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맞춤은 시간적여유가 없어 현장에서 찌맞춤을 하지 못할때나 채비가 어떤모양인지 어떤역할을 잘할수 있는지 보는것으로만 이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수조에서 정확하게 맞춘다 한들 현장상황 수온, 탁도, 수심등을 전부 적용시켜 정확하게 맞추지는 못합니다.
수조찌맞춤너무 신경쓰지 마시고 시간적 여유가 되신다면 현장찌맞춤울 정확히하시는게 더욱더 도움이 된다고봅니다.
현장에서 표준맞춤이 된다면 표준맞춤 정확하신거에요. 수조에 비해 원줄이나 수심등의 변수가 존재하니까요
수조에서 마이너스 맞추시고, 현장가서 담궈보시면 대부분 원줄무게 등이 반영되서 수평맞춤 됩니다. 다만, 원줄, 찌고무 등 사용하는 채비의 무게를 감안하시어, 현장 정밀맞춤 후 결과를 반영하시어 수조맞춤목을 미리 설정해 두시면 좋습니다. 저같은 경우 카본2.5, 원줄, 바늘무게만 빼고 수조 한목반 마이너스 맞추면 3.6까지는 현장 수평맞춤 됩니다. 입질 형태에 따라 오링으로 가감하면 현장맞춤 시간도 절약되고 충분히 조절 가능하십니다.
수조에서 정확하게 맞춘다 한들 현장상황 수온, 탁도, 수심등을 전부 적용시켜 정확하게 맞추지는 못합니다.
수조찌맞춤너무 신경쓰지 마시고 시간적 여유가 되신다면 현장찌맞춤울 정확히하시는게 더욱더 도움이 된다고봅니다.
현장에서 표준맞춤이 된다면 표준맞춤 정확하신거에요. 수조에 비해 원줄이나 수심등의 변수가 존재하니까요
요즘은 활성도가 좋으니 별 문제 없을것 같습니다.
저수지마다 상황이 조금씩 다를수있는데 너무예민하게 생각하지마시고 편안하게 낚시즐기는게 좋을듯합니다
원줄없이 바늘없이 수조통에서 수평이되게하면 현장에선 거의 봉돌이 바닥에 안착합니다
현장 상황이 수초가 찌들어 맞춤 확인이 어려운 상황에 다시 하고 있을 여건이 않될 경우도 많지요.
일단 수조에서 다른거 달지 말고 봉돌만 달아서 케미 중간 정도에 대략 맞추고
현장에선 걍 낚시 하셔두 아무런 하자가 없습니다...그 정도면 현장에선 수평맞춤 정도 됩니다.
현장에선 원줄이 있어 수심에 따라 수조와는 다른 조건인것은 확실하구요.
당연히 현장에서 확인하면 좋겠지만 그러지 못할 경우도 다반사이니 걍 진행 하셔두 됩니다.
찌맞춤을 얼마나 정확히 해야 하는가는 개인 취향 이겠으나
대략 수조맞춤 만으로 낚시를 해도 되며 찌맞춤은 대물낚시 장르에서 비중이 극미합니다.
다만 수심에 따라 찌맞춤 정도의 차이는 있다~ 라는 것을 알고
대략 본인의 원줄과 연상하여 이정도~의 차이가 있겠구나...라고 알고는 하셔야 겠지요.
맨바닥권에 펴신다면 던져보면서 대략 찌맞춤이 어느정도에 되었구나~ 확인은 하시는 것이 좋겠죠.
아무래도 맨바닥권에 쓸데없이 무거운 맞춤을 하실 필요는 없으니 말입니다.
그렇다 해서 확인을 하되 전부 찌맞춤 다시 하고 있을 필요도 없습니다.
대 전부 널어놓고 미심쩍은 놈만 확인 한번씩 하는 수준에서 찌맞춤은 끝내는 걸로 하시면 좋을듯 하군요.
상황적으로 많지 않은 대를 펴며 떡밥낚시를 하게될때...
이럴때라면 확인 한번씩 해주는 것이 낚시를 잘 하는 방법이 되겠죠.
쓸데없이 찌맞춤에 반감을 가질 필요도 없고
그것에 필요 이상 비중을 두어 낚시를 할 필요도 없는 것이죠.
설혹 아주 무거운 맞춤이 되었어도 수초밭이라면 원줄이 수초위에 얹혀
찌를 누르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없습니다... 유연하게 하시자구요~ 극단적으로 이렇다~저렇다 말구요..
외부 영향이 많겠죠...수조에서 대충 마추시고 현장에서 미세조정 하심이...
저 같은 경우에는 걍 수조에서 마춤하면 대략 수로나 저수지 다 맞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