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케미/바늘 을 부착하고 수면에 케미고무 까지 나오게 봉돌을 깍아 찌맞춤 을 하면 실제 수심측정후 낚시시(2~3톱노출) 봉돌이 바닥에 닿게 되나요,바늘(미끼부착)만 바닥에 닿게 되는 것인가요.?
저수온기 예민한 찌맞춤 으로 알고써왓는데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찌 모양이나 부력크기, 혹은 찌중량, 찌 재질, 원줄종류 및 홋수, 목줄종류 및 홋수 길이에 따라 찌맞춤이 전부 다 달라지지 않나요?
저부력 40cm이내 짧은 찌라면 혹여 바늘만 바닥에 닿고 목줄은 휘어져 봉돌이 바닥에서 2~3cm 떠있을 수 있겠지만,
그 찌맞춤 상태로 현장 수심 1~3m 정도라고 가정했을 때, 그 현장수심에서 2~3마디 찌톱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어떻게 바늘만 바닥에 닿고 봉돌은 완벽하게 수중에 떠있을 수 있다고 장담을 하실 수 있는지...
같은 모양의 찌, 같은 부력의 찌도 낚시대 길이에 따라, 포인트 바닥 상태에 따라, 계절에 따라, 낚시하는 곳 성격에 따라 찌맞춤이 달라진다는 사실은, 많은 낚시꾼들을 지치게 만들곤 하지요.
그게 귀찮고 번거롭고 순진한 붕어 덕에 예민한 찌맞춤이 필요 없거나 그런 예민한 채비 아니고도 붕어를 낚을 수 있다거나 하는 많은 이유와 변명 때문에라도 그냥 편하게 바닥낚시 즐기시는 분들이 많은 이유겠지요.
원봉돌로 예민한 찌맞춤을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분할봉돌 채비나 내림으로 하시면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만...
원줄을 카본이냐 모노줄이냐에 따라서
찌맞춤을 달리 하여야 합니다.
저는 카본3.5호 분할체비 사용하는데
현장에서 수심을 1.5m정도 주고(실제 수심은 더 깊은곳에서)
원줄이 떠있는 상태에서
찌가 살포시 내려가서 케미꽂이에 맞도록 하고,
(케미가 물속에 잠겼다 올라와서 케미꽂이에
찌맞춤되는것은 조금 덜 예민한 찌맞춤이 됩니다).
실제 수심에 맞추어서 낚시하면 원줄 무게로 해서
찌가 2단입수되면서 봉돌은 바닦에 살짝닫게 됩니다.
내년 봄 예민한시즌 지나고 5월정도 되면
원봉돌 채비로 갈려고 준비 해놨습니다.
찌맞춤이 넘 귀찮아서리....
그렇게 찌맞춤하시고 바늘을 한번 떼어보세요
바늘 떼고 봉돌만 달렸을때의 찌맞춤을 한번 확인해보세요
바늘 없이 똑같은 찌맞춤이라면 봉돌은 바닥에 닿아있습니다.
바늘 없이 찌맞춤이 틀리다면 봉돌은 떠있습니다.
봉돌을 바닥에 닿게 하실려면 바늘없이 확인하신 찌맞춤 목수보다 +2~3목은 더 내어놓고 하셔야합니다.
그리고 목줄길이가 길다면 +2~3목으로는 충분하지 않으십니다. 찌가 누울때까지 올리셨다 똑바로 써는 지점까지
내어 놓으셔야 합니다.
바늘크기도 상관이 있구요....목줄두께도 상관이 있습니다. 목줄이 지나치게 뻣뻣하면 문제가 생깁니다.
