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를 어디에 두고 낚시를 해야할지요?
수초앞에 포인트로 3.2칸으로 앞치기 투척을 하면, 원하는 자리에 원하는 찌눈금 한마니 나오게끔 투척이 되는데,
바로앞에 10~15cm만 덜 투척되면, 찌눈금 한마다가 속들어가는 골자리에 찌가 떨어지는데...
매번 100%정확하게 투척을 할수는 없고..... 던질때마다 신경이 쓰이는데....
사람들 이야기는 찌가 한마디 쏙들어가는 자리가 예전부터 골이있는자리라 하는데....
사실상 고기도 그자리에서 한마리 32cm 토종을 잡았는데... 찌가 한마디 쏙 들어간 자리에서 잡혀서
그곳이 포인트인지, 아니며 찌톱이 한마디 나오는 곳으로 찌 낙화지점으로 잡아햐하는지 너무 했갈립니다
고수님들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저는 투척해서 바닥을 찾았으면
찌노출높이에 상관없이 그대로 둡니다..
대신 받침대,초릿대,찌가 일직선이 아니면
재투척 합니다..ㅎㅎ
생각하기 나름이지만 좀 민감한 부분이지 않나 싶습니다.
같은 바닥층이라도 밑걸림이 없는 상태에서 찌 안착지점 반경 20cm이내에서 찌높이가 틀리다는건
골이 있다는것이로 판단되는데 의식적으로 찌를 이곳으로 안착시켜야 할지(너무 피곤한 낚시가 되서),
자유롭게 투척되는곳으로 해야할지 고민이네요. 골자리가 포인트라면 입질의 차이가 확실이 있을건데...
불과 10~20cm 차이밖에 안나오니... 문제는 잘못투척하여 골자리에 떨어진곳에서 입질을 받았고...
2~3cm 내외인데..
그정도 수심차에 골자리포인트인지는
의구심이 듭니다..
저라면 햇반에 어분 좀 섞어서
포인트주변에 뿌려주고 기다린다에 한표!! ㅎㅎ
떡밥낚시는 집어제를 사용하므로, 두가지 경우 모두에서 골자리가 집어제를 쌓는데 훨씬 용이합니다. 또한 자연적으로 발생한 부유물 등이 골자리에 쌓이므로 주변에 붕어의 먹이가 많습니다. 따라서 무조건 골자리가 유리합니다. 저 역시 찌톱 2마디, 반경 15cm 정도되는 골자리에서만 입질받은 경우가 많습니다. 주변 다른찌는 말뚝인데 말이죠..
반면, 생미끼의 경우, 비교적 무거운 봉돌을 사용하며, 쌓인 부유물 사이로 미끼가 숨는 경우가 있으므로, 골자리 바닥상태와 부유물이 쌓인 정도를 확인하고 골자리에 넣습니다.
글로써 설명드리기가 어렵지만, 아무튼..저는 대편성시 골자리가 보이면 일단 좋아라 합니다. 보다 정확한 설명은 고수님이 해주실 겁니다.
맞는 말씀같습니다.
동감합니다.
대체로 턱쪽이 바닥이 깨끗하드라구요~
가장 우선시 하는건 깨끗한 바닥 찿기입니다~
상황에 따라 그떄 그떄 달라 지므로
어느쪽이 좋다고 단정짖긴 어렵습니다
밤,또는 낮,수초나 주변 지형.장애물,물색,수온 등 그떄 마다 다른 상황이 생깁니다
대물낚시의 다대편성 하는 이유가 이처럼 알수 없는 그날 바닥상황을 체크하기 위함도 있습니다
물론 바닥을 아는곳 이라면 이런 수고도 필요 없겠지요...
결론적으로
그날 입질을 자주 보이는곳이 좋은 바닥 여견이고
보다 업되는 씨알이 나온곳도 좋은곳이라 하겠지요
바닥의 포인트는
주변 상황과 반대 되는곳
즉 평평한곳의 골도 , 둔덕도 모두 포인트가 됩니다
수초 또한 주변 상황과 다른 수초가 있다면
그 곳이 포인트로 좋을떄가 많습니다
회뜰날님의 경우
덩어리가 나온 골자리를 정확히 계속 노려 보는것이 좋다고 생각 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는
둔덕이 더 좋은 경우가 확률적으로 더 높습니다
무엇보다 눈여겨 봐야 할것은
봉돌이 쿵~ 하는 느낌이 드는 것처럼 꺠끗한 바닥을 찾는것도 매우 중요 합니다
일명 떡밥메꾸라지 신공법...ㅋㅋㅋ
낚시에 정답이 없다는것은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라 생각 합니다.
