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줄이 카본이냐 모노줄이냐에 따라 달라지는데요...수조에서 원줄없이 맞추시면 현장에서 찌맞춤은 천지 차이 입니다.저부력찌인가 고부력찌인가에 따라 달라지고요,원줄 무게 대문에 찌가 가볍든가 무겁게 맞춰지는가 엄청 차이 납니다.찌가 많이 무거우면 붕어가 입질을 해도 모르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흔히 자연빵이라고 합니다.떡밥 갈아줄라고 대 들었는데 고기가 걸려있는경우가 대다수입니다.)수조 찌 맞춤은 현장 상황 그대로(찌 멈춤고무,핀크랩,원줄,봉돌 등등)하여 맞춤하시는게 현장에서 오차를 줄일수 있는 최선의 방법입니다.가장 좋은 방법은 10분 투자해서 현장에서 찌 맞춤한는게 가장 바랍직합니다.
올 채비(카본원줄,바늘,캐미)해서 찌꽂이 끝에 맞춤합니다.
이렇게 해도 현장에선 봉돌 가라 앉습니다.
그리고 수십회 출조 하다보면 봉돌의 철분이 빠져 조금 가벼워 집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원줄에 핀도래 장착 채비로 중층 쇠 O링(대)로 가감 해서 무게를 맘대로 조정합니다.
3등 하신 조사님 때문에 이런글을 또 올리게 되네요...ㅠㅠ
다른분들 다 맞는 말 하시는데 왜그러시느지... 헷갈리게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ㅎㅎ
3등 하신분 얘기는 질문하신분이 틀렸거나 정 반대의 말을 했을때 하시면 될 일 이지 왜 해당도 안되는 말에 헷갈리게 하시냐고요...
질문자의 질문에 맞는 대답만 해주시기를 바랍니다.
질문자의 대답에 잘 맞는 대답은 간단하게 " 네 그렇게 맞추시면 봉돌이 바닥에 닿습니다." 이러면 됩니다.
그렇다고 틀리다는 말은 아니고 초보자도 보는 곳이기 때문에 그리하시라는 의미입니다.
2등하신분 대답은 본인이 직접해보고 경험하신후 적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어떤땐 목줄이 길때가 좋고 어떤땐 목줄이 짧을때가 좋을때가 분명있으니까요...^^
한가지 팁을 드린다면 물속에 부유물(돌,수초 등등)이 많을때는 최대한 찌맞춤을 가볍게 쓰시고 목줄 길이도 이때는 길게 쓰시는게 좋습니다.
이유는 수초일 경우 미끼가 보여야 하는데 무거운 찌맞춤은 봉돌이 수초속으로 파고 들어가기때문에 미끼도 같이 수초속에 파묻힐 수 있으므로(이해되시죠?)
돌속도 마찬가지 돌 사이로 미끼가 들어가면 붕어가 먹고 싶어도 먹을 수 없기 때문에 입질을 못 볼 수가 또 확률이 떨어진다는 얘기입니다...^^
그럼 충분한 답이 되었는지요? 언제나 즐낚하세요...ㅎㅎ
내가 낚시한 자리는 내가 치우는 멋진 낚시꾼이 되시길 바랍니다.
한가지 덧붙인다면 카본줄,모노줄 얘기하시는 분 얘기는 듣지 마세요. 뭐 맞는 말이지만 쓸데없는 말 입니다. 여기서는
왜냐하면 질문하는 질문으로는 절대 모노줄을 쓴다고 해서 봉돌이 뜨지 않으니까요!! 즉, 수조통에서 수평맞춤으로는 현장 찌맞춤이 절대 무거운 채비가 되므로 봉돌이 무조건 바닥에 안착이 된다 이 말씀입니다. 대신 대류가 심하거나 흐르는 강에서는 모노줄은 주의하시면 됩니다.
이상끝!! 열받아서 장문의 글을 올렸네요...ㅎㅎ
25센치
고로수조'수평맞춤'은노지에서무거운맞춤..바닥안착하기에충분한맞춤입니다.
무바늘찌맞춤이정석으로자리했습니다.
저는수조찌맞춤후노지(현장)에서수심맞추면서봉돌가감합니다.출조지여건에따라..'쿵'인지'살짝'인지를결정합니다. 쿵일때는찌맞춤과찌탑노출이동일하고..살짝일때는찌맞춤보다찌탑노출1~2마디노출하면바닥에잘~안착하는거같습니다.