궁금하시면......그 상황에서 목줄을 자르시고 다시 던져보세요... 두목을 내놓고 낚시 하셨다면...목줄자른후 그대로 던져서 2목이 나온다면 봉돌이 닿은거겠지요.....그다은 스토퍼를 10센티만 내려서 다시 던져보세요...이 상황이라면 당연히 봉돌이 떠있는 상황이어야겠지요......그때 몇목이 나오는지 확인해보세요.......확신이 생기실겁니다......개인간의 채비 바늘 목줄 현장상황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무겁게 쓰는 채비라면 상관이 없지만 가볍게 쓰려고하는 채비일수록 이런경우에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던져서 확인해보세요...그럼 의구심이 바로 없어집니다.
미안하지만 어신충만,지수기 같은 분들은 도대체 낚시를 할 줄 아는 건지 참 의아스럽습니다.
수조통에서 해도 그정도면 수심만 정확하다면 무조건 봉돌이 닿습니다.
아마 던져서 찌가 입수하기 시작하고 내려가다가 멈춰섰다가 목줄길이만큼 아마 이단입수를 할 겁니다. 그쵸?
단, 원줄무게나 수압,탁도,조류 등에 의해서 그렇게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럴때는 봉돌을 25~30cm정도 찌를 올리신 다음(단, 목줄이 길면 더 올려야 겠죠...ㅎㅎ) 케미 고무밑 즉 찌톱이 약간 보이게 찌맞춤을 다시 합니다. 그런뒤 다시 해보시면 목줄 길이만큼 이단입수를 할 겁니다.
이단입수란? 채비를 모두 갖춘(케미+케미고무+찌+봉돌+목줄+바늘)후 물속에 던졌을때 찌가 자립할때부터 천천히 입수하다가 제일먼저 바늘이 물속 바닥에 닿고 그다음 목줄길이 만큼 이단으로 봉돌이 물속 바닥에 닿는 것 을 말합니다.
그럼 늘 즐낚하세요. 당부하나하면, 입질이 좋을때는 챔질 타이밍 잡기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꼭 입질이 예민할때만 사용하길 권장합니다. 만약 활성도가 좋을때면 편납을 감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상 끝.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단 목줄의 부드러운정도에따라 변화가 있겠지요.
현장에서 한마디맞춤했으면 두마디이상은 더올려놓아야 안정적으로 안착이됩니다.
찌를 올리면 올린만큼 목줄이휘게됩니다
유동봉돌 사용시 핀도래(무게가 가벼운경우)가 누어있는 형태로 슬로프 낚시가 되기도 합니다
하우스낚시에서 높은찌 올림을볼수 있습니다
검정색 케미고무 상단일때와 하단 즉찌톱바로위
까지로 찌맞춤 해보시면 상당한량의 봉돌을 더
깎아야 한다는것을 느낄 겁니다
여기서 본봉돌이 바닦에 있느냐 아니면 떠있는냐가
갈라집니다
물론 찌톱이 보일정도로 케미고무 맨밑에 부력을
맞추면 바늘만 바닥에닫고 봉돌은 떠있는 상황이
연출 되겠죠~~!!
너무 예민한낚시를 구사할려고 하지마시구요
중요한건 원줄과목줄 그리고 바늘의크기나
목줄의길이가 승패를 좌우한다고 생각하세요
건강하시구요~~^^
저부력 40cm이내 짧은 찌라면 혹여 바늘만 바닥에 닿고 목줄은 휘어져 봉돌이 바닥에서 2~3cm 떠있을 수 있겠지만,
그 찌맞춤 상태로 현장 수심 1~3m 정도라고 가정했을 때, 그 현장수심에서 2~3마디 찌톱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어떻게 바늘만 바닥에 닿고 봉돌은 완벽하게 수중에 떠있을 수 있다고 장담을 하실 수 있는지...
같은 모양의 찌, 같은 부력의 찌도 낚시대 길이에 따라, 포인트 바닥 상태에 따라, 계절에 따라, 낚시하는 곳 성격에 따라 찌맞춤이 달라진다는 사실은, 많은 낚시꾼들을 지치게 만들곤 하지요.
