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카본2호줄이 터지려면 어느정도의 힘이필요할까요?

IP : d8b6955aee90041 날짜 : 조회 : 12499 본문+댓글추천 : 0

짬낚갔다가 예신도없이그냥 낚싯대가딸려가서 당황하다 챔질했는데 빈바늘도없이 원줄이터졌습니다 매듭은 무매듭이였고 카본2호였습니다ㅠ 제가지낸번에 걸림이 있어세 심하게당겨서 줄이약해졌던걸까요? 아님 줄이불량? 잉어같은데 ㅠㅠ

1등! IP : 53443bbda01ccb9
카본줄은 탁탁 치는 충격에 약해서 줄이 상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노지 발갱이급 이상이면 대를 못새우고 시작하면
멀쩡한 줄도 터뜨릴 수 있습니다
또 붕어라 해도 너무 강하게 챔질하면 멀쩡한 줄이
허무할 정도로 쉽게 터지기도 합니다
일단 대를 새워서 대 탄성이 먹으면 1호줄도 어지간해서는
안터지지만 탄성을 못살리거나 물고기는 큰 저항 없이
버티는데 사람 팔힘이 무리하게 들어가면 줄이 쉽게
터지는 경우 많습니다
추천 1

2등! IP : d8b6955aee90041
그랬군요 순간적으로잡아당겼더니 차라리 살짝 당기는게 을뻔했네요
추천 1

3등! IP : 2036c25b087c507
순간적인 챔질에 의해 줄에 가해지는 힘은
무게에 의한 힘과는 비교도 안될만큼 큽니다.
줄의 인장강도를 상회하는 힘이 되지요...
아마 그게 주 요인일것 같습니다.
추천 0

IP : aee47afdb32e103
보통 제원으로보면 8lb 약 4킬로정도 되겠네요
사짜 아니 오짜라도 끌어내는데는 문제없는 강도입니다만
잉어등 일정사이즈 이상의 어종이 머리를 돌렸을때 만세 챔질을 하셨다면 끊어질수도 있습니다...
추천 0

IP : 045d6066e11751b
1. 2호 -> 8LB
2. 1LB = 약0.45kg
3. 2호줄 강도 = 8LB*0.45kg/LB = 3.6kg

*30.3cm의 월척붕어 0.5kg(500g)라 가정하고,
#힘(F)=1/2*무게(m)*속도의제곱(V*V)
식변환 -> 2*m*F=V*V
2*0.5*3.6=V*V
약 1.9m/sec=속도(V)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런식으로 대충 계산해보면, 낚시대의 탄력 도움없이 그냥 낚시줄의 힘만으로 버틸때
30.3cm의 월척붕어(0.5kg)가 초속 1.9m의 속도로 반대쪽으로 쨌으면 2호줄(인장강도3.6kg)이 그냥 터질수 있습니다.
추천 9

IP : 80669a49125a3c5
스모그님 전형적인 공대생이신가봐요!

이과 졸업생인 저도 잘 모르겠네요.

하지만 터질 수 있다는거...알겠어요....
추천 0

IP : 75bd5dde2b00d68
낚시대만 새우신다면야 어지간한 발갱이 잉어는 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추천 0

IP : 59fa7000d7c5ad6
줄호수보다는 챔딜의 강도와 물고기님과의 밀당이
주요한듯 합니다. ^^;;;

모노 1.2호줄로도 덩어리 건져 내시는 분들도
있으니 말이죠.(제가 그렇가는건 라니고요....
줄좀 터뜨려 봤으면 하는 1인 입니다)
추천 0

IP : 64503463a7aa74f
낚시대 초릿대나 낚시대 중요성이 요기서 나온다고 믿고 있슴니다...
원줄 부화걸린걸 초릿대 낚시대 탄력으로 버텨주는거죠..
줄로만 따지고 낚시대 탄성이 없다면 왠만한건 다 터지겟죠..
초반 제압이 그래서 중요하다 봅니다..
호수가 낮은 줄은 가끔 허무하게 나가기도 하더군요...
추천 0

IP : 2e08ee1df581a93
찌를 못 봐서 끌고 가는 고기는 대를 잡아당기면 십중팔구 터질 확률이 높습니다.
가는 놈 돌려 세우기니까요, 엄청난 맞짱이 발생되기 때문이죠.

