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입질이깨작거릴때.. 처음에 간격을 과감하게 한뼘정도 줍니다. 그래도 깨작거리는 입질이 많을때 반 뼘정도 줍니다.
계속 깨작거릴때 반 뼘씩 줍니다. 그러다보면 어쩔때 60cm 이상 간격이 나올때도 있습니다.
3. 찌가 너무 빨리 올라오거나 올라오드라도 헛챔질이 나올때 손가락 한마디 정도씩 내려줍니다.
단 한두번의 헛챔질은 그럴수도 있다고 생각하시고 3번째 헛챔질은 바로 내려줍니다.
내려주시다보면 정상적인 찌올림과 챔질이됩니다.
4. 낚시대 쌍포를 사용하실경우 낚시대마다 간격이 다르게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아침에 보니깐 하나는 간격이 약 30cm정도고 다른거는 약 40cm정도 일수도 있습니다.
제생각에 그것은 미세한 부력의 차이일것으로 생각됩니다. 사람이 봉돌을 맞추는 이상 정확하게 똑같이 맞출수는 없기 때문 아닐까요?
9월8일 14시 부터 다음날 새벽 01시까지 약 11시간의 조과는 일반이봉채비 2마리, 분할채비 간격조정의 승리로 10마리..ㅎ
상황 녹조 발생중. 새물 유입되고 있는중으로 물갈이중이였음.하류쪽 배수..
낮 조과는 전만적으로 꽝. 밤7시이후 부터 한마리씩 올라옴,.
봉돌 간격 밤이라 자세하게 재보지는 못했으나 대충 30cm 이상 이었심다.
분할채비를 하는 이유는 조금더 예민한 입질을 받기 위함이구요
분할간격만 따지자면 찌를 잘올리는데도 헛챔질이 나온다면 간격을 줄이는게 좋겠지요,,
1. 처음 낚시할때 10~15Cm 간격으로 시작합니다.
2. 입질이깨작거릴때.. 처음에 간격을 과감하게 한뼘정도 줍니다. 그래도 깨작거리는 입질이 많을때 반 뼘정도 줍니다.
계속 깨작거릴때 반 뼘씩 줍니다. 그러다보면 어쩔때 60cm 이상 간격이 나올때도 있습니다.
3. 찌가 너무 빨리 올라오거나 올라오드라도 헛챔질이 나올때 손가락 한마디 정도씩 내려줍니다.
단 한두번의 헛챔질은 그럴수도 있다고 생각하시고 3번째 헛챔질은 바로 내려줍니다.
내려주시다보면 정상적인 찌올림과 챔질이됩니다.
4. 낚시대 쌍포를 사용하실경우 낚시대마다 간격이 다르게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아침에 보니깐 하나는 간격이 약 30cm정도고 다른거는 약 40cm정도 일수도 있습니다.
제생각에 그것은 미세한 부력의 차이일것으로 생각됩니다. 사람이 봉돌을 맞추는 이상 정확하게 똑같이 맞출수는 없기 때문 아닐까요?
9월8일 14시 부터 다음날 새벽 01시까지 약 11시간의 조과는 일반이봉채비 2마리, 분할채비 간격조정의 승리로 10마리..ㅎ
상황 녹조 발생중. 새물 유입되고 있는중으로 물갈이중이였음.하류쪽 배수..
낮 조과는 전만적으로 꽝. 밤7시이후 부터 한마리씩 올라옴,.
봉돌 간격 밤이라 자세하게 재보지는 못했으나 대충 30cm 이상 이었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