그게 귀찮고 번거롭고 순진한 붕어 덕에 예민한 찌맞춤이 필요 없거나 그런 예민한 채비 아니고도 붕어를 낚을 수 있다거나 하는 많은 이유와 변명 때문에라도 그냥 편하게 바닥낚시 즐기시는 분들이 많은 이유겠지요.
원봉돌로 예민한 찌맞춤을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분할봉돌 채비나 내림으로 하시면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만...
봉돌은 확실히 바닥에 안착됩니다.....
추가적으로
모노사일경우 =봉돌떠있습니다.
카본사일경우 =원줄무게까지정확하게 포함되게
찌맞춤이 되었다면 봉돌 뜹니다.
어설픈찌맞춤이 되어 카본사의
누름현상으로 봉돌이 닿을수도
있습니다.
카본사를 사용할경우 호수에따라 줄의무게가
많이작용하여 변수가 많습니다.
목욕탕이라도가셔서 확인해보셔요! ㅎ
스위벨채비에 관해서 상세하게 나와있습니다.
동영상까지 포함해서 아주 자세하게 나와있어요
더 예민하길 원하신다면 케미고무만 노출 정도?
스위벨채비는 미끼에따라 원줄두께와 목줄 길이가 달라집니다.
제가 사용중인 스위벨채비는 생미끼또는 옥수수사용합니다.
카본사원줄,PE합사몰줄인데, 30대까지는 바늘없이 케미60%노출 30대 이상은 케미 30%노출로 찌맞춤한후
낚시할때는 찌톱 반마디 내놓고합니다. 참고만 하시길...!
극단적으로 찌를 올리셔야 바닥에 닿을겁니다.
동절기에 극단적으로 예민한채비를 하고자 하신다면 저푼수대의 찌일것이고 바늘두개의 무게가 찌톱2목정도의 침력을 가지게될것이라 생각됩니다.
바늘두개가 땅에닿으면 찌는 바늘의 무게만큼 부상력이 생기게되고 그로인해 바늘두개가 바닥에 나뒹굴게되면 추가로 찌가 두목수만큼 올라올것이고 그로인해 봉돌이 뜬상태가 유지됩니다.
좁살봉돌채비에서 찌를 아무리올려봐도 본봉돌은 바닿에 닿지못합니다. 찌가누울정도되야 닿겠죠?
마찬가지로 바늘달고 찌맞춤은 바늘이 좁살봉돌과 같은 역활을 하게됩니다. 그렇기에 바닥에 닿지못한다 라고 생각되네요.
수정이 안되는군요. 낚시에 절대적인건 없는데 죄송합니다.
풍덩처럼..봉돌이 바닥에 꾹 찍을 정도는 아니지만..
2마디 노출하여 낚시하므로 바늘과봉돌사이의.목줄은 바닥에
깔리는 슬로프 형태가 됩니다.
찌맞춤을 달리 하여야 합니다.
저는 카본3.5호 분할체비 사용하는데
현장에서 수심을 1.5m정도 주고(실제 수심은 더 깊은곳에서)
원줄이 떠있는 상태에서
찌가 살포시 내려가서 케미꽂이에 맞도록 하고,
(케미가 물속에 잠겼다 올라와서 케미꽂이에
찌맞춤되는것은 조금 덜 예민한 찌맞춤이 됩니다).
실제 수심에 맞추어서 낚시하면 원줄 무게로 해서
찌가 2단입수되면서 봉돌은 바닦에 살짝닫게 됩니다.
내년 봄 예민한시즌 지나고 5월정도 되면
원봉돌 채비로 갈려고 준비 해놨습니다.
찌맞춤이 넘 귀찮아서리....
바늘 떼고 봉돌만 달렸을때의 찌맞춤을 한번 확인해보세요
바늘 없이 똑같은 찌맞춤이라면 봉돌은 바닥에 닿아있습니다.