활성도 좋을때는 괜찮지만
그렇지 않은경우 무거울수있어요
저같은 경우 수조통에서 한마디에서 한마디반정도로 찌맞춤합니다.
노지에 가서는 그대루 낚시 합니다.
또한 모노줄인지 카본줄인지 알아야 되고, 카본줄이 더 무겁지요.
노지 현장 찌맛춤이 제일 정확합니다~~
조금 둔한? 무거운 대물채비를 구사하신다면 지금처럼 하시면 되구요!
몇 목으로 찌맞춤했냐보단 현장에서 몇 목을 내놓고 하느냐가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
예ᆢ5톱이나온다 4톱만큼 찌를 내립니다.던져서 다시1톱만큼 나온다 그대로해도 상관없고 미세하게 한톱만큼 다시내리고하셔도 됩니다.. 케미톱이 잠기면 표면장력이란게 생기겠지만 너무예민한체비가아니라면 무시하시고요 표면장력때문에 톱을마니내놓게되면 붕어는 봉돌무게를 고스란히 들어올리는 수고를해야겠지요
이렇게 해도 현장에선 봉돌 가라 앉습니다.
그리고 수십회 출조 하다보면 봉돌의 철분이 빠져 조금 가벼워 집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원줄에 핀도래 장착 채비로 중층 쇠 O링(대)로 가감 해서 무게를 맘대로 조정합니다.
다른분들 다 맞는 말 하시는데 왜그러시느지... 헷갈리게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ㅎㅎ
3등 하신분 얘기는 질문하신분이 틀렸거나 정 반대의 말을 했을때 하시면 될 일 이지 왜 해당도 안되는 말에 헷갈리게 하시냐고요...
질문자의 질문에 맞는 대답만 해주시기를 바랍니다.
질문자의 대답에 잘 맞는 대답은 간단하게 " 네 그렇게 맞추시면 봉돌이 바닥에 닿습니다." 이러면 됩니다.
그렇다고 틀리다는 말은 아니고 초보자도 보는 곳이기 때문에 그리하시라는 의미입니다.
2등하신분 대답은 본인이 직접해보고 경험하신후 적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어떤땐 목줄이 길때가 좋고 어떤땐 목줄이 짧을때가 좋을때가 분명있으니까요...^^
한가지 팁을 드린다면 물속에 부유물(돌,수초 등등)이 많을때는 최대한 찌맞춤을 가볍게 쓰시고 목줄 길이도 이때는 길게 쓰시는게 좋습니다.
이유는 수초일 경우 미끼가 보여야 하는데 무거운 찌맞춤은 봉돌이 수초속으로 파고 들어가기때문에 미끼도 같이 수초속에 파묻힐 수 있으므로(이해되시죠?)
돌속도 마찬가지 돌 사이로 미끼가 들어가면 붕어가 먹고 싶어도 먹을 수 없기 때문에 입질을 못 볼 수가 또 확률이 떨어진다는 얘기입니다...^^
그럼 충분한 답이 되었는지요? 언제나 즐낚하세요...ㅎㅎ
내가 낚시한 자리는 내가 치우는 멋진 낚시꾼이 되시길 바랍니다.
한가지 덧붙인다면 카본줄,모노줄 얘기하시는 분 얘기는 듣지 마세요. 뭐 맞는 말이지만 쓸데없는 말 입니다. 여기서는
왜냐하면 질문하는 질문으로는 절대 모노줄을 쓴다고 해서 봉돌이 뜨지 않으니까요!! 즉, 수조통에서 수평맞춤으로는 현장 찌맞춤이 절대 무거운 채비가 되므로 봉돌이 무조건 바닥에 안착이 된다 이 말씀입니다. 대신 대류가 심하거나 흐르는 강에서는 모노줄은 주의하시면 됩니다.
이상끝!! 열받아서 장문의 글을 올렸네요...ㅎㅎ
깔짝 깔~ 짝 하다가
쭈 ~~ 욱 올라오면 투~욱 당기면
묵직허니 좋습니다
시원한 캔맥주 하 나 따서 마시고
하늘을 바라다 보면 소쩍 새가 울어대고 ..^&^
낚시는 그 맛 입니다
과학적이고 안정적인 찌맞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