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풀스윙 혹은 반스윙

IP : 59df3349fed2d01 날짜 : 조회 : 15885 본문+댓글추천 : 0

ddunk_qna09541349 30대 쌍포로 떡밥낚시만 합니다. 씨알보다는 느긋한 찌올림을 목적으로 하기때문에 60cm에서 1m까지 좀 긴찌로 2분할 또는 3분할하여 한대는 좁쌀봉돌을 변형한 저만의 채비로 한대는 사슬채비로 찌맛, 손맛 보고 있습니다. 선배님들께배우고자 합니다. 떡밥낚시 정말 할수록 어렵지만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도 참 쏠쏠합니다. 궁금한 점은 1 풀 혹은 반스윙시 조과차이가 있는지? -분할채비라서 사선이 거의 없는것 같음 2 풀스윙으로 채비를 던지는게 더 멋지지 않나요? ?- 밤낚시에 전자 캐미 사용함 3 반스윙시 채비가 좀 꼬이지 않나요? 4 부드러운 찌올림 방법은? 선배님들의 경험 부탁드립니다.
풀스윙 혹은 반스윙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1등! IP : 21521735c6298f3
스윙하는 방법은 풀스윙,반스윙,앞치기 정도가 있다고 봅니다.

풀스윙-360도 대를 돌려서 전방을 향해 투척하는 방법으로써 주로 생미끼낚시의 경우 주로 사용하는 스윙법
반스윙-한손에는 낚시대를 한손에는 바늘위 원줄을 잡고 낚시대를 위로들고 반대편 손을 뒤로한 채 전방을 향해 투척하는 스윙법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생미끼와 떡밥류 짝밥을 쓸때 주로 사용하며 비교적 풀스윙보다 정확하게 투척할 수 있다.
앞치기-전방으로 낚시대를 들고 다른 손으로 원줄을 잡고 놓으면서 낚시대를 위로 치켜들어서 앞으로 투척하는 스윙법
주로 부드러운 미끼를 조심스럽게 투척할때 사용하는 스윙법, 떡밥낚시에 주로 사용한다.

질문내용:
1 풀 혹은 반스윙시 조과차이가 있는지?
-->스윙하는 방법에 따라 조과가 달라지는 경우는 없겠죠? 조황이나 조과는 스윙법과는 거리가 멀다고 봅니다.

-분할채비라서 사선이 거의 없는것 같음
--> 사선입수는 찌의 부력중심과 무게중심에 관한 문제이며 봉돌과는 무관합니다.

2 풀스윙으로 채비를 던지는게 더 멋지지 않나요? ?- 밤낚시에 전자 캐미 사용함
--> 개인 취향에 따라 멋있고 안멋있고 달라 보이지 않을까요? ㅎㅎㅎ

3 반스윙시 채비가 좀 꼬이지 않나요?
--> 채비가 꼬이고 안꼬이고는 글쎄요, 잘 모르겠구요, 좌우간 투척은 같은 곳에 던지는 것이 기본입니다 찌가 지나치게 길어서 봉돌 근처까지 닿을때 원줄과 봉돌이 찌와 엉키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 것이지 스윙법에 따라 꼬이고 안꼬이고 결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4 부드러운 찌올림 방법은?
--> 딱 한가지로 말씀드리기 어려운 질문이네요.

붕어가 한마리 회유하다가 미끼를 발견하고 먹게 된다면 조심스러워 질테고 그만큼 입질도 까다롭고 올리는 양도 많지 않겠죠
하지만, 집어가 된 상태에서 먹이경쟁이 되는 상황이라면 서로 먹으려 들테고 그만큼 올라오는 속도나 양도 빠르고 크게 됩니다.

부드러운 찌올림을 보시려면 2봉바늘보다는 외봉을 쓰는편이 좀더 깔끔하고 우아한 찌올림을 기대할수 있다고 보구요
2봉을 쓰면 동시에 두 미끼를 건드릴 수도 있기 때문에 외봉을 쓸때보다는 입질이 지저분해 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무거운 찌마춤보다는 예민한 찌마춤이 찌올림도 느리고 올라오는 양도 많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구요
정통바닥채비, 스위벨채비, 사슬채비, 분할봉돌채비 등등 채비에 따라서 찌올림이 우아하게 변한다거나 많이 올라온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물속 상황 즉, 붕어의 집어상태에 따라, 수온, 장애물의 유무, 수초의 유무, 유속 등등 찌올림이 달라지는 원인은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추천 1

