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그림을 보면서 질문할께요.
1. 고무스토퍼 끼고 6호 고리봉돌 구멍에 둘다 끼고 다시 고무스토퍼
2. 그 다음이 세미플로팅 원줄이라고 적혀 있는데 저는 그게 먼지는 모르겠고 4호줄 써요.
3. 분납스위벨 끼웠습니다.(무매듭입니다.)
4. 찌를 끼우고 케미를 끼웠습니다.
5. 분남스위벨과 본봉돌 거리는 15cm정도 했습니다.
6. 던져서 수심을 찌탑 한마디 정도 보이게 마췄습니다.
7. 찌를 30~50정도 내리고 본봉돌을 니퍼로 겁나게 깍았습니다. 케미가 전부 노출될 때까지 깍았습니다.
8. 찌를 다시 수심에 마춰서 움직이고 지탑 반목정도 보이게 해서 마췄습니다.
9. 바늘 6호를 달아서 낚시시작!
10. 아쿠아텍2 120정도 글루텐 100 물 100 했어요
11. 안잡혔습니다. 여기서 문제점이 뭘까요? 본봉돌보다 분납스위벨이 조금 더 무거워보이던데..외관상 본봉돌이 많이 얇아졌어요
12. 해결부탁드려요~ㅠ 찌 부력은 몇인지 모르겠으나 부력이 더 높을것을 쓰고 본봉돌이 더 무겁게 해야되나..ㅠㅠ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기본 붕어나 잉어 메기는 원본돌이 진리인가..
전화주신분들 문자 주신분들 감사합니다
꼭한번 같이 낚시해보고 싶어요
결론은가벼운찌맟춤인죠
캐미끝이나약간만나올정도로맟추시고
실제낚시투척시엔한마디이상내놓으셔아
스위벨이안정적으로바닥에닿아
조은입질을기대할듯합니다
저도 카본 4호로는 해본적이 없어서
채비는 시간이 지나면서 몸에 숙달되고 낚시에 대한 이해가 쌓이다 보면 채비는 변형이 가능하고 완성도가 높아 질거라 보여집니다.
해결사, 스위벨, 좁쌀 채비 원리는 똑같습니다. 꼭그렇게만 해야 잡히는건 아닙니다. 채비가 중요하긴하나 별로 중요하진 않은거 같습니다.
제생각인데 낚시를 하신곳을 한번 살펴 보심이 어떨까 합니다. 만일 노지라면 포인트 선정을...
양어장가시고 조사님들이 만석이고 또는 낚시터 특징이라던지 등등이요... 떡밥도 확인해보심이...
잔챙이들 성화가 심한곳이면 미끼가 남아나질 않습니다. 잘먹히는 미끼도 다르고요
자신의 채비를 믿으세요 그리고 다른거에 신경 쓰시면 잘잡힐겁니다. 채비에 신경쓰시다보면 머리많이 아픕니다.
개인적인 생각이니 걸러들으시길 부탁드립니다.
카본 원줄보다, 비중이 가벼워 물속에서도 완전히 가라앉지 않아서, 고기가 물고 들어올렸을때 카본줄에 비해 예민한 찌 올림을 볼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쪽지 남겨드립니다^^;;
가람 김중석님 자료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