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그런경우가 있어서요 무매듭으로 하시고 초리실을 끝부분에 매듭 한번 하시는건 똑같구요. 초리실 길이를 짤라내지 마시고 길게 하신다음에 초리실을 무매듭 사이(구멍)에 통과 하셔서 원줄을 뒤로 한번타고 다시 원안으로 초리실을 통과하셔서 마무리 하시면 절대 안풀립니다. 말로 설명하기가... 그러니깐 원줄과 초리실 매듭부분이 팔자매듭하고 봉돌을 달았을때 봉돌 고리와 팔자매듭으로 봉돌을 달았을때 봉돌고리에 원줄이 감기는 모양을 보시면 이해 하실겁니다.. 제가 너무 어렵게 설명드렸나요???
죄송합니다...
지난주말 아는 후배와 동출을 했는데 후배넘도 무매듭이 풀려서 사용안한다 하더군요.
저는 개인적으로 무매듭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예전 무매듭사용시 풀린적이 한번도 없었기에 이상하다 생각해서 묶어보라 했습니다.
그런데 헐~ 이였습니다 원을 만들어 돌린뒤에 원으로 통과시키는 줄이 원줄이 아닌 자투리 줄을 통과시켜 묶고 있더군요 아마 풀리신다는 분의 대부분이 이런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무매듭이 더 강한지 8자가 더 강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채비하시면 절대 Never 풀릴리가 없습니다 무매듭이 풀리시는 분들 잘 확인해보세요...
니모닉스 님이 말씀하신 무매듭은 혹시 도래 묶는 부분 예기하신거 아닌가요?
그곳은 무매듭이 아니라 꽈배기 매듭인데... 꽈배기로 묶는 매듭은 가끔 풀릴때가 있습니다 물론 이역시 손에 익어서 잘 묶는다면 풀릴 확률은 매우 적습니다 하지만 초리실부분의 무매듭법이 두줄 엮어서하는 무매듭이있고 군계일학에서 소개하는 무매듭이 있는데요(말로 설명하려니 힘드네요 그냥 그렇다 하고 넘어가 주세요.. ^^) 군계일학에서 예기한 무매듭법은 절대 풀리지 않습니다 끊어지면 끊어졌지 풀릴수가 없는 매듭법입니다.
무매듭법은 이론적으로 절대 풀리지 않는 구조입니다.
물론 저도 무매듭법으로 16대 전무 원줄 묶었지만 아직 한번도
풀어진적 없습니다. 카본 2호인데 잉어 80짜리도 거뜬히 건져냅니다.
매듭법을 한번 리뷰해보시고, 봉돌쪽은 파머땜시 꽈배기보다는
팔로마가 더 나은것도 같네요^^;
찌고무로 마무리 하시면 좋습니다.
아직까지 한번도 풀린적 없습니다.
초리실꼬임도 거의없고 나비매듭보단 좋습니다
군계성재현사장님이 동영상강의해주신게 있으니 참고하십시요^^
항상 즐낚하십시요~
죄송합니다...
http://www.wolchuck.co.kr/bbs/bbs/board.php?bo_table=lecture&wr_id=16797
수초에 걸려서 쭉 잡아달길때 풀려 나간거 같드라구요...
군계일학 사장님 동영상에도 언급 되있는데 초리실이 꽈진채로 당기면 빠지는 경우가 있어서
초리실을 짧게 쓰던가 거의 없이 쓰면 된답니다...
초리실이 꽈진채로 잡아당겨서 다른분들도 더러 빠진 경험이 있는듯합니다... ]
그러나 일반적인 위로하는 챔질에서는 절대 빠질일은 없을거 같고 매듭 강도도 8자보다 잘나오는거 같습니다
나비는 끊어진 적이나 풀린적이 한번도 없는데 괜히 따라 했다가 손해 많이 봤네요.