2등! IP : 59df3349fed2d01
제가 하는 캐스팅은 풀스윙이 아니고 앞치기가 맞는 표현인것 같습니다
추천 1

3등! IP : b58b53946624c1b
붕어천적레인님 께서 상세한 설명 하셨네요
월척에는 고마운 분이 많아서 좋읍니다

장찌님의 질문에는 답변이 충분히 되었다고 보구요
갠적으로 떡밥낚시 하는 입장에서 몇가지만 말씀 드려 볼께요

저도 맹탕지역 좋아라 하고 32대 주력대로
쌍포 4포 6포 8포까지 사용합니다

수심층도 1미터50권이상을 노리고요
찌도 50전 이상 사용하기에~~~

멋진 찌올림은 어느누구나 갈망 하는 맘이지요
찌가 길어서 멋진 올림을 바라는것또한 당연하겠죠
바닦을 전통낚시에 비교하지만..저는 마이너스 채비법으로
환상적인 찌맛을 봅니다

장찌는 앞치기 하기에 번거로움이 다소 있어서 취향은 비슷하겠지만
예민한 마이너스 기법을 권장해 드리고 싶네요

찌 입수시~~2단 3단 으로 안착을 하는방면에
찌올림또한 2단 3단으로 올려주는 맛이
제가 행복해 하는 이유입니다

분활채비로 인해 앞치기를 극복하실듯 하지만
마이너스 채비는 내림과 올림의 끝인 중심점을 찾는게
젤 중요하죠~~~

찌를 투척시 ~~수면에 찌가 가만히 드러누워있다가...
봉돌이 바닦에 안착할 부렵에
유동채비를 통해 찌가 바로 자리를 잡으며
움직이면서 가라앉죠

원줄이 물속에 잠기면서 2단 입수가 되고
글루텐의 무게나 좁살봉돌 하나를 달아주면
마지막 3단으로 찌가 자리를 잡죠

좁살봉돌을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짝바늘의 무게를 윗바늘에 글루텐을
조금 크게 달아서 사용하시면 되구요

글로써 이해를 하셨다면~~고수기질이 있는거구요
내용상 쉬워 보여도 찌맞춤이 관권이기에
현장에서 직접 같이 하시면 좋은데~~~

마이너스 예신이오면 찌가 살짝 가라 앉기에
입질을 놓칠일이 드뭅니다
그냥 제 나름의 기법이 잘통하고 환상적인 찌맛에
긴글 남기고 갑니다 ㅎㅎㅎ
추천 1

IP : f19664e73523eac
질문의 요지는 아마도 앞치기시
1:원줄부터 바늘까지가 일자로 쭉펴지는 풀스윙
2:원하는 지점에 봉돌을떨어뜨려 원줄이 일자로 펴지지 않는 반스윙를 질문하시듯하신듯합니다.

장애물이 없고 수심이 제법나오는곳에서 떡밥낚시할경우(유료터포함)
요사이 한바늘에는 집어떡밥을달고 한바늘에는 먹이떡밥을 달게되는게 보편적인듯합니다.
이경우에 풀스윙하면 찌를중심으로 원을그리며 바늘이 찌밑에 자리하게 되는데..
이과정에서 집어떡밥이 풀리면서 바닥에 닿게됩니다~~
반스윙은 찌가서는곳에 봉돌이 떨어지게 되는데 풀스위의 경우보다 집어떡밥이
풀리는 면적이 적어진다고 봅니다,
물론 시간을두고 많은양의 집어떡밥이 들어간다면 별차이없겠지만,
같은양 같은시간이라면 풀스윙이 집어에 도움이된다고 생각됩니다~

반스윙은 수초등 장애물이 많은 포인트에서
또는 수심이 얕아서 무거운찌맟춤으로 사선입수를 막는용도라고 생각합니다~`
추천 4

IP : 55d4d028dada7b5
앞치기 약하게 해서 투척 하는 방법을 말씀하시는것 같네요 (반스윙)

군계일학 성재현 님의 동영상 강의 보시면 설명 잘 나와있습니다.

참고 하세요
추천 0

IP : bfa4b2fe4647682
풀스윙 혹은 반스윙 보다
떡밥낚시에서 젤 중요한건 한곳에
딱딱 투척하는거라 생각합니다ㅋ
추천 0

IP : 2e08ee1df581a93
저는 딱지터를 주로 다닙니다. 남보다 잘 잡습니다.^^
제 스윙은 언제나 반스윙입니다.