어쩌다 보는 입질 쉽지 않겠지만 이미 찌보기를 놓치고 끌고 가는 중이 었다면
그냥 대만 잡고 있어야 합니다. 서서히 들어 올려야 되지요.
작은 고기라도 끌고 가는 놈 잡아 채지 마세요~^^

웬만큼 큰놈은 그냥 잡아채면 어디가 나가도 나갈 확률이 높습니다.~
추천 0

IP : 21521735c6298f3
터짐방지를 위한 준비

1)무매듭법 이용(초리부터 바늘까지 올 무매듭법 습관화)
2)부드러운 챔질법 습관화(강한 챔질하면 바늘에 주댕이만 걸려 나옵니다)
3)랜딩시 7치급이상부터 무조건 뜰채사용(발앞에 있다고 줄잡고 들지마세요)

*챔질과 동시에 고기가 머리를 돌릴땐 카본 5호 원줄도 팍팍 나갑니다.(혜지낚시터 대물터에서 늘 경험함)
*대물이 예상되는 포인트라면 총알보다는 탄성강한 와이어 항상 대비
(잠자러 들어갈때 와이어 걸어놓구 주무시면 낚시대 잃어버리는 일은 없으며, 와이어 달린 1칸대로도 80잉어 무난히 랜딩가능합니다 대를 못세울 정도일때는 그냥 낚시대를 물에 던지시고 다시 힘안쓰면 잡아 당기고...)
*스토퍼를 마른 상태로 당길때 원줄 표면이 스크래치 난 상태라면 과감히 원줄을 교체해줘야 합니다.
(항상 물을 적신후 한개씩 이동하는 습관을 기르세요)
*낚시대를 걷고난 후 케이스에 줄을 감을때도 힘껏 당겨서 감지 마시고 부드럽게 당겨서 감으세요
추천 3

IP : 984897bed84d0a1
챔질과 동시에 팅 찌는 저기 떠 가네요 황당하시죠? 당황하지 마시고 팔자 매듭을 합사랑 같이.매보세요 짱짱합니다
추천 0

IP : 288a5adec001e45
위에 스모그님...
일단 태클성 발언 미안합니다.
님께서 사용하신 힘에 대한 식은 F=ma가 맞구요,
적용하신 1/2 × m × v^2 는 운동에너지 공식입니다.
설령 식이 맞더라도 1.9m/s는 시속 6.8키로로 일반 사람의 빠른걸음보다 조금 더 빠르게 걷는 속도 정도이구요.
본문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는 대를 뒤로 빼시는 챔질이 아니라 드는 챔질이셨다면 대에 먼저 힘이 들어가는 것이 당연한데 원줄이 끊어졌다면 원줄에 모르는 사이 흠이 나지 않았을까 추측해봅니다
추천 0

IP : 7edcd7f5cca45fc
무매듭경우 줄에 끊어짐 현상보단 풀림현상이 잦은편입니다 ᆢ챔질의 경우엔 찌멈춤고무가 원줄에 손상일 입혀 끊어지기도 하구요 ᆢ이런 문제점을 생가하시고 낚시를 즐기신다면 손맛보는덴 좋을듯 합니다ᆢ
추천 0

IP : 3de094816b1dd4a
목줄을 약하게 쓰시면 최소한 원줄과 찌는 건질수 있을거 같습니다 챔질이 허무하게 느껴질때 바늘이나 목줄이 없어지는경험 많이 해봤습니다 하지만 원줄을 잃어버린적은 거의 없는거 같습니다
추천 0

IP : 045d6066e11751b
@민물상어님
님께서 지적하신 말씀 맞습니다.
제가 40대 나이라 오래되서 운동에너지 공식이랑 헷갈렸습니다.

***제가 적어놨던 윗 덧글 내용 수정합니다.------------------------------------
F=m*a=m*(속도변화량)/(시간변화량)
여기서 턱걸이 붕어 -> 0.5kg(m)간주, 시간변화량 1초로 봤을때
3.6kg=0.5kg*(1초간 속도변화량)
1초간 속도변화량=7.2m/s
"다른 여건 다 제하고, 2호줄(8LB,3.6kg)의 성능만 봤을때 멈춰있던 0.5kg턱걸이 붕어가 이물감에 놀라서 1초만에 초속 7.2m/s의 속도가 될 정도의 스피드으로 쨌을때 터질수 있습니다"로 수정합니다.
--------------------------------------------------
힘(F)=m(물고기 몸무게)*a(순간가속도) 물고기의 덩치(몸무게)에 비례합니다.
이에 파괴력(F)는 물고기의 몸무게(m)와 얼마나 순간적으로 날렵하게 수영을 하는 어종인지(a, 가속도)와 관련된다고 봐도....
추천 0

IP : 3de094816b1dd4a
놀랍습니다 이렇게 공식으로 계산해낼수 있다는게
학교다닐때 좀 열심히 배웠으면 쉽게 이해가 갈텐데 수학,물리시간에 선생님께 빳다맞던 생각이~~ㅜㅜ
추천 1

IP : e10055b070fc085
난 이런 글보면서 계산 하시는 분이 더욱더 신기합니다 ~~~수정안해도 몰랏을걸요 ㅎㅎㅎ 암튼 대단 하십니다
추천 0

IP : aef6c8d62b24e49
강도와 경도의차이랄까요?
카본함량이많은 고탄성낚시대와 카본줄이 순간챔질이나 임택트에
오히려 취약하므로 나름 챔질습관에 유의하셔야...
추천 0