미리 송애님처럼 찌고무를 넣어두어서 마무리 하는데요
원줄 모노1.75호 , 카본4호줄 모두 그렇게 사용하는데도 단한번도 풀린적이 없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무매듭 사용시 풀리거나 터진적 한번도 없습니다~
직접 테스트 해보세요. 중간에 핀도래를 이용하여 한쪽은 8자매듭 반대쪽은 무매듭으로 처리하여
당겨보면 무조건 무매듭한 부분이 끊어 집니다. 무매듭이 올가미 같이 옥조이면서 끊어 지는것 같아요.
저는 개인적으로 무매듭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예전 무매듭사용시 풀린적이 한번도 없었기에 이상하다 생각해서 묶어보라 했습니다.
그런데 헐~ 이였습니다 원을 만들어 돌린뒤에 원으로 통과시키는 줄이 원줄이 아닌 자투리 줄을 통과시켜 묶고 있더군요 아마 풀리신다는 분의 대부분이 이런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무매듭이 더 강한지 8자가 더 강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채비하시면 절대 Never 풀릴리가 없습니다 무매듭이 풀리시는 분들 잘 확인해보세요...
합사줄의 경우에는 줄에 저항이 강해서 잘 풀리지 않으나 나일론 원줄의 경우 강하게 랜딩시 미끄러지면서 풀릴 수 있습니다
방법은 연하아빠님 말씀처럼 무매듭과 나비 내듭을 혼용하시면 좋구요
무매듭에도 단점이 많습니다
무매듭의 꽈배기에 문제가 생기면 8자 매듭 보가 훨~씬 강도가 안나옵니다
이런 경우 매듭 부위가 터지면 초릿대에 흔적이 남질 않습니다
이런 경우 자주 봅니다 무매듭해놓은 곳을 보면 이거 곧 터지겠다 싶은 분 많습니다
사용기/강좌 팁에 올립니다...
http://www.wolchuck.co.kr/bbs/bbs/board.php?bo_table=lecture&wr_id=17230
그곳은 무매듭이 아니라 꽈배기 매듭인데... 꽈배기로 묶는 매듭은 가끔 풀릴때가 있습니다 물론 이역시 손에 익어서 잘 묶는다면 풀릴 확률은 매우 적습니다 하지만 초리실부분의 무매듭법이 두줄 엮어서하는 무매듭이있고 군계일학에서 소개하는 무매듭이 있는데요(말로 설명하려니 힘드네요 그냥 그렇다 하고 넘어가 주세요.. ^^) 군계일학에서 예기한 무매듭법은 절대 풀리지 않습니다 끊어지면 끊어졌지 풀릴수가 없는 매듭법입니다.
낚시대 손질시 매우 편리합니다.
초릿대 실을 안자르셔서 풀린건 아니신지..
월척급 붕어 마름을 감아서 끓어 올리는데도 풀리지 않습니다..
저 원줄은 세미플로링 4호입니다..
무매듭은 올가미 구조라 절대 안풀립니다.
2~3번 꼬시고...분명 짧은 줄을 사이에 넣고 묶으셨을 겁니다.
그래서 풀렸을 겁니다.
긴줄(본줄)을 꼬아논 동그간원 사이에 통과시키시면 됩니다...저도 첨엔 풀린 경험이 있어..그렇지 않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밑에 도래나..봉동연결도..8자매듭 안합니다....루어낚시에서 쓰는 팔로마 매듭씁니다
무매듭으로 초릿대...팔로마 매듭으로 봉돌 잡아주시면....원줄 강도 99% 이용가능하다 생각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참고로 카본줄에 세번꼬아서 돌리는 무매듭입니다 군계일학 기둥줄을 원안으로빼고요 무매듭시 초릿실이 짧아야된다는 분도 계신데 참고하겠습니당 이하 답변주신분들 어복충만하시고 안출하세용^^
물론 저도 무매듭법으로 16대 전무 원줄 묶었지만 아직 한번도
풀어진적 없습니다. 카본 2호인데 잉어 80짜리도 거뜬히 건져냅니다.
매듭법을 한번 리뷰해보시고, 봉돌쪽은 파머땜시 꽈배기보다는
팔로마가 더 나은것도 같네요^^;
많은 조과가 있을 때는 무매듭이 불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