바늘 없이 찌맞춤이 틀리다면 봉돌은 떠있습니다.
봉돌을 바닥에 닿게 하실려면 바늘없이 확인하신 찌맞춤 목수보다 +2~3목은 더 내어놓고 하셔야합니다.
그리고 목줄길이가 길다면 +2~3목으로는 충분하지 않으십니다. 찌가 누울때까지 올리셨다 똑바로 써는 지점까지
내어 놓으셔야 합니다.
낚시할때는 캐미고무까지 나오게 하고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봉돌은 바닥에 안착됍니다;;;(찌는 고부력입니다 7호)
찌고무부분이 계속 수면 일치 상태는 봉돌이 떠있는 상태이며, 찌고무가 수면 위로 올라오면 봉돌이 바닥에 닿아 있는 상태입니다.
궁금하시면......그 상황에서 목줄을 자르시고 다시 던져보세요... 두목을 내놓고 낚시 하셨다면...목줄자른후 그대로 던져서 2목이 나온다면 봉돌이 닿은거겠지요.....그다은 스토퍼를 10센티만 내려서 다시 던져보세요...이 상황이라면 당연히 봉돌이 떠있는 상황이어야겠지요......그때 몇목이 나오는지 확인해보세요.......확신이 생기실겁니다......개인간의 채비 바늘 목줄 현장상황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무겁게 쓰는 채비라면 상관이 없지만 가볍게 쓰려고하는 채비일수록 이런경우에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던져서 확인해보세요...그럼 의구심이 바로 없어집니다.
있지만 낚시현장에서는 안 닿는 경우도
많습니다.
각자의 경험이 다를겁니다
군계일학 동영상? 예전에
캐미고무 표면장력 가지고 장난치던 것
보고 웃은적 있네요.
찌 맞춤통과 의외로 현장은 많이 다릅니다
수심 2.1미터에서 찌톱2-3마디 노출됬을때
고푼수의 찌라면 봉돌이 땅에 서있을거고
저푼수의 찌라면 봉돌이 누워있을겁니다
수조통에서 해도 그정도면 수심만 정확하다면 무조건 봉돌이 닿습니다.
아마 던져서 찌가 입수하기 시작하고 내려가다가 멈춰섰다가 목줄길이만큼 아마 이단입수를 할 겁니다. 그쵸?
단, 원줄무게나 수압,탁도,조류 등에 의해서 그렇게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럴때는 봉돌을 25~30cm정도 찌를 올리신 다음(단, 목줄이 길면 더 올려야 겠죠...ㅎㅎ) 케미 고무밑 즉 찌톱이 약간 보이게 찌맞춤을 다시 합니다. 그런뒤 다시 해보시면 목줄 길이만큼 이단입수를 할 겁니다.
이단입수란? 채비를 모두 갖춘(케미+케미고무+찌+봉돌+목줄+바늘)후 물속에 던졌을때 찌가 자립할때부터 천천히 입수하다가 제일먼저 바늘이 물속 바닥에 닿고 그다음 목줄길이 만큼 이단으로 봉돌이 물속 바닥에 닿는 것 을 말합니다.
그럼 늘 즐낚하세요. 당부하나하면, 입질이 좋을때는 챔질 타이밍 잡기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꼭 입질이 예민할때만 사용하길 권장합니다. 만약 활성도가 좋을때면 편납을 감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상 끝.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나머진 하시던데로 하셔도 될듯합니다.
케미고무까지 찌 맞춤하시고 낚시할때 찌 맞춤보다 2~3마디 내놓고 하셨다면...
찌톱이 2~3마디 노출이 된다는건 봉돌이 바닦에 닿아서 무게감이 줄어들면서 찌가 올라옴으로인한
현상으로 생각됩니다.
아무리 바늘이 가볍다 생각해도 미약하게나마 찌에 작용을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찌 맞춤시 바늘없이 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