IP : 06730d6eca93ee9
줄이라도 터져봤으면ㅜㅜ
참붕어가 담날 미끼확인하니 대가리랑 뼈만 남았습니다^^
추천 0

IP : 34b6e12ac9b2651
정확히 어디서 터졌다는 말씀 인가요?
봉돌 부위 아님 무매듭 부위??
무매듭 부분이 끈어 졌다면~~
풀렸나요?
아님 터졌나요?
터졌으면 초릿대실에 원줄이 남아 있고요.
추천 0

IP : 3128b9b665e3d00
카본 2호줄...
1.카본 2호줄이 터진것은...
2.낚시대가 끌러가는것을 놓친 상태에서...
3.순간 챔질을 했습니다.
4.대상어는 중심부 쪽으로 가고 있는데...
5.순간 낚시대를 잡고 당겼습니다.
6.순간 서로 맞서게 됐습니다.
7.순간 맞서게되면...
8.2호줄 4호줄도 터집니다.
9.아마 이러한 상황이면 낚시대를 놓치지 않았더라도 순간 챔질로 원줄이 터졌을겁니다.
추천 0

IP : 9a6d385ad8bc7f0
총알차는 입질에 카본5호 원줄 터졌습니다.
순간적인 충격에 남아나는 원줄은 없을꺼라 생각합니다.더구나 미세한 손상이 있는 원줄이라면 말할필요도 없겠죠?
추천 0

IP : 8d0f7860d4ed386
모든분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무래도 제가 놀란나머지 힘것당겨서 그런거같습니다 핀크립 달아놨는데 핀크립위쪽 찌스토퍼 아래쪽 부분이 터저버렸습니다 풀렸다면 꼬여있던자국이 남으리라 생각되고요 중간에 그냥 뚝 끊어진거같습니다.. 경험이죠.. 예전에도 이런적이있었는데 그때는 아무이상없이 걸어넸던거같네요..ㅎㅎ 아무래도 더큰놈이지 싶어요..위안삼아야죠..ㅠㅠ 경험이 재산이지요..
추천 0

IP : 9dc942bc82345cf
스모그님 고기째는속도는 계산하시지마는 낚수대 순간적으루 치는 속도는 계산 햇는지요 ㅎㅎㅎ 아무것두 모르는 1인 쩝~ㅎ1
추천 1

IP : 708798d84c507e7
와~~~!!!
해박하신분들이 많아서
많은걸 배웁니다
바다갯바위낚시 십여년 쫏아 다녀보면서도
카본줄 2호줄(감성돔기준)을 써본 횟수가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로 카본2호줄은
엄청강한줄입니다
감성돔 5~60cm이상을 대상으로 했을때 목줄로 카본2호줄을
들이댑니다
그이하일때는 1.5호줄을 대부분 사용합니다 이정도만해도
엥간한 괴기는 제압이 가능합니다 30cm 전후는 들어뽕뽕!!
윗분들이 명쾌한 대답들을 하셨네요


근데 무매듭이 뭐에요
뒷분 댓글로 답좀 해주시면 감사^o^
추천 0

IP : 2e08ee1df581a93
묶지않고 연결하는겁니다.~^^ 초릿대에 원줄을요.
8자매듭은 묶었잔아요~ 풀를수 없죠? 끊기전에는~,

무매듭은 원줄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그냥 풀어 집니다~. 묶지 않았기 때문에요~^^
그래서 반대방향으로 당길 줄은 1센치 정도 남겨 놓지요~

원줄은 한번 묶을때 마다 원래강도의 3/1이 약해진답니다.
그래서 무매듭으로 하면 원줄강도가 다 보장되지요.

아휴~ 글로 힘들다~ㅠ
추천 1

IP : d68535eb9ded947
당김챔질 /충격량 / 내충격값과 정적최대인장강도다름
ㅋㅋㅋ 낚시 머리아파!
추천 0

IP : 33c874fc759c6d6
무매듭이던 팔자매듭이던 낚시대를 끌고가는 상황에서 평소와 같이 힘찬 챔질을 하면 줄이 터질 확률이 상당히 높아집니다. 가장 큰 이유는 고기가 이미 대가리를 낚시대 반대 방향으로 돌리고 꼬리짓을 하고 있는 상황 + 강한 챔질로 인해 순간적으로 평소 챔질시 가해지는 충격을 훨씬 상회하는 저항이 원줄에 걸리기 때문입니다. 평소 원줄에 별다른 문제가 없고, 원줄강도보다 강한 목줄을 사용했다면 높은 확률로 초릿대부근에서 줄이 끊어지거나, 매듭이 터지게 됩고 때로는 초릿대까지 뽑혀나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전 향어 낚시가 유행일때 꽤나 자주 목격하던 일이었죠ㅎ
추천 0

IP : 31f816d65fdca7b
수학공식까지 등장하네요.~^^ 거기서 빠진 것이 있는데 낚시대의 탄성인 것 같습니다. 그것도 공식으로 가능한가요?
연질이라면 제압은 힙들지만 왠만한 잉어가 끌고가도 버틸 수 있지요. 이때는 팔힘이 문제입니다. ㅋ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