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피라냐는 괜찮을까요??

IP : 1381dbfd15e86b2 날짜 : 조회 : 14167 본문+댓글추천 : 0

궁금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요즘 대형마트에 가보면 관상용 물고기들 파는 곳에서 피라냐를 볼 수 있습니다. 언제부터 수입하여 판매되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주로 남아메리카에서 서식하며 육식성 민물고기로 알려져 있는데요. 공포영화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주인공이기도 하죠ㅎㅎ 물론 관상용으로 수입하여 판매가 가능하다는 것은 관련 검증 기관에서 어느정도 안정성이 검증되었다고 생각됩니다만 혹시나 가정에서 관상용으로 키우다 우리의 저수지나 강계로 흘러들었을 경우 생태계에 문제가 되지 않을런지 조심스럽게 걱정이 되네요. 제 생각에는 열대성 물고기이기 때문에 저수지나 강계로 흘러들었을 때도 기후의 차이로 인해 생존이 힘들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요. 이 분야에 대한 전문가가 아니어서 여러분들에게 걱정스런 마음에 고견을 듣고 싶네요. 지금 현재 우리 주위에 많은 생태계교란종(배스,블루길,붉은귀거북,뉴트리아,황소개구리 등)이 우리의 토종 생태계를 많이 어지럽히고 있는데요. 피라냐가 혹시 여기에 합류하지는 않겠지요?? 혹시나 관상용물고기 업종에 종사하시는 분들에게 피해가 가지는 않을런지 또 걱정이 되네요ㅠㅠ

2등! IP : ed04b6c304fbb1d
피라냐는 한국에서 절대 겨울을 나지 못합니다.

수온 10도 정도만 되도 잘 움직이지 못하고요

수온 5도아래로 떨어지면 모두 죽습니다

수입되는 어종 대부분이 열대어종이라.. 국내에서 자체 생존할 가능성은 없습니다.

간혹 대형 냉수어종이 수입되기도 합니다만... 대부분 비단잉어와 금붕어류 (수입종에서는 콜드피쉬라고 분류됩니다)이며.. 이런 어종은 국내 생태계에 아무런 해도 되지 않습니다.

현재 수입이 허거된 거북류는 모두 열대거북 종이고, 자라만 냉수에 적응됩니다만, 자라는 국내종과 같이 분류되니 거의 문제 없구요. 국내 거북종인 남생이도 현재 중국산 남생이는 수입이 금지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수입 관상어종은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만, 제가볼땐 생소한 식용 어종 수입이 더 문제가 될수 있다고봅니다
추천 3

3등! IP : e28c27336aa0da6
같은 열대어종인 틸라피아(역돔)도 번식까지는 몰라도 살아남습니다
특히 깊은 호소에서는 충분히 살아 남습니다

절대 이식은 있어서는 안되는 일입니다
물놀이하는 사람들 종아리 물어 뜯습니다 ㅠㅠ
추천 0

IP : 48bb3b76a0bba6f
블루길을 보면 답이 있지요...블루길도 열대어로 알고있는데 살아남은정도가 아니죠...피랴냐..충분히 적응해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입니다..
추천 1

IP : b4a805447322d85
불루길 , 입큰베스 , 붉은뺨거북, 황소개구리, 뉴트리아

당국에선 모두 한국의 겨울을 견디지 못할 것이라고 했읍니다

하지만 모두 적응해서 토착화 되었지요

한국에서 토착화에 실패한 수입 동물은 식용달팽이 뿐입니다
(이넘이 문재를 발생시키지 안을뿐 어딘가에 살아 있을수도 있읍)
추천 0

IP : 5a27ba095c43547
정력에 좋다~~~카머 멸종 되뿜니더 걱정을 마셈...그래도 사알 걱정되넹...ㅋ
추천 0

IP : 0b518b5f0a377b1
영화에서 나오는 피라냐랑 수입되는건 틀린 종으로 알고 있습니다.. 영화에서 나오는 피라냐 자체가 좀 과장되어진것도있지만요.
그런데 tv서 보니까 남미 어느 휴양지에서 100여명의 사람을 물어서 다치게한 사건도 나오더라구요.. 그일에 대한 방법으로 틸라피아를 풀어서 피라냐알을 먹게 하고 나중에 틸라피아를 잡아서 수익을 올린다고 하네요.. 잘못 하면 우리나라 배스나 블루길 꼴 날수 있는데...

수입되어지는 종류는 동남아에서 번식되어져 수입되어지는 개체로 번식시키기 어렵고 적응력도 많이 떨어져서 키우기가 까다로운고기라고 들었습니다.. 자연상태로 유입되어져 번식또는 적응되어지긴 쉽지 안을꺼 같습니다.. 그렇지만 역시 적응되어지는 녀석들도 있을수 있으니 조심해서 나쁠건 없겠죠... 틸라피아도 더운물이 나오는곳에선 겨울에도 살고 있으니까 말이죠.. 일반 저수지에서는 전부 폐사합니다..
추천 0

IP : 02cffb9ebeef52b
이미 중국에서 피라냐에의해 피해를 입은사람이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피라냐가 중국하천에 유입된 경로역시 관상용으로 들어온것을 누군가 방생한것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하구요.
정말 추운물에서는 살지못한다면 다행이겠지만 만약에 우리나라 환경에 적응해 퍼지기라도 한다면...
상상하기도 싫어지는군요...
추천 0

IP : 00e6737037a7ee8
우리나라 기후엔 피라냐 절대 못삽니다.
한여름엔 살았다쳐도, 물속에서 뜨거운 온천물 나오는곳이 없다면 100퍼 폐사 할겁니다.
아마존, 페루등 남이 괴기가 우리나라에 산다면
이건 해외토픽 감일 거에요.
추천 0