그날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는게 낚시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 아닐까 싶습니다.
둔턱에 올려두셔야 입질받을 확률이 그나마 높습니다 낚시방송에도 늘 언급함이 있었죠
깊은곳에 넣으면 나올꺼라는건 기대심리때문이
아닐까요? 붕어도 시력이 있는데 말입니다
골자리 특히 뻘일때는 정말 꽝입니다.
제 경험상 8대편성 7대는 입질 전무
골자리 한대에서만 10여수 했던 기억이 있네요
이론상으론 골을 타고 올라 좌우 턱에서 먹이감을 취한다구 합니다
골사턱취..
골은죽이고 턱은취하라^^
골이든 턱이든 일단 갖다 대놓고 기다립니다.
그날 그날 다르겠죠.골로만 다니는 붕어
턱으로만 다니는 붕어ㅋㅋ
읽다보니 낚시가고싶다ㅠㅠ
그래서 낚시대 펼쳐 자리 잡을때 시간이 좀 많이 걸리죠~,
물론 골자리 보단 턱이 주효한 경우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 골자리에서 확률이 높았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 위에분 말씀처럼 대략 5Cm 정도만 차이가 나도, "붕어들은 골을 타고 움직이다 올라와 먹이 활동 하고,
다시 골을 타고 움직인다"에 동의 합니다. (수심이 낮을때는 더더욱~,)
지저분한 바닥을 형성할만한 환경이 아닌 경우를 말씀 드렸습니다.
이러한 곳은 아주 가벼운 채비로 미끼를 바닥에 살짝 얹어놓는 형태라면 동일하게 적용 돼겠죠...
그 골자리를 알면 그곳은 피하고 던지싶시요
골 바로위턱에
그게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게 아니라면 큰 차이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예를 들어서 목줄 길이가 10센티인데 10센티 반경차이로
찌가 오르락내리락 한다면 봉돌은 골에 빠져도
바늘은 턱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 정도의 작은 반경을 갖는 골이나 턱이 포인트로서
차이를 가지긴 힘들지만 골이나 턱의 면적이 수십센티 이상이고
그 수심차가 몇마디씩 차이 난다면 선택을 해보는것이 좋기때문에
대편성 할때 바닥을 확실히 짚어보는게 중요합니다
골이든 턱이든 수십센티에서 1미터가량의 면적을 갖고
주위 평지에 비해 두드러진다면 그곳에 찌를 새우는게 유리한것 같습니다만
한마디 정도의 차이를 갖는 좁은 면적이라면
크게 신경 쓰시지 않고 서는데로 놔두셔도 무방한것 같습니다
찌가 서는 포인트 주변 바닥여건에 따라 한마디정도 내려갓다가 올라갓다가하는거 같은데
원천적인 지형상 골자리는 아닌거같고요
찌가 올라올때는 근처있는 수초나 바닥의 미세한 지형때문일거라고 생각되고요
내려갈때는 예를들어 사람 발자국 같은 약간 깊은곳으로 떨어지기때문일겁니다
여기든 저기든 별 상관없는데 다만... 빈바늘에 뭐가 걸려나오는 자리만 피하심됩니다..
찌 한두마디안내려간다고 밤새 풍덩거리다 지쳐서 두마디올려놓고 그냥놔둔 낚시대에서
4짜잡은 한사람이 씀 ㅎㅎ
'함몰'이라는 단어 많이 들어보셨을걸로.....
정확한 내용 다시 말씀드리면 32칸 최대한앞치기하면
턱이고 조금 못미치면 찌2마디 정도 들어가는 지형으로 재출조 확인하였고 턱에서 50cm정도 거리가 골자리로 보이며 이곳에서 재차 30정도의 씨알을 확인할수있었습니다 장소는 의암댐이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