렇게 해결하면되겠죠..
제가 댕기는 관리터는 3미터 수심, 24시간 살치가 돌아댕겨서 특히 낮에는 6푼 이하는 던질때부터 1m 권안에서 다털립니다.ㅎㅎ
글서 그럴땐 16푼 짜리를 씁니다. 대신 아주 예민한 16푼으로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