IP : 1d9f6c4a044c0f7
오늘 tv에 나온 내용과 관련된 질문 인것같네요
한국보다 더 추우면 추운곳 중국에서도 관상용으로 키우다 경제력으로 감당키 힘들어 하천이나 저수지에
방류된 피라냐가 사람을 공격한 사건이 여럿있다고
오늘 방송에 나오더군요. 번식력또한 엄청나다고 합니다. 절때 이런일이 없어야 합니다.
일본도 관상용으로 키워지다 버려지는 관상어들의 반란이란 방송도했던적이 있습니다. 특히 이름은 기억이 나지않지만 아마존대형관상어(가물치와 비슷)가
한 강가에서 어린아이를 삼켰다는 방송였습니다.
다큰 고기에 길이는3m에 육박한다고하니...
무조건 방류해선 아니됩니다~~~
추천 0

IP : dee0e317e2d4ddb
수원 원천천 하류 병점 비행장도로옆 수심낮은 하천에 틸라피아 엄청 많아요. 원천천 몇년전까지 낚시가능했는데 많이들 아실겁니다. 지렁이달아서 맘만먹으면 20~40수이상 잡지요. 그 얕은 수심에 얼음얼고 겨울나도 해빙만되면 또 얼마든지 나옵니다. 번식이되었다는증거로 개체수나 씨알작은놈들도 섞여올라옵니다. 누군가 다양한 씨알로 지속적으로 방생을 할리도없거든요.

무조건 이식에 실패한다고 단정지을수는 없는노릇입니다.

반도의 남해안이나 동해안에서 주로 잡히는 어종도 많이 바뀐지 벌써 오래입니다.

환경도 변했고 생각보다 많은 종의 생물들은 생각보다 뛰어난 적응력을 지니고있지요.

진화론이 맞다면 그 생물들은 그 바뀐 생태계에 맞게 또 변이 또는 진화하여 살아갈테지요.
추천 0

IP : 225c9456e0b1139
논에 사는 왕우렁이 절대 겨울 못난다 하고 들여 왔는데..
알 잘 낳고 잘 살고 있죠???
추천 0

IP : 1798f78c86ddc9e
절대 이식해서는 안될 일입니다. 점점 걱정되는군요. 수입금지조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피라냐도 생명체라고 생명을 가엾이 여겨 방생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있을테니까요. 사전에 근절시켜야만 해결될 일입니다. 들여오는 행위자체를 원천 차단하는 방법이 가장 현명할 듯 싶습니다.
추천 0

IP : 17a405e349318f7
열대어라도...자연환경이 바뀌면 스스로 적응을 합니다.
적응하고 난 녀석들이 산란을할경우 2차 개체들은 그냥...태어난곳이 고향이 되는겁니다
토종어종 보호에 힘써야 될것 같습니다
추천 0

IP : 7a9c9a7a4eb6005
이 논제는 상당히 민감한 소재인거 같은데...

근거없는 '카더라통신'형 답변은 오히려 많은 사람들에서 혼동을 불러일으키지 않을까요?
추천 0

IP : 29aa48f8686936e
상식으로 대 자연의 섭리를 가늠하려는 시도자체에 반대합니다.
추천 0

IP : d1c7d9ddf536ac9
저 위의 한점님글에 동의 합니다.
그곳에 우연히 낚시중 민물역돔이 잡히드라구요.
모래를 파고 일을낳고 보호도 하고 진짜로 큰놈들은 빨래판만하기도 해요.
가을에 지렁이로 릴을 던지면 두서너마리씩 올라오기도 합니다.
황구지천은 물이 더러워서 겨울에도 물이 얼지않고 김이 모락모락 나거덩요.
겨울에도 낚을해보니 낚이더라구요. 처음에는 겨울에 많이 죽어나갔었는데 지금은 적응이되었는지
새끼서 부터 큰놈들까지 있어요. 지금은 낚시금지구역이라 못해봤지만 이년전까지만 해도
짬낚으로 손맛보기는 쵝오의 장소였는데............
추천 0

IP : 6d755ca9838045f
맞아요 대구 똥통은 얼지않아요~ㅋㅋ
금호강에 역돔 풀었는데 아직 잘살아가죠
사람이나 동물이나 어딜가든 적응해서 살아가죠
피라냐 헐 무섭네요 블루길꼴나면 참 대략난감
추천 0

IP : dd449a30a4ed9d2
피라냐는 떼거지로 있을때가 위험하다고 보여지는데요.... 몇년전...겨울추위에 가물이도 얼어죽던데...
과연 피라냐가 살수있을지....
추천 0

IP : 3e046372f413427
중국은 피라냐 강에서 잡힌답니다~
관상용을 누가 풀어서...
우리나라도 안되라는 법없겠지요~
처음에는 다 못산다고 하다가 번식에 극성까지 된게 황소 개구리,역돔,배스,블루길,뉴드리아 등등~
뭐 믿을만해야줘 발표하는게~다 문제 없다해놓고 문제 안되는게 없으니...
동식물은 어떠한 환경에서 지가 살아남으려 하면 그상황에 적응 합니다~
인간이 극지방에서 살듯~
피라냐 언넘이 승인했는지 몰라도 나중에 이거 퍼저서 돌아다니면 그 승인한넘이 다잡아 없에나요?
추천 0

IP : a18d98fb5af8e4e
피라냐는 죽는다 치고........
블루길은 토종어류들 어느정도 크면 못잡아먹는다 치고
베스낚시 손맛즐긴다 치고......

대체 다른저수지에 이사 시키는 새끼들은 모냐 ㅡㅡ
생태계를 모르는 몰지각한 인간들 같으니라고
언제 걸리기만햐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