반스윙이 유리한 점은 집어형태가 찌아래에 원형형태라는 점입니다.
자연히 고기들이 찌 밑에서 활동하게 되지요~ 그래서 재수좋게 딱지만 걸리는 경우도 많다는겁니다.^^

풀스윙하면 어떨까요?. 집어형태가 길쭉한 원형형태가 될 겁니다.
어쩌다 고기가 들어와도 바늘에 달린 미끼를 먹을 확률이 떨어질수 밖에요.

찌밑에서 고기가 놀도록 반스윙하십시요.
저는 숙달이되서 찌와 떡밥이 거의 같은 장소에 떨어집니다.줄을 짧게 매서야 합니다.
처음엔 힘들지만 꾸준히 던지다 보면 요령을 터득하게 될것입니다.

남보다 조과를 높이는 방법은 반스윙입니다.^^
추천 0

IP : aa9b6fb74738705
윗글 케미의꿈67님이 답변하신것이 질문의 요지 같습니다.

야구처럼 풀스윙이냐 저스티미트냐의 차이가 아니고 일자로 쭉펴서 투척하느냐 원하는 포인트에 떨구어 투척하느냐의 차이입니다.

반스윙이란 기법이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스냅으로 딱 끊어 줘야 하는데 숙달되지 않으면 오히려 풀스윙 할때보다

밥떨어지는 포인트가 칠락팔락 합니다. 이론상으로 간단할것 같지만 오히려 고수들도 귀찮아서 습관적으로 풀스윙 합니다.

용어가 풀스윙,반스윙으로 명명되었으니 그렇게들 부르지만 풀스윙은 그냥 앞치기고, 반스윙은 떨궈치기 입니다.

반스윙은 바닥면에 약간의 경사가 있어 아무리 앞치기를 잘해도 사선입수가 발생할 소지가 있을때 이를 방지키 위한 때와

주변의 장애물이 있어 포인트 안착이 어려울때, 수초밀생지역 등에서 사용하는 기법으로 찌 하단에 원줄이 이상적인 수직형태를

이루며 채비가 안착된다는 장점이 있는반면 숙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도하면 오히려 풀스윙보다 집어 포인트가 왔다리갔다리 합니다.
추천 3

IP : 89f01d05cadd32f
당찬 찌 맛을 추구하신다면 미터급 찌를 가지고 더더더 채비 맞춤을 해보시면 어떨까요? 찌 맛은 환상입니다..
밤에는 더더욱 멋져요...
추천 0

IP : 5b5cc82ce0de9b5
장찌58님의 질문은 앞치기시 풀스윙과 반스윙 질문이신거 같네요.. ㅋ~ ^^*
풀스윙과 반스윙.. 분명 조과 차이 있습니다.
풀스윙시 채비와 찌의 간격이 최대한으로 벌어진다는겁니다.. 수심이 깊은곳은 당연 채비와 찌의 거리가 더 벌어지겠죠..
즉.. 떡밥낚시에 있어 집어용과 미끼를 따로 2바늘 채비로 하신다면.. 집어 효과는 분명 떨어집니다.. 찌가 자리잡고 내려갈때쯤.. 뒤쪽의 채비가 사선으로 입수되다보면.. 채비보다 뒤쪽에 집어군이 형성되긴 때문이죠..
반스윙은 말그대로 채비와 찌가 30센치정도만 벌어지게 투척하는건데요.. 뭐 거의 찌와 채비가 같은곳에 떨어진다고 보면 되겠네요..
이때는 사선입수도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찌가 자리잡는 그곳에 바로 채비가 같이 내려가기 때문에 집어군도 찌와 동일 지점에 형성되기 때문에 30대 쌍포를 반스윙으로 하신다면.. 집어군이 11자 형태로 멋지게 형성되고 조과는 당연 좋아질수 밖에 없습니다.
저도 떡밥낚시.. 앞치기로 투척을 하는데.. 반스윙이 쉽진 않습니다.. 많은 연습이 필요한듯 하네요.. 짧은 이론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래봅니다.. ㅎ~ ^^*
추천 1

IP : 6660a02ba5646ff
장찌로는 반스윙 어렵습니다. 제경우에는요.
반스윙이 집어면에서는 월등히 효과 있습니다.
위에 분들이 설명하듯이 반스윙 쉽지 않습니다. 장시간의 연습이 필요하죠.
풀스윙에 비해 반스윙이 조과는 당연히 더 좋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