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통에서 찌맞춤을 하다보면 표면장력? 때문에 케미끝부분 혹은 케미 꽂이 상단부분이 수면가까이가면 수면에서 땡긴다는 느낌이있습니다~
1 이렇게 맞추게되면 실제로 그부분에대해서 맞춰지는건지 아니면 부력차이가 많이 나는가요?
2 현장맞춤시 이런현상이 없어지는지요?
찌마춤을 알면알수록 너무 어렵네요ㅜㅜ
찌 맞춤 이란것이 참 어려운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를 말씀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떡밥 낚시를 하고 있습니다.
1) 수조 찌 맞춤시 바늘없이 봉돌만 단 상태에서 찌의 케미꽂이 상단(케미꽂이 끝부분)이 수면일치 하게 합니다.
2) 현장에서 찌 맞춤시에도 위 1번과 같은 방법으로 다시 찌 맞춤을 합니다.
3) 분명히 수조 찌 맞춤과 현장 찌 맞춤은 차이가 있습니다.(원줄 및 원줄에 포함된 부가 소품으로 인한 무게)
3) 그후 바늘을 달아보면 케미 1/2노출~케미 상단 노출이 됩니다.
4) 이것도 수심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3미터 이상은 이 방법이 아닌것 같더군요.(더 무거운 맞춤을 하셔야 합니다.)
4) 이후 예민성에 따라 봉돌을 가감 하시든지 아니면 쇠링등 기다 소품으로 적절한 맞춤을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낚시에서 가장 중요하다면 중요하죠,,
표면장력은 노지에서는 크게 상관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우스나 양어장에서는 좀 신경을 써주셔야 할것 같습니다.
찌맞춤을 할때 우리가 보통 하듯이 찌맞춤을 합니다.
캐미 위든 캐미꽃이 아래든..단, 언제나 낚시를 할때는
내가 찌맞춤 한것보다는 찌가 올라오게 해야하죠..
그래야만 봉돌이 바닥을 찾을테니까요..
조과나 입질에 영향이 있느냐는 별개의문제고요
유료터에서 하시는 분이라면 크게작용하실꺼고.노지위주라면 다소덜하겠지요
항상 케미고무밑단을 노출시켜야 합니다
경험상 결론은 노지에서는 상관없습니다. 단 양어장에서는 찌탑을 기준하여 맞춤합니다
현장맞춤이든 수조맞춤이든 표면장력은 작용됩니다.
찌탑을 기준하여 맞춤으로서 표면장력까지 생각, 예민하게 찌맞춤하는 것은 잘못하면 떠다닙니다. (비추)
케미꽂이는 나오게 하는게 좋더라구요,
케미꽂이나 케미가 수면에 걸리면 봉돌이 뜰수가 있습니다.(무거운찌맞춤제외)
노지,양어장 어디든 올림 낚시는 케미 꽃이가 물 밖으로 나와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저의 경우를 말씀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떡밥 낚시를 하고 있습니다.
1) 수조 찌 맞춤시 바늘없이 봉돌만 단 상태에서 찌의 케미꽂이 상단(케미꽂이 끝부분)이 수면일치 하게 합니다.
2) 현장에서 찌 맞춤시에도 위 1번과 같은 방법으로 다시 찌 맞춤을 합니다.
3) 분명히 수조 찌 맞춤과 현장 찌 맞춤은 차이가 있습니다.(원줄 및 원줄에 포함된 부가 소품으로 인한 무게)
3) 그후 바늘을 달아보면 케미 1/2노출~케미 상단 노출이 됩니다.
4) 이것도 수심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3미터 이상은 이 방법이 아닌것 같더군요.(더 무거운 맞춤을 하셔야 합니다.)
4) 이후 예민성에 따라 봉돌을 가감 하시든지 아니면 쇠링등 기다 소품으로 적절한 맞춤을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특히, 예민한 입질을 보이는곳에서는 장애로 발생할수가 있습니다
표면장력이란,
상호간의 응집력에 의해서로 잡아당겨서 그 표면적을 최소화 하려는 현상입니다
붕어가 입질시 초기 찌올림에 방해가 될수 있습니다
활성도가 좋을때는 큰 무리가 없지만
입질이 예민할때는 찌톱을 약간 내어놓고 찌맞춤을 하신후 낚시를 하심이 좋습니다
표면장력 발생시 아무래도 붕어가 흡입시 이물질의 부담감을
더 느낀다고 생각합니다
민감하게 생각할 부분은 아닌듯하구요.
수조맞춤은 1차
현장맞춤은 2차
저같은경우 찌 입수속도를 봅니다
수심따라 다 뜰리지만 떡밥찌일경우
입수속도가 빠르면 가감해 줍니다.
찌가 수직으로 딱 서서 서서히 입수하게
그리고 찌톱을 한두마디 내놓아야 합니다
떡밥찌는 수평맞춤이나 마이너스 맞춤을
많이들 하시는데 캐미만 살짝 노출시키면
봉돌이 뜹니다 수조에서도 확인가능합니다
즐거운 낚시하세요.
표면장력은 노지에서는 크게 상관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우스나 양어장에서는 좀 신경을 써주셔야 할것 같습니다.
찌맞춤을 할때 우리가 보통 하듯이 찌맞춤을 합니다.
캐미 위든 캐미꽃이 아래든..단, 언제나 낚시를 할때는
내가 찌맞춤 한것보다는 찌가 올라오게 해야하죠..
그래야만 봉돌이 바닥을 찾을테니까요..
따라서 수조에서 맞추는 것은 1단계, 그리고 반드시 현장에서 2단계로 다시 한번 맞추시는 것이 확실합니다.
성제현님의 좁살봉돌 체비법에서는 아주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표면장력도 어느정도 감안한 찌마춤이 좋을것 같습니다.
표면장력은 물리시험시간에만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붕어낚시에 거기까지 생각하다보면 낭만적인 재미가 삭감되겟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