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비슷한 경험이 있읍니다.
편납홀더 안쪽에 완충(고무)제질이 없는 놈은 원줄에 손상이 갑니다.하여 편납홀더 대신 바다낚시용 찌날라리 고정 고무를 사용했었읍니다.민물용이랑 틀리게 일자로 되어있고요.. 구성은 스토퍼-바다낚시용찌날라리 고정고무-스토퍼 입니다.
편납은 접착제가 발라져있는것을 사용했구요...강하게 채어도 편납 풀림없었읍니다.
잉어 낚시에 미터급 장찌를 몸통까지 올리고 빠르게 찌가 하강할때 챔질 하는것을 본적이 있읍니다.(확실한 걸림을 위해서라더군요) 정말 환상이더군요...
일반적인 붕어 장찌 채비의 챔질인 경우 찌가 몸통까지 서고 약간 기우뚱 할때 살짝 들면 걸리거든요...
잉어 채비는 줄이 굵어서 그런지 줄에서 나는 피아노소리-좀 둔탁한듯 한데...완전 죽음이더군요- .장대가 허기까지 확 휘어지는거 하며...
붕어를 낚을 목적으로 관리형저수지에서 원줄5호를 쓰시고 편납홀더를 이용하여 이물감을 줄이려 하시는것은 약간 모순이있어 보입니다.장찌를 쓰시는 목적이 수심커버 + 찌올림인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 원줄5호는 상당히무거운 채비로 생각됩니다.(미터급 장찌 올림+수심커버가 목적이시면)
- 붕어를 잡고자 하는데 잉어 향어에 대한 채비 손실 목적이시면 맞구요... 이러면 굳이 미터급 장찌를 쓰실필요가 없어 보입니다.
저도 (장찌) 채비를 아직도 공부 하고 있는 중인데, 결론은 고기 맘이긴 하지만 원줄도 찌올림에 상당한 영향을 요소중 하나더군요.
"이물감이 없는..".정말 어렵읍니다. 아직도 고민 중이구요...낚시는 정말 할 수록 어려운거 같읍니다.
경지에 이른것으로 보이시는 분의 말씀이 양어장에서 시작해서 양어장으로 또한 원봉돌에 외바늘 채비로 회귀 하신다더군요.
편납홀더 안쪽에 완충(고무)제질이 없는 놈은 원줄에 손상이 갑니다.하여 편납홀더 대신 바다낚시용 찌날라리 고정 고무를 사용했었읍니다.민물용이랑 틀리게 일자로 되어있고요.. 구성은 스토퍼-바다낚시용찌날라리 고정고무-스토퍼 입니다.
편납은 접착제가 발라져있는것을 사용했구요...강하게 채어도 편납 풀림없었읍니다.
잉어 낚시에 미터급 장찌를 몸통까지 올리고 빠르게 찌가 하강할때 챔질 하는것을 본적이 있읍니다.(확실한 걸림을 위해서라더군요) 정말 환상이더군요...
일반적인 붕어 장찌 채비의 챔질인 경우 찌가 몸통까지 서고 약간 기우뚱 할때 살짝 들면 걸리거든요...
잉어 채비는 줄이 굵어서 그런지 줄에서 나는 피아노소리-좀 둔탁한듯 한데...완전 죽음이더군요- .장대가 허기까지 확 휘어지는거 하며...
붕어를 낚을 목적으로 관리형저수지에서 원줄5호를 쓰시고 편납홀더를 이용하여 이물감을 줄이려 하시는것은 약간 모순이있어 보입니다.장찌를 쓰시는 목적이 수심커버 + 찌올림인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 원줄5호는 상당히무거운 채비로 생각됩니다.(미터급 장찌 올림+수심커버가 목적이시면)
- 붕어를 잡고자 하는데 잉어 향어에 대한 채비 손실 목적이시면 맞구요... 이러면 굳이 미터급 장찌를 쓰실필요가 없어 보입니다.
저도 (장찌) 채비를 아직도 공부 하고 있는 중인데, 결론은 고기 맘이긴 하지만 원줄도 찌올림에 상당한 영향을 요소중 하나더군요.
"이물감이 없는..".정말 어렵읍니다. 아직도 고민 중이구요...낚시는 정말 할 수록 어려운거 같읍니다.
경지에 이른것으로 보이시는 분의 말씀이 양어장에서 시작해서 양어장으로 또한 원봉돌에 외바늘 채비로 회귀 하신다더군요.
생각보다 구멍이 크지요.
장찌와 장대를 사용하는 것은 장대의 여유로움과 장찌의 찌올림을 보기 위함입니다.
채비를 믿고 기다리면 입걸림 된 놈은 모두다 올림니다.
깜박깜박 입질에 챔질하지 않고 기다리면 찌는 올립니다.
여유로운 낚시를 하시길...
전기줄을 알맞게 잘라서 (물론 구리선 빼내고) 멈춤고무 아래위로 채우고 그 위에 편납을 감으면 되지 안을까 싶네요.
제가 해보지는 않았지만 저는 그런식으로 가지바늘채비를 하거든요.
5호 원줄도 충분히 들어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